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덤프버전 :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2022)
Mathematician in Wonderland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jpg
장르드라마, 음악, 학원, 휴먼
감독박동훈
각본이용재
제작하정완
출연최민식, 김동휘, 박병은, 박해준, 조윤서
기획하정완, 이용재
촬영박홍열
편집김선민
음악이지수
미술김영희
의상김태연
조명강대희
음향이승엽
시각효과윤충열
촬영 기간2019년 12월 2일 ~ 2020년 3월 12일
제작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이래빗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쇼박스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9일
화면비2.39:1 2D
상영 시간117분 (1시간 57분 26초)
제작비75억 원[1]
월드 박스오피스$3,969,245
대한민국 총 관객수534,250명
스트리밍파일:넷플릭스 로고.svg[2] | 파일:TVING 로고.svg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3]

1. 개요
2. 포스터
3. 예고편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5.1. 이학성
5.2. 한지우
5.3. 김근호
5.4. 안기철
5.5. 박보람
5.6. 특별출연
6. 줄거리
7. 삽입곡
8. 평가
9. 흥행
10. 수상
11. 기타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분을 감추고 고등학교 경비원으로 일하는 탈북한 천재 수학자가 수학을 포기한 학생을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감동 드라마

2022년 3월 9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4]


2. 포스터[편집]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jpg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2인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2인 포스터


3. 예고편[편집]


▲ 메인 예고편
▲ 캐릭터 예고편


4. 시놉시스[편집]


{{{#ffffff "정답보다 중요한 건 답을 찾는 과정이야" 학문의 자유를 갈망하며 탈북한 천재 수학자 '리학성'. 그는 자신의 신분과 사연을 숨긴 채 상위 1%의 영재들이 모인 자사고의 경비원으로 살아간다. 차갑고 무뚝뚝한 표정으로 학생들의 기피 대상 1호인 '리학성'은 어느 날 자신의 정체를 알게 된 뒤 수학을 가르쳐 달라 조르는 수학을 포기한 고등학생 '한지우'를 만난다.
정답만을 찾는 세상에서 방황하던 '한지우'에게 올바른 풀이 과정을 찾아나가는 법을 가르치며 '리학성' 역시 뜻하지 않은 삶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


5. 등장인물[편집]



5.1. 이학성[편집]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이학성.jpg
이학성(리학성)(가명: 박한수) (최민식 扮)
이 작품의 주인공이자 학교 경비원. 북한 출신 탈북자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한다. 영화 도입부가 리만 제타 함수에 관한 서술그리고 Q.E.D.로 시작한다.[5][6] 지우에게는 만년필과 리만 가설 초고를 남겨주며 독일 오버볼파흐 연구소로 떠났고, 다시 지우를 만난다.


5.2. 한지우[편집]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한지우.jpg
한지우 (김동휘 扮)
이학성에게 수학을 가르쳐 달라는 학생. 자사고의 학생이지만 수학 실력이 젬병인 수포자다.[7][8][9] 뿌리깊은 가난으로 인해 만인에게 열려있다는 교육이라는 계급 상승의 사다리조차 제대로 잡아보지 못하는 현대 대한민국의 일그러진 공정성 논쟁을 상징하는 캐릭터.


5.3. 김근호[편집]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김근호.jpg
김근호 (박병은 扮)
수학 교사이자 메인 빌런.[10]
수학 시험 당시 문제들을 오일러 수학 학원으로 유출시켰다. 문제 유출이 발각되자 결국 한지우에게 누명을 씌워 전학을 강요한다. 마지막에는 이학성 자신이 리만 가설을 증명한 자라는 것을 알리고 강당에서 자리를 빌려[11] 근호의 악행을 모조리 폭로하면서[12] 크게 당황해하며 이학성에게 다짜고짜 소리치지만 학생과 선생님들이 왜 저러냐면서 수상하다고 해서 이학성이 선생님이 하셨냐고 말하자 더욱 더 말도 안되는 변명만 한 채 이학성에게 "너 마음대로 해!"라고 내지른 직후 강당에서 퇴장한다.


