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울산 도시철도 1호선

덤프버전 :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울산 도시철도 1호선.svg{{{#CB2E27 울산 도시철도 1호선
蔚山 都市鐵道 一號線
Ulsan Metro Line 1
}}}
||
파일:울교공1000.jpg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울산 도시철도 1호선 노선도.svg
노선 정보
노선 분류도시철도
차량 분류경전철(노면전차)
총사업비3,794억 원[1]
기점태화강역
종점신복역(가칭)
역 수15개
구성노선울산 도시철도 1호선
착공일2026년 (예정)[1]
개통일2029년 (예정)[2]
소유자울산광역시
운영자미정[3]
사용차량울산 도시철도 1호선/차량
차량기지태화강역 인근[4][5]
노선 제원
노선연장11.015㎞[6]
선로구성복선[7]
동력원수소연료전지, 전기 배터리
표정속도상행(태화강행) 18.69km/h
하행(신복행) 18.61㎞/h[8]
지상 구간전 구간
통행 방향우측통행

1. 개요
2. 상세
3. 논란
3.1. 로터리 구간 평면교차
4. 직결 논의
5. 역 목록
5.1. 2023년 타당성 재조사 당시 수요 예측
7. 기타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에서 2029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인 태화강역신복역(가칭)를 잇는 울산 도시철도의 첫 번째 노선이다. 구체적으로 삼산로, 공업탑로터리, 문수로, 대학로를 지나 신복로터리까지 이어진다.


2. 상세[편집]


전 구간 도로 위에 철로가 건설될 예정이다. 투입될 열차는 수소전기트램이다. 차량기지는 태화강역 근처에 지어질 예정이다.

태화강역에서 동해선 광역전철과, 신복역(가칭) ~ 무거역(가칭)에서는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환승할 수 있게 연계할 예정이다. 상업, 주거, 교육, 체육시설 등이 밀집된 구간으로 도시 중심지를 통과하는 동서축 노선으로 교통수요가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이다.[9] 경제성, 효과성, 다른 노선과의 연계성 등을 감안해 2008년 추진했던 당시의 1호선의 시종점 4.76㎞ 구간을 단축했다.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이 2020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사업으로 선정되어 2004년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된 적이 있어 타당성 재조사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후 빠르면 2022년 2월에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해당기사[10] 그리고 재조사 중간점검에서는 청신호가 켜졌다는 소식이 나왔다. #
그러나 그 이후로 소식이 없었는데 경제성이 미달된 것으로 보인다.[11] 이에 울산시는 정책성을 강조하였다. #

2023년 8월 23일,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재조사를 총사업비 3,280억 원, B/C 0.85, AHP 0.535로 통과하였다. 원래 초기 계획은 2024년에 착공을 해서 2027년에 개통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타당성 재조사가 예상치도 못하게 밀리게 되면서 2023년 9월부터 2024년 8월 기본계획 수립, 2024년 9월 부터 2025년 12월 기본 및 실시설계 한 다음 2026년 착공하여 2028년 준공 및 2029년 개통 예정으로 계획이 바뀌었다. #

2024년 5월 6일 공개된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에서 울산 도시철도 1호선의 총사업비가 3,794억 원으로 증가했다.


3. 논란[편집]



3.1. 로터리 구간 평면교차[편집]


파일:Ulsan Metro_Line1_P1.png

2008년에 작성된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에서 공업탑로터리 구간과 신복로터리 구간을 지하로 통과하기로 했던 것과 달리, 이번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서는 사업비 절감을 위해 트램이 이 구간을 모두 평면교차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공업탑로터리와 신복로터리는 모두 울산 교통사고 발생 순위에서 최상위권을 달리는 구간들인데다 울산에서도 손꼽히는 교통량 집중 구간인데,[12] 이 구간에서 트램이 지하나 고가 등 별도 구간을 이용하지 않고 평면교차를 하는 것은 사업비 절감을 위해서 안전을 포기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되는 부분이다. 실제로 1호선 건설 확정 직후 열린 주민 설명회에서 한 주민이 "트램이 공업탑로터리를 지날 때 공업탑을 돌아서 가야하는데 회전 각도가 나올 수 있냐"고 질문한 적 있다. 다만, 이부분은 트램이 익숙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나 생길법한 의문으로 프랑스 툴루즈 트램의 경우 회전교차로 평면교차하는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안전사고가 더 난다고 하지는 않는다.

다만, 신복로터리는 2023년 10월 평면교차로 전환되었으며, 공업탑로터리 역시 평면교차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기에[13] 이 부분에 대해서는 우려가 조금이나마 희석되었다.

