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노세 카나데 (r2판)

편집일시 :



hololive JP
##시작
로보코 씨
AZKi
사쿠라 미코
호시마치 스이세이
아키 로젠탈
아카이 하아토
시라카미 후부키
나츠이로 마츠리
무라사키 시온
나키리 아야메
유즈키 초코
오오조라 스바루
오오카미 미오
네코마타 오카유
이누가미 코로네
시라누이 후레아
시로가네 노엘
호쇼 마린
우루하 루시아
츠노마키 와타메
토코야미 토와
히메모리 루나
키류 코코
모모스즈 네네
시시로 보탄
오마루 폴카
마노 알로에
타카네 루이
하쿠이 코요리
사카마타 클로에
카자마 이로하

hololive ID
hololive EN
##시작
타카나시 키아라
니노마에 이나니스
가우르 구라
왓슨 아멜리아
오로 크로니
나나시 무메이
하코스 벨즈
츠쿠모 사나
코세키 비쥬
[[네리사 레이븐크로프트|
파일:Nerissa-Ravencroft_list_thumb.png
{{{#063f5c,#43C5F5 네리사 레이븐
크로프트}}}
]]
[[후와와 어비스가드|
파일:Fuwawa-Abyssgard_list_thumb.png
{{{#063f5c,#43C5F5 후와와
어비스가드}}}
]]
[[모코코 어비스가드|
파일:Mococo-Abyssgard_list_thumb.png
{{{#063f5c,#43C5F5 모코코
어비스가드}}}
]]

HOLOSTARS
##시작
카나데 이즈루
아르란디스
릿카
카가미 키라
야쿠시지 스자쿠
키시도 텐마
유코쿠 로베루
아라가미 오가
츠키시타 카오루
우츠기 우유
히자키 감마
미나세 리오
매그니 데즈몬드
악셀 시리오스
누아르 베스퍼
가비스 베텔
마키나 X 플레온
반조인 핫카
조스이지 신리

회색
: 과거 멤버



파일:무제834_20230910232554.png홀로라이브 DEV_IS 소속
오토노세 카나데
(おと(((かなで |Otonose Kanade
파일:카나데_데바이스.jpg
성별여성
종족인간
나이20세
생일4월 20일
신장153cm
1인칭카나데
소속파일:데바이스로고_저퀄_변경요망.png
디자인gomzi[1]
Live 2Dおつくえ
데뷔2023년 9월 9일
295일째
구독자 수15.6만 명[기준]
팬덤 명칭오토노세이((おと(せい)[2]
오시마크🎹✨
외부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Hololive 아이콘.svg

1. 개요
2. 스트리밍 규칙
3. 성격 및 방송 특징
3.1. 음악
3.2. 게임
3.3. 언어 능력자(?)
3.4. 아쿠아 스타일
3.5. 덜렁이
5. 관련 밈
6. 다른 유튜버와의 관계
6.1. ReGLOSS
6.2. JP
6.3. ID
7. 음악
8. 여담



1. 개요[편집]


오토노세 카나데의 데뷔 기념 커버곡 《이름 없는 괴물

ここが私のステージだから!

여기가 내 스테이지니깐!

크레셴도 같은 날들을 보내는 음악가의 새싹.

어떤 때라도 그녀의 곁에는 음악이 있다.

희로애락이 겉으로 드러나고, 좋아하는 것을 위해서라면 어디까지나 노력할 수 있지만,

싫어하는 것에는 그만 눈살을 찌푸리게 되는 어린애 같은 면이 아직 남아 있다.

하지만 맛있는 보상이 있다면 이야기는 별개.

홀로라이브 공식 소개 문구


hololive 프로덕션 소속의 버츄얼 유튜버. 2023년 9월 9일 홀로라이브 DEV_IS 소속 ReGLOSS로 데뷔했다.

[ 구독자 증가 추이 | 펼치기 · 접기 ]
파일:카나데_데바이스.jpg오토노세 카나데
구독자 수 변화 추이 일람
||
기준 날짜구독자 수전월 대비[1]
2023년 9월 9일
82,300명
데뷔 당일
[1] 데뷔일을 제외하고 모든 기준 날짜는 당월 1일로 한다.