5.4. 안기철[편집]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안기철.jpg
안기철 (박해준 扮)
이학성을 감시하는 국정원 요원이자 위장 사무실인 고물상 사장. 이학성의 친구나 다름 없다. 이학성에게 자신이 답답해서 그렇다며 큰건 몰라도 작은 건 누려야지 않냐며 핸드폰을 준다. 하지만 어워드 심사에서 이학성이 폭로한 뒤 같이 차를 타며 그 핸드폰을 버리고 이학성에게 여권을 주며 독일로 떠나서 언론의 과열된 관심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곤 이학성은 독일 오버볼파흐 수학 연구소로 떠난다.


5.5. 박보람[편집]


파일: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박보람.jpg
박보람 (조윤서 扮)
지우의 같은 반 친구. 지우에게 시비를 걸면서 장난을 치는 것으로 첫 등장한다. 지우를 똥멍이라고 부른다 지우가 친구들의 만행을 선생님으로부터 숨겨준 계기로 좋아하게 된다. 그러던 중 지우가 이학성에게 수학을 배우는 것을 목격하고 비밀로 하겠다고 약속한다. 피타고라스 어워드의 시험 문제와 오일러 수학학원의 문제가 똑같다는 것에서 문제 유출을 알아낸 보람은 이를 페이스북 학교 익명 게시판에 올린다. 하지만 그로 인해 지우가 누명을 쓰는 걸 본 보람은 뭐 이런 개같은 상황이 있냐고 화를 내며 점점 분량이 없어지더니 지우에게 누명인 것을 빨리 밝히라 한다. 그 후 전학을 가려는 지우를 막으며 캐리어를 빼앗아 오정남이 연설 중인 강당으로 옮긴다. 지우가 이학성에게 받은 리만 가설의 초고와 만년필을 반띵하자며 지우와 티격태격한다.


5.6. 특별출연[편집]


이학성과 어렸을 적 국제 수학 경시 대회를 나간 수학자. 대회 당시 받은 펜으로 이학성을 알아봐 자리를 마련해준다.

탈북 경제학 교수. 이학성에게 다시 돌아가는 것을 권한다. 이름은 필즈상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



이학성의 아들. 작중 기준 3년 전에 사망하였다. 아버지를 따라 탈북한 이후, 처음에는 통일이 되면 자신이 키우는 거북이를 대동강에 방생하겠다며 밝은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남한 사회에서 탈북자라는 이유로 차별을 거듭 받게 되면서 힘들어하고 삐뚤어지게 된다. 탈북자라는 이유로 학교폭력을 당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수학자였던 아버지가 남한에서는 막노동을 전전하는 현실에 분노하며 도대체 왜 탈북한 것이냐는 의문에 이르게 되고 급기야는 아버지 리학성과 싸우게 된다. 이에 김정은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며 아버지에게 대들다가 뺨을 맞고 가출했고, 월북을 시도하다 사살당했다. 리학성은 4년 전에 탈북했으므로 탈북 1년 만에 사망한 것이다. 리학성이 거북이를 키우는 것도, 딸기우유를 좋아하는 것도 다 이태연 때문이다. 그래서 이학성이 매일 딸기우유를 마셨던 것. 리학성에게는 평생의 회한과 짐으로 남은 존재.


6.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탈북민 이학성은 자사고 경비원으로 학생들에게 인민군이라 불리며 하루하루 힘들게 살고 있었다. 수학 천재라서 국제수학대회에 북한 대표로 나가서 우승할 정도로 천재였던 그는 자신의 두뇌가 북에서는 무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는 사실에 환멸을 느껴 탈북했다. 그래서 평범하게 살던 중 학교에서 친구들과 술이나 퍼마시는 일명 수포자 한지우를 만났다. 지우는 수학 점수가 올라가고 싶어서 우연히 만난 이학성에게 수학 강의를 부탁한다. 그 뒤로 그의 인생은 바뀌게 되는데...


