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자부에 대한 내용은 이탈리아 남자 배구 리그 문서
이탈리아 남자 배구 리그번 문단을
이탈리아 남자 배구 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Serie A1
세리에 A1
파일:세리에A1여자배구.png
정식 명칭 Lega Pallavolo Serie A Femminile
영문 명칭 Italian Women's Volleyball League Serie A1
창설 1946년
주관 파일:800px-Federazione_Italiana_Pallavolo.png 이탈리아 배구 연맹
(Federazione Italiana Pallavolo, FIPAV)
참가 구단 수 13개 구단
하위 리그 세리에 A2
최근 우승 구단 파일:Imoco.png 이모코 발리(2018-19)
자국 대회이탈리안 컵 (Coppa Italia)
이탈리안 슈퍼컵 (Supercoppa italiana)
국제 대회CEV 챔피언스 리그
CEV 컵
CEV 챌린지 컵
링크 파일:세리에A1여자배구.pn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역사
3. 규정
4. 참가 구단
5. 시즌별 일람
5.1. 파일:스쿠데토.svg 역대 우승 구단
5.2. 우승 횟수
6. 역대 기록
6.1. 역대 득점 1위
6.2. 역대 공격 1위
7. 역대 스폰서
8. 컵 대회
8.1. 이탈리아 컵 (코파 이탈리아)
8.2. 이탈리아 슈퍼컵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9. 여담
10. 관련 링크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이탈리아 배구 연맹(FIPAV)에서 주관하는 이탈리아의 여자 배구 리그.

세리에 A(A1, A2), B(B1, B2), C, D로 구성되어 있다. 최상위 리그는 세리에 A에 속해 있는 세리에 A1이며 총 13개 구단이 참여한다.

본 문서는 세리에 A1의 정보만 포함한다.


2. 역사[편집]


1946년 이탈리아 배구 연맹의 창립 몇 달 이후, 이탈리아의 여자 배구 리그는 제노바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첫 우승팀은 베르가모를 연고지로 하는 L'Amatori di Bergamo이다.

1958년 참가팀의 수가 16개로 늘어나며 리그의 규모가 대폭 커졌다.

이후1970년대는 이탈리아 여자배구의 전성기였는데, 세리에A의 참가팀수가 24개로 늘어남에 따라 A2 하위리그가 창설되었다.

1980년대 후반 소련의 강호 클럽들이 줄줄이 해체하면서 CEV 챔피언스 리그를 정복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강세는 2010년대 초반 터키 리그가 유럽의 탑리그로 떠오르기 이전까진 계속되었다. 2010년대 초반 한동안 침체기를 겪었으나 이후 CEV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꾸준히 이탈리아팀들이 진출 및 최근에는 결승에서 이탈리아 두팀끼리 우승을 겨루는 등 이전의 경쟁력을 점차 찾아가고 있다.


3. 규정[편집]


  • 세리에 A1 우승팀은 디펜딩 챔피언을 상징하는 이탈리아 3색 방패 문양의 스쿠데토를 유니폼 전면에 부착한다. [1]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CAMPIONI D' COPPA ITALIA
코파 이탈리아 챔피언
  • 이탈리아 컵(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은 디펜딩 챔피언을 상징하는 이탈리아 3색 과녁 문양의 코카르다 트리콜로레를 유니폼 전면에 부착한다. [2]

  • 2017-18 시즌부터 최상위 두 리그(A1, A2)의 외국인 선수 제도를 개정하기로 결정하였다. 외국인 선수가 너무 많아지면 자국선수의 육성에 소홀해져 올림픽 및 유럽선수권과 같은 국제대회에서 자국대표팀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맹의 판단으로 개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코트 위에는 최소 4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있어야 하며 각 경기의 출전 로스터에는 한 연맹/협회에서 최대 두명의 외국인 선수까지 있을 수 있다.[3]


4. 참가 구단[편집]


||




5. 시즌별 일람[편집]



5.1. 파일:스쿠데토.svg 역대 우승 구단[편집]