2. 스트리밍 규칙[편집]




3. 성격 및 방송 특징[편집]



3.1. 음악[편집]


현재 ReGLOSS 그룹에서 음악에 진심인 것으로는 둘째 가라면 서러울 멤버이다. 마슈마로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홀로라이브 지원 동기부터가 음악으로 밥을 (벌어)먹고 싶다는 것이었다. 과거 음악 활동을 했으나 한계를 느꼈고, 홀로라이브에 들어감으로써 더 성장할 수 있을 거라 기대했다고. 무엇보다도 음악적 성과를 가장 중시하는지 반쯤 농담으로 라이브 스트리밍은 보지 않아도 되니 커버송을 들어달라고 몇번이나 말했고, 밈이 될 정도로 선전을 꾸준히 반복해왔다.

특별한 일이 없다면 매주 1회는 가라오케 방송을 하는 스케쥴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커버송도 꾸준한 투고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가창력의 측면에서도 뚜렷한 단점이 느껴지지 않는 어느 정도 완성된 보컬을 들려주고 있는데, 이마저도 독학으로 배운 것이라하니 향후의 성장도 기대된다.

3.2. 게임[편집]


음악 아티스트답게 노래는 잘하지만, 데뷔 시점에서는 게임 실력이 아예 없는 수준이었다. 2023년 9월 16일에 Q REMASTERED를 했을 때는 응원하러 온 동기생 리리카가 5분도 못 되어 폭발했을 정도로 답답한 플레이를 선보였으며, 9월 19일에 동기생인 토도로키 하지메와 51 Worldwide Games로 대결했을 때는 요트의 룰을 몰라서 헤메기도 했다.

이렇게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데에는 안습한 사연이 있는데, 원래 어렸을 때는 게임을 좋아했지만 엄격한 부모가 게임을 금지하는 바람에 성인이 되어서까지 못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게임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 것. 지금도 이런 제약은 여전하고 아직 얹혀사는지 야간경비를 플레이할 때도 밤이고 시끄러우니 12시까지만 하라는 어머니의 말에 고분고분 따라 2시간 반 내로 깨야 했을 정도.

그러나 이렇게 게임 경력이 전무한 것과 대조적으로, 승부욕은 굉장히 강한 편이라 막상 누군가와 대결하기만 하면 적극적으로 공격해온다. 이게 의외로 먹혀드는 건지 우위를 점하거나 이기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게임 못하느라 억눌린 본능이 폭발했다거나, 혹은 원래부터 숨겨진 재능이 있었던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3.3. 언어 능력자(?)[편집]


사용 가능한 언어는 일본어(독학), 영어(의무 교육), 한국어(프로에 가까운 레벨), 링고(사과), 야고(사장), 친아나고(정원장어).[3] 방송에서는 기본적으로 일본어를 사용한다. 데뷔 방송에서는 한국어 인사를 따로 하지 않았는데, 뭔가 이유가 있어서 한국어 사용을 피했던 걸까 진지한 추측이 많았으나 막상 바로 다음날에 밝혀진 전말은 그냥 본인이 까먹어서. 그런데 주력으로 하는 언어인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닌 데다 독학이다 보니, 잘 모르는 사람이 듣기에도 일본어가 다소 서툴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X(트위터)에서도 한자에 약한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동기들의 말 중에서 모르는 단어가 있어서 동기들이 쉽게 풀어서 설명해 주기도 하고,[4] 카나데가 정확한 의미나 뉘앙스를 모르고 던진 표현이 일본인들에게는 상황상 부적절하게 들려서 동기들이 조심스레 교정해 주기도 한다. 이처럼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님에도 일본인 동기들과 함께 데뷔한 사례는 졸업 멤버인 키류 코코 이후로 두 번째이다. 다만 코코가 데뷔했던 때에는 홀로EN이 없었고, 카나데도 자신의 모국어를 쓰는 홀로라이브 그룹이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일본인 동기들과 데뷔한 것이다.

느긋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말하는 속도가 정말 느린 편이다. 아카이브나 클립을 시청할 때 재생 속도를 1.25배 정도로 올리면 일반적인 속도로 느껴져서 더욱 체감이 되는 편. 거기에 덩달아 방송 BGM도 힘 빠지는 BGM[5]이라 실시간으로 지능이 떨어진다, 잠이 온다는 반응도 있다. 그러나 노래를 부를 때는 완전히 딴사람이 되어 청아한 음색으로 폭발적인 성량을 뿜어내는 반전 매력을 보여준다.