7. 삽입곡[편집]


바흐 - 무반주 첼로 모음곡 1번 프렐류드[13]

파이송[14][15]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재생목록으로 들어가면 영화에 나온 곡들이 나온다. 링크 ||


8.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0991|
기자·평론가
5.43 / 10
관람객
7.88 / 10
네티즌
8.3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5.43 / 10
관람객
7.88 / 10
네티즌
8.33 / 10
]]
평점 7.8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4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5%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8.9 / 10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평점 8.7 / 10



'파인딩 포레스터'의 얼개를 일차방정식으로 파악한 후, 한국적 소재를 대입해서 대충 푼다.

- 이동진 (★★☆)


사각사각 깎던 연필을 부러뜨리다

- 박평식 (★★☆)


대체로 수학이라는 참신한 소재와 연기력 좋은 배우들을 데려왔으나, 감동을 유발하는 한국 영화식 클리셰 범벅의 흥행 공식만을 따르는 스토리 전개가 후반에 들어서 다급해져 완급과 서사가 아쉽다는 영화라는 평이 많다. 또한 위의 이동진이 언급한 대로 "은둔하던 천재에게 학문을 배우는 학생"이란 중심 내용과 마지막에 위기에 처한 주인공을 돕기 위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는 모습까지, 숀 코너리 주연의 2001년 미국 영화 파인딩 포레스터와 내용이 표절 수준으로 거의 똑같다. 박동훈 감독 또한 씨네21 인터뷰에서 본작이 파인딩 포레스터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인정했다.#


9. 흥행[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9주차2022년 10주차2022년 11주차
더 배트맨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문폴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개봉 이전-명13,801명N/A-원108,969,00원
1주차2022-03-09. 1일차(수)75,528명273,408명1위716,302,430원2,597,199,910원
2022-03-10. 2일차(목)16,991명1위152,479,810원
2022-03-11. 3일차(금)21,622명1위209,524,890원
2022-03-12. 4일차(토)56,301명1위553,281,630원
2022-03-13. 5일차(일)61,971명1위604,525,280원
2022-03-14. 6일차(월)14,649명1위137,064,380원
2022-03-15. 7일차(화)12,545명1위115,052,490원
2주차2022-03-16. 8일차(수)9,283명129,160명2위85,211,360원1,234,438,550원
2022-03-17. 9일차(목)9,773명2위90,879,550원
2022-03-18. 10일차(금)14,121명2위136,694,330원
2022-03-19. 11일차(토)43,629명2위424,351,930원
2022-03-20. 12일차(일)36,078명1위347,481,160원
2022-03-21. 13일차(월)8,054명1위74,501,910원
2022-03-22. 14일차(화)8,222명1위75,318,310원
3주차2022-03-23. 15일차(수)5,812명77,233명2위52,814,980원733,537,760원
2022-03-24. 16일차(목)5,039명3위45,448,330원
2022-03-25. 17일차(금)8,111명2위77,731,360원
2022-03-26. 18일차(토)25,874명2위251,825,710원
2022-03-27. 19일차(일)22,743명2위218,297,060원
2022-03-28. 20일차(월)5,014명2위45,683,990원
2022-03-29. 21일차(화)4,640명2위41,736,330원
4주차2022-03-30. 22일차(수)4,489명36,626명4위34,032,540원338,483,620원
2022-03-31. 23일차(목)3,230명4위28,305,160원
2022-04-01. 24일차(금)3,740명4위35,379,770원
2022-04-02. 25일차(토)10,719명3위103,372,590원
2022-04-03. 26일차(일)10,110명3위97,001,060원
2022-04-04. 27일차(월)2,223명4위20,986,200원
2022-04-05. 28일차(화)2,115명3위19,406,300원
5주차2022-04-06. 29일차(수)837명-명8위7,733,200원-원
2022-04-07. 30일차(목)821명9위7,262,900원
2022-04-08. 31일차(금)992명9위9,630,000원
2022-04-09. 32일차(토)2,695명8위25,300,880원
2022-04-10. 33일차(일)2,712명8위25,566,900원
2022-04-11. 34일차(월)611명10위5,432,300원
2022-04-12. 35일차(화)741명9위5,932,500원
6주차2022-04-13. 36일차(수)154명-명28위1,238,000원-원
2022-04-14. 37일차(목)40명40위390,500원
2022-04-15. 38일차(금)180명18위1,540,500원
2022-04-16. 39일차(토)366명14위3,498,940원
2022-04-17. 40일차(일)340명13위3,308,000원
2022-04-18. 41일차(월)227명13위2,180,060원
2022-04-19. 42일차(화)107명28위959,000원
합계누적 관객수 533,319명, 누적 매출액 5,040,429,520원