시즌우승감독준우승감독MVP
2000-01레조디칼라브리아조바니 카프라라베르가모주세페 쿠카리니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안토니나 제토바
2001-02베르가모주세페 쿠카리니노바라루차노 페둘라파일:쿠바 국기.svg 타이스마리 아궤로
2002-03페루자마시모 바르볼리니노바라파일:쿠바 국기.svg 타이스마리 아궤로
2003-04베르가모조반니 카프라라노바라랑핑파일:독일 국기.svg 항카 파할레
2004-05페루자마시모 바르볼리니베르가모조반니 카프라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시모나 리니에리
2005-06베르가모마르코 페놀리오비니 몬테스키아보 반카 마르체 제시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카르멘 툴레아
2006-07페루자마시모 바르볼리니비니 몬테스키아보 반카 마르체 제시마르첼로 아본단자파일:브라질 국기.svg 셰일라 카스트루
2007-08스카볼리니 페사로호제 로베르투 귀마레스페루자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카르멘 툴레아
2008-09스카볼리니 페사로호제 로베르투 귀마레스노바라루차노 페둘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시모나 리니에리
2009-10스카볼리니 페사로안젤로 베르체시MC-카나티 빌라코르테세마르첼로 아본단자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타이스마리 아궤로
2010-11베르가모다비드 마잔티MC-카나티 빌라코르테세마르첼로 아본단자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카타리나 바룬
2011-12부스토 아르시치오카를로 파리시MC-카나티 빌라코르테세마르첼로 아본단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사라 파반
2012-13레베치 노르드메카니카 피아첸차다비드 마잔티이모코마르코 가스파리파일:벨기에 국기.svg 리즈 반 헤케
2013-14레베치 노르드메카니카 피아첸차지오바니 카프라라부스토 아르시치오카를로 파리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시아 보세티
2014-15카살마지오레다비드 마잔티노바라루차노 페둘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나 티로치
2015-16이모코다비드 마잔티리버 발리마르코 가스파리파일:미국 국기.svg 켈시 로빈슨
2016-17노바라마르코 페놀리오리버 발리마르코 가스파리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카타리나 바룬
2017-18이모코다니엘 산타렐리노바라마시모 바르볼리니파일:폴란드 국기.svg 요안나 보워시
2018-19이모코다니엘 산타렐리노바라마시모 바르볼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모니카 데 젠나로
2019-20[취소]
2020-21이모코다니엘 산타렐리노바라스테파노 라바리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올라 에고누

5.2. 우승 횟수[편집]


우승우승 연도준우승준우승 연도
올림피아 테오도라111990-91, 1989-90, 1988-89, 1987-88, 1986-87
1985-86, 1984-85, 1983-84, 1982-83, 1981-82
1980-81
자네티 베르가모82010/11, 2005/06, 2003/04, 2001/02, 1998/99
1997/98, 1996/97, 1995/96


6. 역대 기록[편집]


  • 정규리그 기준
  • 이탈리아 리그 웹사이트
  • 공격 1위는 공격 성공률이 아닌, 총 공격 성공 횟수 기준이다.[4] 이는 CEV 챔피언스 리그 기준과 동일하다.


6.1. 역대 득점 1위[편집]




6.2. 역대 공격 1위[편집]




7. 역대 스폰서[편집]


  • 1989~1991 : Wuber Salumi
  • 1991~1994 : Acqua Boario
  • 1994~1997 : Kraft Legeresse
  • 1997~2000 : La Trentina - Mela dei Campioni
  • 2000~2003 : LG전자
  • 2003~2011 : Findomestic Banca
  • 2011~2016 : Master Group Sport
  • 2016~2019 : 삼성


8. 컵 대회[편집]