첫 방송때는 영어 발음이 좋은 편이었으나, 이후로는 일부러 일본식으로 뭉개고 있다.


3.4. 아쿠아 스타일[편집]


데뷔 방송 때부터 성격 면에서 2기생인 미나토 아쿠아를 묘하게 닮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특유의 엇나간 개그 센스에 "이거 분명 모두 재밌어 할 거야"란 확신, 그리고 스스로 시전하고도 주체하지 못해 아이 같이 웃는 모습이 영락없이 아쿠아와 판박이라는 듯. 이게 단순히 팬들 사이에서의 평가인 것만이 아니라, 데뷔 방송을 보던 미코 사이에서도 대놓고 언급된 부분으로, 심지어 따로 관람하던 후부키마저 뭐야 이 미나토 아쿠아 같은 애는이라 트윗한 뒤 미코멧 방송에 난입해서 공감할 정도였다. 여기에 이 상황을 지켜본 아쿠아 본인도 이의 제기 한답시고 덩달아 방송에 끼어든 건 덤. 아쿠아 본인의 반응

데뷔 이후에는 방송 스타일 외에 현실에서도 아쿠아와 비슷하다는 평가가 속속 나오고 있다. 봇치 더 록!에 빗대어 디자인은 인싸인 니지카인데, 내용물은 아싸인 히토리였다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6]


3.5. 덜렁이[편집]


ReGLOSS 동기들을 넘어 홀로라이브 전체를 통틀어서 수준급의 PON을 자랑한다. 홀로라이브 PON의 대명사인 사쿠라 미코, 1일 1PON으로 유명한 로보코 씨와 비견될 지경인데, 카나데가 데뷔하기 전까지는 그 어떤 홀로멤도 이런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

실제로 데뷔한 지 4일만에 방송 사고를 쳤고 그 여파로 오토노세 카나데/방송 일화 문서의 2023년 9월 13일 부분이 계속 수정된 끝에 토론이 열렸으며, 그 결과 "이 문서는 토론을 통해 한국 국적임을 확신하는 내용은 오토노세 카나데의 국적 및 거주지가 채널 안에서 공식적으로 밝혀지면 표기할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라는 안내문이 붙었다. 9월 13일의 방송 자체는 카나데 채널에 올라와 있으나, 방송 사고 부분은 삭제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지 않고 9월 27일에는 아예 실명이 노출될 뻔한 대형사고가 터지면서 또 언아카이브 처리되는 등 방송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큰 우려를 사고 있다.

방송 세팅과 게임 실력 양면으로 압도적으로 초보스러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며 거기에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니라서 서투르다는 점까지 겹쳐 홀로라이브 사상 최고의 천연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물가에 내다놓은 아이 같다고 할 정도. 거기에다 "에헷... 헤헷..." 하는 특유의 웃음소리가 있다 보니[7] 카나데 방송의 시청자들은 카나데가 아무리 사고를 치든 뭘 하든 얄밉기는커녕 그저 오구오구 잘한다 잘한다 하며 무제한 애호 모드 상태.

실언왕의 왕좌를 계승하려는 듯한 꽉찬 돌직구 토킹이나, OP 제작이 기한을 맞추지 못해 임시 OP를 사용 중인 줄 알았으나, 사실은 제작할 예정조차 없었다. 이외에도 사소한 오타 같은 PON도 많은데, 스케쥴 표의 화요일 란의 Tue를 The로 오타를 내고 있었지만 다행히 약 1주일 뒤 수정되었다. 하지만 ED 화면의 Thani you for watching 문구는 2주일 이상 지난 현재도 수정되고 있지 않아서 이런 건 제보할 거리조차 되지 않는다는 듯한 대형 신인의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하고 있다.

