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그노스티시즘

덤프버전 :



의 존재에 대한 견해
[ 펼치기 · 접기 ]

인정
있다
유신론
여럿이다
여럿 중 하나다오직 하나다
다신론일신론
단일신론유일신론
이성으로 파악한다만물이 신이다만물이 신의 일부이다(실재가 신이다)
이신론범신론범재신론(만유내재신론)
범이신론
있으나 바뀐다있으나 악하다있으나 싫어하고 미워한다
교체신론악신론혐신론
있으나 가변적이다우주에 영향을 주고 받는다없음이 신이다
열린 유신론과정신학다석 류영모의 신론
미래에 있다신을 경험하는 것부터 중요하다
위르겐 몰트만의 신론존재 없는 신
회의
알 수 없다관심 없다의심된다
불가지론신론 무관심주의회의주의
부정
없다있어서는 안 된다지금은 없다
무신론반신론교체신론
무의미
일관적인 정의가 없다개념 자체가 없다신은 신일 뿐, 사유도 말할 수도 없다
이그노스티시즘신학적 비인지주의무/신론
사건
전지전능하지 않다부정한 후에 받아들여야 한다
약한 신학재신론




1. 개요
2. 번역 문제


이그노스티시즘(Ignosticism)


1. 개요[편집]


에 대한 일관성있고 명확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신의 존재에 대한 질문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바라보는 사상.

흔히 간단하게 '나는 신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설명되는 경우가 많으나 충분한 설명은 아니다.
  • 신의 개념이 정확히 무엇인지 정의되었는가?
  • 설령 성서에 존재하는 신의 모습과 완전히 동일한 존재가 나타난다고 해도 우리가 그것을 신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가?
  • 만약 인간이 그와 같은 존재가 된다면 인간을 신이라고 할 수 있는가?
  • 우리가 신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으며 그것을 정의할 수 있다면 그것이 진짜 신이 맞는가?
  • 성서에 등장하는 신이라고 불린 존재들이 실존한다고 하여도 우리가 정의한 신의 정의에 맞지 않다면 그것을 신이라고 할 수 없는가?

위의 질문들을 생각해보자. 단순히 신이 뭔지 모르는 것이 아니라 신의 대한 명확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고, 그것을 넘어 정의내릴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쪽에 더 가깝다. 이렇게 신은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거나 혹은 정의될 수 없으므로 신에 대한 판단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불가지론이 '인식 불가'라면 이그노스티시즘은 '정의 불가'인 것이다.


2. 번역 문제[편집]


원어인 'ignosticism'은 아직까지 적절한 번역어가 없다. 그 만큼 한국에서는 생소한 개념이다. 보통 ignosticism을 agnosticism과 구별 없이 불가지론으로 번역하기도 하는데 엄밀히 둘은 다른 개념이다. 디시인사이드의 철학, 종교 관련 갤러리에선 이를 무가지론, 무관심론으로 번역했으나 한자 뜻과 개념을 생각하면 맞지 않는다. 나무위키에서 임시로 무지론으로 번역한 적이 있으나 역시 의미가 전달되지는 않는다.[1] 적절한 번역어가 없다면 원어를 한글로 표기한 '이그노스티시즘'을 임시로[2] 사용하는 수 밖에 없다. 임시가 아니라도 모더니즘, 프래그머티즘처럼 철학에서도 원어를 그대로 쓰는 경우는 많다.

[1] 각종 검색 서비스에서 '무지론'으로 검색하면 나무위키 문서 1건 뿐이었다.[2] 논문이나 번역서에서 번역될 때까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4:03:10에 나무위키 이그노스티시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