8.1. 이탈리아 컵 (코파 이탈리아)[편집]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CAMPIONI D' COPPA ITALIA
연도우승팀세트준우승팀MVP
2003-04아시스텔 노바라베르가모파일:폴란드 국기.svg 마우고자타 글린카
2004-05페루자베르가모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타이스마리 아궤로
2005-06베르가모비니 몬테스끼아보 반카 마르체 제시파일:독일 국기.svg 안젤리나 그륀
2006-07페루자스카볼리니 페사로파일:쿠바 국기.svg 미르카 프란시아
2007-08베르가모스카볼리니 페사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프란체스카 피치니니
2008-09스카볼리니 페사로아시스텔 노바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타그란데
2009-10MC-카나티 빌라 코르테세베르가모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타이스마리 아궤로
2010-11MC- 카나티 빌라 코르테세베르가모파일:미국 국기.svg 메건 이지
2011-12부스토 아르시치오피아첸자파일:체코 국기.svg 헬레나 하벨코바
2012-13피아첸자MC-카나티 빌라 코르테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플로르데 메이너스
2013-14피아첸자베르가모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치아 보세티
2014-15노바라모데나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카타리나 바룬
2015-16베르가모피아첸자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셀레스트 플락
2016-17이모코모데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모니카 데 젠나로
2017-18노바라이모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올라 에고누
2018-19노바라이모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레티치아 카메라
2019-20이모코3-0부스토 아르시치오파일:폴란드 국기.svg 요안나 보워시
2020-21이모코3-1노바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올라 에고누
2021-22이모코3-2노바라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올라 에고누


8.2. 이탈리아 슈퍼컵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편집]


파일:Supercoppa-femminile-logo.png


9. 여담[편집]




10. 관련 링크[편집]




11. 관련 문서[편집]




12.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역사역사 전반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오도아케르 왕국 · 동고트 왕국 · 동로마 제국 · 랑고바르드 왕국 · 교황령 · 프랑크 왕국 · 신성 로마 제국(중세 이탈리아 왕국) · 베네치아 공화국 · 제노바 공화국 · 피사 공화국 · 피렌체 공화국/토스카나 대공국 · 모데나 레조 공국 · 파르마 공국 · 나폴리 왕국-시칠리아 왕국/양시칠리아 왕국 · 밀라노 공국 ·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 사보이아 백국/사보이아 공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 이탈리아 통일 · 이탈리아 왕국 · 파시스트 이탈리아
사회사회 전반(남북문제) · 인구 · 마피아
정치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이탈리아 의회(상원 · 하원) · 행정조직 · 내각
지리행정구역() · 이탈리아 반도 · 시칠리아 · 사르데냐 · 루비콘 강 · 아디제 강 · 테베레강 · 알프스(몬테 비앙코) · 에트나산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G7 · G20 · 유럽연합
경제경제 · 이탈리아 리라(폐지) · 유로
교통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 말펜사 국제공항 · 밀라노 리나테 공항 ·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국제공항 · ITA 항공 · 철도 환경 · 트레니탈리아(레 프레체 · 레오나르도 익스프레스) · 이탈로 · 로마 지하철 · 펜돌리노 · 아우토스트라다
국방왕국군 · 왕립 해군 · 전투식량 · 이탈리아군 · 베르살리에리 · 공군 · 해군 · 헌병군 · 징병제(폐지) · 전투식량 · 군가 · 졸전 기록(연혁 · 일화) · NATO
문화문화 전반 · 영화(스파게티 웨스턴 · 지알로) · 이탈로 디스코 · 유로비트 · 요리(지리적 표시제)
언어이탈리아어 · 라틴 연합 · CELI · CILS · 롬바르드어 · 리구리아어 · 시칠리아어 · 피에몬테어 · 사르데냐어 · 프리울리어 · 라딘어
스포츠이탈리아 올림픽 대표팀 · 이탈리아 축구 연맹 · 세리에 A · 코파 이탈리아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이탈리아 남자 배구 리그 ·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
관광관광 전반 · 피사의 사탑 · 콜로세움
치안·사법이탈리아 국가경찰 · 이탈리아 교정경찰대 · 사법 전반 · 이탈리아 헌법재판소
민족이탈리아인(아프리카계) · 이탈리아계 미국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러시아인 · 이탈리아계 멕시코인
기타이탈로필리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7:05:32에 나무위키 이탈리아 여자 배구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축구, 농구 등 다른 이탈리아 스포츠 종목들의 최상위 리그도 공통[2] 축구, 농구 등 다른 이탈리아 스포츠 종목들의 최상위 컵대회 공통[3] 이와 같은 새로운 제도는 남자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취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리그 중단.[4] 이 방식으로 집계하면 보통 득점왕과 공격왕이 같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