이후 타당성 재조사에서 울산 1호선은 신복로터리를 침범하지 않고 신복로터리 남측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4. 직결 논의[편집]



4.1.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직결 운행[편집]


2022년, 울산시는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가 트램으로 건설하게 되면 1호선을 신복역에서 끝나지 않고 광역철도 노선을 이용해 울산역까지 운영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시의 입장으로 볼 때 울산역 연계를 위해서라도 1호선을 연장해야 하는데, 광역철도와 직결하게 되면 울산역을 이용하려는 1호선 구간의 시민들의 트램 이용 편의가 높아지는 동시에 1호선 울산역 연장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

다만, 현재 국토부에서 트램의 경쟁력 문제로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를 경전철로 규격 변경을 시도하고 있어서 광역철도가 경전철로 확정되면 직결운행이 불가능해진다.


5. 역 목록[편집]


태화강역을 제외하고 역번 및 역명 등은 모두 가칭이다. 승강장의 형태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을 근거로 서술되어있다.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101
0.0
[14]
太和江
편측식 승강장
102
0.805
삼 산三 山│■│
103
1.560
蔚山터미널
│■│
104
2.290
번영로繁榮路│■│
105
3.005
동 평東 平│■│
106
3.580
달 동達 洞│■│
107
4.095
공업탑工業塔│■│
108
4.855
신 정新 亭│■│
109
5.530
옥 동玉 洞│■│
110
6.145
蔚山法院
│■│
111
6.995
公園墓地
■││■
112
8.600
文殊競技場
■││■
113
9.410
무 거無 去│■│
114
9.980
蔚山大
│■│
115
10.698
신 복[15]
新 卜
│■│


5.1. 2023년 타당성 재조사 당시 수요 예측[편집]


일 평균 수요 예측은 2030년 기준 만 명으로 예측되었으며, 2030년의 각 역별 구체적인 수요 예측치는 아래와 같다.

울산 도시철도 1호선
역별 순위
역명태화강역 -> 신복로터리신복로터리 -> 태화강역역별 총 승하차량
승차하차재차승차하차재차
태화강역46430464307585012228
삼산481294562461147585337
울산터미널5116144525632117653986
번영로371385443853059373001879
동평366235456859751473641712
달동959406512293695772813258
공업탑8694635527134573273023409
신정663278591374457666892261
옥동77485942132796521336
울산공원292240599561830264681452
공원묘지113676040821206152382
문수경기장
무거
울산대2282596,5732745826863
신복06573071700717013743


6. 차량[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울산 도시철도 1호선/차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노선 전 구간이 남구에 있다. 사실상 남구 도시철도인 셈.
  • 울산항선이 상시적 운행을 결정함에 따라 1호선에 합병될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2:38:32에 나무위키 울산 도시철도 1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년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기준 추산액[1] 원래 착공 계획은 2024년이었지만 타당성재조사 문제로 연기되었다.[2] 원래 개통 계획은 2027년이었지만 타당성재조사 문제로 연기되었다.[3] 울산시에서 트램 운영을 위해 울산교통공사(가칭)를 새로 설립할 예정이다.[4]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271 일원[5] 원래는 4호선과의 차량기지 공용을 위해 무거삼거리 근처에 지을 계획이었으나 타당성재조사 중 경제성을 위해 수소전기트램으로 차량을 변경하면서 수소 인프라가 갖춰진 태화강역 서측광장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여기에 버스 주박지가 있는데, 이를 이전시키기 위해 멀리 떨어지지 않은 명촌동에 차고지를 새로 조성하고 있다.[6] 본선 10.698㎞, 입출고 0.292㎞[7] 일부 구간 단선병렬[8] KDI의 2023년 울산도시철도 1호선 타당성재조사에서 교차로 통과 시 저속운행하는 것을 상정한 수치이다. [9] 실제로 차량 통행량의 20% 이상이 이 일대를 지나가는 것으로 나왔다.[10] 다른 노선인 2호선은 2022년 내 통과가 목표이나 작년 발표에 따르면 2023년 발표가 될 것으로 보였으나… 결국 2025년으로 밀렸다.[11] 나중에 밝혀진 바로는 B/C=0.74가 나온 것이었다. 이에 차량기지 위치를 바꾸고 배차 간격을 늘리는 등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계획 수정이 있었는데도 최종적으로 나온 타당성 재조사 보고서 기준으로는 B/C=0.85가 되었다. 같은 트램에 태화강~효문, 굴화~신복 구간이 포함된 2004년 예타가 B/C=1.21로 나왔던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떨어진 수치.[12] 특히 신복로터리는 악마의 로터리로 불릴 정도로 악명이 높았다고 한다.[13] 정확히는 신복로터리의 평면교차로 전환 이후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면 이후 공업탑의 평면교차로 전환을 검토해보겠다는 얘기인데, 공업탑 문제는 여러 번 공론화되었을 정도로 쉽게 건들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현재 공업탑 구간을 평면교차로로 전환을 안 할 경우에는 잔디밭 구간만 없애 거기로 지나가는 것으로 계획이 잡혀 있다.[14] 이역만 가칭이 아니다.[15] 계획 당시 가칭은 신복로터리였으나, 2023년 10월에 로터리가 폐지되어 신복역으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