4. 방송 일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오토노세 카나데/방송 일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밈[편집]


  • 연주: 한국 팬덤에서 부르는 별명으로, 일본어로 카나데(奏)란 단어 자체가 음악 연주(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8] 구글 번역기에 카나데의 이름이 들어가면 연주라고 뜨게 된다. 게다가 연주는 실제로 한국에서 여자 이름으로 많이 쓰는지라 별명으로 자연스럽게 자리잡은 것이다. 당연히 안의 사람의 본명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6기생 사카마타 클로에가 카나데의 데뷔 방송을 보며 한국어를 가르쳐달라는 트윗을 하며 장난스럽게 카나데 선배라고 불렀는데, 연주 선배라고 자동 번역된 것이 커뮤니티 각지로 퍼졌고 이게 한국 이름 같아서 입에 착 달라붙다 보니 정착되었다. 성씨인 오토노세에서 '오' 자만 따서 오연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 삐약이: 대체로 한국인 밈을 피하려는 루리웹 사용자들로부터 불리는 별명. 잡담 방송 때 생긴 닭대가리 밈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확히는 카나데의 매니저가 카나데를 병아리 같네요라고 말한 일화가 알려지면서 삐약이로 굳어진 것이다. 카나데의 이미지 색상도 노란색인 데다가 방송 내내 워낙 아이 같은 모습을 보여주다 보니, 밈의 시작은 닭이었지만 팬아트 등 2차 창작에서는 병아리로 그려지는 편이다.

  • 난추콧타(なんちゅこった) / 난떼콧타(なんてこった): 데뷔 이후로 심심치 않게 뱉다가 쿠키요미 방송에 들어서 폭발적으로 튀어나온 말버릇. "이게 무슨 일이야(何という事だ)"를 일본어 화자들이 가벼운 뉘앙스의 구어체로 말하는 것이다. 우리말로 변환하자면 "머선일이고...", 좀 더 의역하면 "웬일이니~", "세상에~" 정도와 일맥상통할 듯. 상술한 쿠키요미 플레이 때 단 한 번의 방송에서 무려 39번이나 말한 주제에, 채팅창이나 트위터 코멘트에 난추콧타를 따라하는 리스너들의 반응을 보고 의아해하는 반응을 보였다. 슬플 때도 즐거울 때도 쓸 수 있어서 자주 쓰게 된다는 듯하다.. 카나데 개인밈을 넘어서 리글로스 동기들 전원이 뻘스러운 상황에 대응하여 즐겨쓰는 밈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채팅창에서는 난츄콧타~에 닭 밈을 합친 닭머리 아이콘을 넣어 도배하는것이 이미 정착하였다.

  • 아핡: 이쪽도 정체불명의 말버릇이자 추임새. 그렇지 않아도 이미 자체적으로 병아리, 닭 밈이 있는데 하필이면 닭삑삑이가 연상되는 괴성을 낸다. 특히 엄청난 노래 실력을 뽐낸 뒤에 여운이 가시기도 전에 정체불명의 아핰! 을 외치며 황홀경에 간 시청자들을 현실로 데려오는 게 주요 사용패턴. 아름다운 목소리의 가희 오토노세 씨와 느려터진 덜렁이 예능인 카나데의 이중인격 전환 스위치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오고 있다.

  • 흠흠(흐무흐무): 난떼콧타와 비슷한 빈도로, 혹은 더 많이 사용하는 말버릇. 그냥 할 말이 없을 때, 실수를 무마하려고 할 때 등 여러 상황에서 쓰인다.

  • 커버곡 홍보: 데뷔 이후 2번째 방송에서 쉴틈없이 상단의 이름 없는 괴물 커버곡의 홍보를 하다가, 그에 그치지 않고 커버곡 썸네일을 마빡에 붙이면서 방송을 진행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방송에서 커버곡 홍보를 하고 있고 나중에는 카나데와의 내기 대결에서 진 하지메까지 홍보에 동원했다. # 이에 팬들도 온갖 제목낚시까지 동원해 커버곡 홍보에 동참하고 있다. #

  • 우메우메: 먹는 것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리액션으로 맛있다는 뜻인 우메우메를 추임새로 넣는일이 많다. 처음에는 원래 뜻대로 사용했지만 점점 '방송이 끝나면 과자를 우메우메할 생각이다'처럼 형용사가 아닌 동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결국에는 '우메우메가 남았으니 기다리라'며 명사로도 사용하고 말았다.

  • 너희들: 방송 중 오마에라(おまえら)라고 리스너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본래 팬덤명은 오토노세이로 정해진 바 있으나, 사실상 데뷔 방송을 포함해 두어번 정도 언급만 되었을 뿐 직접적으로 리스너를 오토노세이라 부른 적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 리스너들도 일부는 오마에라를 비공식 팬덤명처럼 받아들이고 있었는데, 마침내 수익화와 슈퍼챗 리딩 방송 타이틀마저 '너희들 고맙습니다'와 '너희들의 사랑(슈퍼챗)을 깨뭅니다'로 게시됨에 따라 이런 인식에 쐐기를 박고 말았다.