10. 수상[편집]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작)
2022년제27회 춘사국제영화제신인남우상김동휘
제4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영평 10선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제43회 청룡영화상신인남우상김동휘
제58회 대종상뉴웨이브상 여우조윤서
제23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신인남자연기자상김동휘


11. 기타[편집]











12. 둘러보기[편집]


2022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펼치기 · 접기 ]

주차제목국가관객수매출액
1주차
(01/03~01/09)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미국6,600,617명66,431,654,890원
2주차
(01/10~01/16)
6,899,344명69,467,661,480원
3주차
(01/17~01/23)
7,169,526명71,893,728,220원
4주차
(01/24~01/30)
해적: 도깨비 깃발대한민국494,334명4,668,329,960원
5주차
(01/31~02/06)
1,087,006명10,549,931,190원
6주차
(02/07~02/13)
나일 강의 죽음미국141,223명1,374,266,150원
7주차
(02/14~02/19)
언차티드미국365,108명3,596,441,970원
8주차
(02/20~02/27)
587,994명5,750,683,330원
9주차
(02/28~03/06)
더 배트맨미국501,554명5,196,875,130원
10주차
(03/07~03/13)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대한민국246,273명2,345,430,040원
11주차
(03/14~03/20)
문폴미국
중국
136,767명1,413,081,830원
12주차
(03/21~03/27)
뜨거운 피대한민국218,019명2,117,148,570원
13주차
(03/28~04/03)
모비우스미국312,108명3,017,058,890원
14주차
(04/04~04/10)
수퍼 소닉 2미국129,806명1,206,009,440원
15주차
(04/11~04/17)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미국
영국
476,335명5,042,976,080원
16주차
(04/18~04/24)
769,176명8,148,824,630원
17주차
(04/25~05/01)
1,075,661명11,078,224,480원
18주차
(05/02~05/08)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미국3,497,373명37,172,683,700원
19주차
(05/09~05/15)
4,906,498명52,378,296,360원
20주차
(05/16~05/22)
범죄도시 2대한민국3,550,676명37,256,349,990원
21주차
(05/23~05/29)
6,546,693명67,839,674,290원
22주차
(05/30~06/05)
8,868,488명91,777,249,610원
23주차
(06/06~06/12)
10,503,722명108,669,785,070원
24주차
(06/13~06/19)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대한민국1,458,090명15,083,453,910원
25주차
(06/20~06/26)
탑건: 매버릭미국1,526,263명16,647,058,280원
26주차
(06/27~07/03)
3,328,991명35,829,025,410원
27주차
(07/04~07/10)
토르: 러브 앤 썬더미국1,764,656명19,227,538,810원
28주차
(07/11~07/17)
탑건: 매버릭미국5,733,818명61,405,156,630원
29주차
(07/18~07/24)
외계+인 1부대한민국913,262명9,683,446,081원
30주차
(07/25~07/31)
한산: 용의 출현대한민국2,269,575명23,390,019,692원
31주차
(08/01~08/07)
4,597,946명11,979,955,005원
32주차
(08/08~08/14)
헌트대한민국1,511,567명15,649,897,512원