6. 다른 유튜버와의 관계[편집]


학창시절에 아싸였던 한을 풀려는 것인지, 적극적으로 선배들과 교우관계를 맺는 중이다.


6.1. ReGLOSS[편집]


카나데를 캬나디시티 하카타 라는 특이한 별명으로 부른다. 이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 이치조 리리카 또한 캬나디라고 부른 적이 있다.

동기 전원에게 숨김없이 친근감을 드러내는 아오이지만 카나데를 특히 귀여워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케맨 무브를 칠 때마다 기분나쁘다며 질색하는 모습을 보면 참을 수가 없는 듯 하다. 그러면서도 긴장되면 자신에게 찰싹 달라붙는다고 자랑스레 폭로.


6.2. JP[편집]


JP 멤버는 워낙 수가 많아서 0기생부터 6기생까지 순서대로 표기했다.
카나데의 데뷔방송을 시청했으며, hololive meet 토크쇼에 출연하기 위해 스이세이와 함께 싱가포르로 비즈니스 여행을 다녀왔다. 이때 시라켄, 바카타레, 모모스즈 가, 스타텐도, 그리고 ReGLOSS 멤버들의 선물을 사왔는데, 카나데의 선물을 까먹고 안 사는 PON을 저질렀다. 미코는 미안하다며 자기 몫으로 산 거울을 카나데에게 주기로 했다. 그러니 (선물 전달을 위해서라도) 콜라보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건 카나데가 금발이고, 미코의 취향도 금발이다.

미코와 함께 카나데의 데뷔방송을 시청했으며, 카나데가 아쿠아의 딸이라는 농담을 던진 장본인이다.

9월 7일에 열린 홀로라이브 6주년 기념방송에서 0기생들이 모였을 때 처음으로 카나데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카나데의 외모가 아즈키와 비슷하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아즈키 딸이 아니냐는 농담이 나왔다. 그러나 데뷔 첫날 오프닝부터 함정카드가 발동된 데다가 마츠리와 아쿠아가 잇달아 관심을 보이는 바람에 현재는 잠잠한 상태.

카나데가 X에 남긴 "저는 ReGLOSS의 청초입니다. 맡겨주세요. 갸하하"라는 글을 A짱이 방송에서 소개한 후, 이번에도 청초 가차가 실패했다며 겉은 호시카와 사라인데 속은 마츠리이니 마츠리 딸이 아니냐는 농담이 퍼졌다. 마츠리 본인도 ReGLOSS의 포스터를 보자마자 카나데를 점찍으며 나랑 닮았다며 콜라보하고 싶은 의사를 내비쳤다.

카나데의 데뷔방송을 보는 미코, 스이세이, 후부키의 옆에 왔다가 스이세이로부터 (카나데가) 네 딸이다라는 말을 들었다. 아쿠아 본인의 방송에서도 "혹시 카나데가 아쿠아 딸이 아니냐"는 질문을 들었다며 자기와 마음이 잘 맞지 않을까 기대했다.

아쿠아의 엄마를 자처하고 있어서, 카나데가 아쿠아의 딸이라는 농담이 퍼지자 할머니로 격상당했다.

X에 "ReGLOSS 애들 콜라보에 부르고 싶은데 용기가 안난다"고 글을 남겼더니 카나데가 곧바로 "으쌰! 오늘은 범고래 우메우메다!"라고 댓글을 쓰는 바람에 클로에가 기겁했다. ReGLOSS와 HoloX의 첫 콜라보 이후에는 카나데에게 선물을 받았다며 X에 글을 남겼으며, 카나데가 "X에서는 친절했는데 현실 콜라보에서는 대화를 많이 못했다"며 신경쓰이는 선배라고 언급했다.# 친구한테 들었다는 자신의 대화 패턴에 대해 보여줄 때, 사카마타의 유행어인 '포에포에'가 포함되어 있었다. 좋아해서 옮았다고 말해 데뷔 전부터 애청자였음을 보여줬다.#

HoloX와의 첫 콜라보에서 만났으며, 카나데는 이로하를 가리켜 '매우 상냥한 선배'라며 "고자루 선배라고 불러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며 자랑했다.


6.3. ID[편집]


카나데가 콜라보하고 싶다고 지목한 ID멤버 1.

카나데가 콜라보하고 싶다고 지목한 ID멤버 2.


7. 음악[편집]




8. 여담[편집]


  • 캐릭터 디자인을 보면 음악에 관련된 디테일이 굉장히 많다. 가장 우선 눈에 띄는 것은 머리에 ♬♪ 모양의 브로치를 달고 있다는 것. 그 외에도 목 앞의 리본은 가온음자리표 모양으로 묶여 있으며, 겉옷 소매에는 도돌이표 기호로 장식되어 있고, 겉옷 아랫단에는 검은건반과 흰건반이 화려하게 수놓여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신고 있는 스타킹의 왼쪽 밴드에는 오선보가, 오른쪽 가터에는 낮은음자리표가 장식되어 있다.

  • 밥이나 간식 등의 먹을 것에 대한 트윗이 굉장히 많다. 뿐만 아니라 배고프다는 말도 많이 한다. 먹는 트윗에서는 대충 뭔가 맛있어하는 의미로 "우메우메"(うめうめ)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특징. 국내 팬덤에서는 "존맛 꿀맛" 정도로 번역되고 있다. 일본에 데뷔차 방문했다가 과자를 잔뜩 가져오기도 했는데, 스튜디오에 쌓여있던 과자도 챙기고 멤버들에게 선물로 받은 것도 모자라 초콜렛까지 사와서는 블루져니 방송을 보곤 감동해 지친 심신을 달랜다며 방송 초반부에 집어먹었다. # 한번은 '감사합니다 커버 주식회사'라고 뜬금없이 정중한 감사 트윗을 썼는데, 스튜디오에 갔을 때 받아온 카스테라가 우메우메해서 감동했던 것이 원인이었다.


  • 각 언어의 숙련도를 짤막하게 말했는데, 일본어는 독학으로 일상 회화 레벨, 영어는 의무 교육을 받았다며 역시 일상 회화 레벨 정도, 그리고 한국어는 독학으로 거의 프로 레벨이라고 설명하였다. 때문에 한국에서 함정카드 밈으로 자주 쓰이는 열정적인 듀얼리스트들을 쓴 것과 더불어 국적이 일본이 아닐 것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자신이 직접 "시차가 없는 해외에서 살고 있다."라고 해서 이 근거 삼아 한국인이라고 추측하는 시청자가 많다.
[1] CHUNITHM 시리즈의 水戸 雫를 담당했으며 미나토 아쿠아의 점묘의 노래 커버 영상 일러를 담당했다. 라움 아카데미 강사로도 활동 중이며#, 곰지라고 읽는다고.#[기준] 2023. 09. 20.[2] '오토노세'와 '세력'을 뜻하는 세이((せい)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3] 아재개그다. 일본어로 '~어(語)'는 '~고'로 발음하기 때문. 링고는 "링고 링고 링고"로 말했으며, 야고는 그의 말버릇인 "소우데스네~" 친아나고는 부끄럽다며 스킵. 친아나'고'는 정원장'어'라서 한국어로도 성립된다.[4] 심지어 동기들 중에 리리카와 라덴은 토크가 미친 듯이 빠르고, 하지메는 미코나 루나 이상으로 발음이 좋지 않아 원어민들도 알아듣기 힘들어한다.[5] 선배인 홀로라이브 EN 2기 하코스 벨즈의 방송 종료 BGM과 동일하다.[6] 쿠키요미 플레이 전에 본인은 공기와 다름없는 존재였다며 한 일화를 소개했는데, 고등학교 진학 후 같은 반에 중학교 시절 친구가 있었으나, 그 친구는 새로운 고등학교 친구를 사귀게 되었지만 본인은 새 친구와 친해지지 못해 결국 밥을 혼자 먹게 되었으며, 이것을 목격한 담임은 혹시 따돌림을 당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어 그녀를 불러내어 괜찮냐고 물어봤었다고 한다. #[7] 텐션이 더 높을 때는 "하하- 하-" 하면서 길게 끄는 웃음소리를 낸다.[8] 정확히는 '연주하다'를 의미하는 동사가 카나데루(奏でる)고, 그 명사형인 카나데(奏で)가 '연주'란 뜻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