33주차
(08/15~08/21)
3,042,119명31,603,228,203원
34주차
(08/22~08/28)
3,720,057명38,591,356,937원
35주차
(08/29~09/04)
육사오(6/45)대한민국1,134,779명11,414,194,141원
36주차
(09/05~09/11)
공조2: 인터내셔날대한민국2,611,091명27,071,535,309원
37주차
(09/12~09/18)
4,732,280명48,862,216,754원
38주차
(09/19~09/25)
5,555,332명57,227,575,942원
39주차
(09/26~10/02)
6,079,986명62,407,500,794원
40주차
(10/03~10/09)
6,525,744명66,981,050,921원
41주차
(10/10~10/16)
인생은 아름다워대한민국829,020명7,844,370,629원
42주차
(10/17~10/23)
블랙 아담미국427,965명4,491,616,622원
43주차
(10/24~10/30)
자백대한민국253,000명2,488,547,649원
44주차
(10/31~11/06)
536,013명5,336,438,705원
45주차
(11/07~11/13)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미국1,086,881명11,631,791,148원
46주차
(11/14~11/20)
1,731,095명18,438,358,053원
47주차
(11/21~11/27)
올빼미대한민국817,695명8,210,472,264원
48주차
(11/28~12/04)
1,763,663명17,312,534,385원
49주차
(12/05~12/11)
2,520,494명24,804,636,750원
50주차
(12/12~12/18)
아바타: 물의 길미국2,681,408명32,493,679,014원
51주차
(12/19~12/25)
5,573,466명68,555,851,933원
52주차
(12/26~01/01)
7,742,559명95,841,853,853원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2:50:48에 나무위키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손익분기점은 150만 명이다.[2] 2022년 6월 22일 공개.[3] 등급분류 결정내용: 고등학교 경비원으로 일하는 천재 탈북 수학자와 입시를 앞 둔 고등학생이 수학을 통해 우정을 쌓으며 서로의 아픔을 위로해주는 내용의 영화로, 군인이 총을 쏘는 장면, 아버지가 아들의 뺨을 때리는 장면 등에서 폭력성과 공포가 간결하게 유발되고, 거친 대사도 등장하며, 이밖에 주제 이해도 및 모방위험 요소도 고려해 12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
[4] 후술하지만, 제작비가 많이 들지 않아서 손익분기점이 150만명 정도로 해봄직 했지만 흥행에 실패했다. 개봉 당시 오미크론 영향 때문에 관객 수가 대폭 줄었던 게 컸다.[5] 이쯤 되면 세간의 관심을 받지 않고 사는 게 가능한가 싶지만, 그리고리 페렐만처럼 큰 수학적 발견을 했음에도 숨어 사는 수학자들도 의외로 꽤 많다. 중국 출신 수학자 장이탕 같은 경우 문화대혁명으로 젊은 시절 내내 고생한 후 미국유학 가서 박사 학위를 따고도 셋방 한 칸 없이 차에서 살며 모텔 알바, 패스트푸드점 알바를 전전하다 40대 중반에야 대학 강사로 취직해 학계에 돌아오기도 했다. 당장 대한민국 학원가에서 구르는 수학 강사들 중 차차기 세대의 전공수학 교과서에 이름을 남길 거물이 튀어나온다 해도 놀라운 일은 아닌 셈. 영화가 개봉한 지 얼마 후 진짜로 어떤 수학 교사가 이산수학의 난제 중 하나인 칸-칼라이 추측을 증명해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중학교 교사 출신 韓 수학자, 세계적 난제 풀었다[6] 실제로 북한의 수학계는 간혹 부정행위로 깽판을 만드는 사건사고는 있었을지언정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출전하는 청소년들의 실력에서는 남한이나 중국, 캐나다, 호주, 미국 등의 수학 강국과도 겨뤄 볼 만하다는 평가를 받으나 성인이 되어서부터 학계로부터 고립되어 핵개발을 위한 응용 수학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해지며(후반에 강당에서 연설할 때도 자신의 수학 지식이 무기 만드는데 쓰이는 것에 환멸을 느꼈다는 발언을 한다.) 존재감이 없어지는 양상을 보인다.[7]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뽑는 자사고수포자가 있다는 설정이 의아하게 보일 수 있으나, 실제 자사고에도 수포자는 꽤 있다. 자사고의 입결도 점점 낮아지는 추세이고, 중학수학 정도만 잘하면 입학에 큰 무리가 없는 자사고 또는 입학 정원 미달이 뜨는 자사고도 많다. 중학수학을 어찌저찌 넘기고 고교수학에서 좌절을 맛 본 후 수포자가 되는 사례가 꽤 흔한 편. 사실 여기서 지우의 가장 큰 문제는, 차상위계층 출신의 홀어머니 밑에서 사회적 배려 대상자, 일명 사배자 전형으로 입학한 것이라 동급생들처럼 주말마다 구르는 대치동 1박 2일 스파르타식 사교육으로 단련되지 못해 출발선이 너무 뒤쳐졌다는 점이다.[8] 진짜 수학에 젬병이라기보다는 고등학교 수준이 아닌 대학교 석사에 필적하는 극악의 난이도와 사교육으로 단련된 급우들과의 경쟁에서 밀려났다고 보는 게 적절하다. 일반고에선 충분히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실력이라며 전학을 강요하는 담임의 말이나 사배자들이 9등급 깔아주니 좋아하는 부모들도, 공부 분위기 흐린다고 싫어하는 부모들도 있다. 애들한테 장학금이니 뭐니 더 많이 챙겨주느라 피곤하다거나 인간적으로 애들한테 전학 권하는게 너무 잔인하다, 걔들은 맺힌게 너무 많아서 다른 애들마냥 성격이 둥글둥글하지 않다는 등 사배자 학생들 이야기를 하는 교사들끼리의 수다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9] '대학교 석사급 난이도'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 작중 서울대 공대 석사도 일곱개씩 틀렸다는 언급이 나오는데 자사고, 과학고 레벨의 수학 시험이라면 충분히 가능한 난이도. 다만 아무리 서울대생이라 하더라도 고등학교 내용 다음의 내용을 높은 수준으로 배우고 익히는 것이지, 고등학교 내용을 더 깊게 파고 들기에 과외 및 사교육 시장에서 추앙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학 이상의 교육기관에서는 배우는 방식이나 학습 과정이 고등학교의 수업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리고 수학 문제를 빠르게 푸는 순발력이나 스킬은 대학생/대학원생들보다 고등학생들이 뛰어나다. 그래도 명문대생이니 사고의 깊이가 다르지 않겠냐는 막연한 기대도 무색한 것이, 저런 학원 강사들은 생계형이기 때문에 억지로 한 문제 붙잡고 오래오래 시간을 투자할 여유도 (그리고 이유도) 없다. 그런 시간과 노력은 학생들의 문제를 풀어주는 데에 쓰는 대신 자신의 논문을 다듬는데에 쓸테니까.[10] 이름은 제곱근의 ([math(\sqrt 근호)])에서 따 왔을 가능성이 있다.[11] 당시 이학성이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 나갔을 적 같이 있던 대한민국 수학자 오정남이 학교 내 강당에서 피타고라스 어워드 심사위원으로 강연 중이였다. 이때 둘만 받은 만년필로 증명해 낸 것.[12] 누명 씌우기, 시험지 유출, 시험문제 거래 등[13] 영화의 시작과 함께 나오는 음악이며 카세트 테이프가 늘어진 음질로 음악을 듣던 이학성(최민식)에게 한지우(김동휘)가 스마트폰을 컵에 넣어 좋은 음질의 음악을 들려주는 장면에서 흘러나온 음악이다. 참고로 위 영상의 연주자는 첼리스트 양성원이다.[14] 파이(π) 즉 3.141592…로 이어지는 각각의 숫자에 음을 붙여 이학성(최민식)이 주 선율을, 박보람(조윤서)이 보조 선율로 꾸며주는 음을 연탄곡으로 연주한 곡이다. 참고로 위 영상의 연주자는 이 작품의 음악 감독 이지수이다.[15] '지훈피아노'라는 유튜브 채널이 올린 커버가 조회수 2,018,457회를 돌파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16] 공교롭게도 서울시립대학교의 전신이면서, 경농관이 설립되던 경성공립농업학교 시기는 현재의 고등학교 과정에 속했다.[17] 이름이 야리꾸리하게 꼬이는 주요 사례로는 그로센딕, 야노스 볼리아이, 폴 에어디쉬, 서지 랭, 월터 루딘, 크레이직, 프렐라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