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진행중인 컨텐더스 시즌에 대한 내용은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 문서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번 문단을
2023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서머 시리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프로가 되는 길
예선승강전 (폐지)본선
파일:Overwatch Open Division 2023 logo.png파일:preview_image_owc_trial.png파일:DU-mc25X4AUr0Ro.png
오버워치 오픈 디비전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오버워치 컨텐더스
오버워치 WDG 오픈 토너먼트코리아코리아
2018: S1S2S3
2019: S1S2
2020: S1S2S3
2018: S1S2S3
2019: S1S2
2020: S1S2
2021: S1S2
2018: S1S2S3
2019: S1S2
2020: S1S2
2021: S1S2
2022: SSRIB
2023: SPSSMSFS
기타 대회
오버워치 코리아컵육군참모총장배 솔저: 76 토너먼트오버워치 대학경쟁전
→ 오버워치 국제 e스포츠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OVERWATCH CONTENDERS KOREA
파일:DU-mc25X4AUr0Ro.png
주최/주관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총 상금2억 원
경기 관람 예매처인터파크 티켓
공식 홈페이지파일:오버워치 컨텐더스 로고.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위 대회승강전오버워치 컨텐더스 트라이얼 코리아
예선오버워치 오픈 디비전 코리아
최근 우승 팀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2021 S2)
최다 우승 팀파일:Runawaylogo.png RunAway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3회)

1. 개요
2. 참가 팀
3. 개편까지의 과정
4. 방식
5. 리그 일람
7. 중계진
8. APEX와의 차이점
9. 여담
10.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개최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오버워치 공식 리그. 오버워치 리그 출범 이전 국내, 세계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의 메이저 리그였던 오버워치 APEX가 2018 시즌 개편안에 따라 컨텐더스로 편입 및 개편되어 새로 출범되는 리그이다.

오버워치 리그, 퍼시픽 쇼다운의 등장으로 많은 사람들이 2부 리그라고 착각하고 있으나 엄연히 APEX를 계승한 1부 리그이다. 오버워치 리그는 확실히 컨텐더스 보다는 윗단계의 대회이지만 축구, 야구 등지에서도 국내에서만 진행되는 대회 안에서만 1부-2부 등을 나누며 여기서 외국과의 경기를 치루거나 해외 리그로 기량이 좋은 선수들을 이적 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2. 참가 팀[편집]


||




3. 개편까지의 과정[편집]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는 오버워치 APEX가 블리자드로 넘어가 개편된 대회다. 시즌 4를 마지막으로 오버워치 APEX는 약 1년만에 스토브 리그를 가지게 되었는데, 시즌4 종료 이후 많은 메이저 팀들이 오버워치 리그로 넘어가버렸고 결승전이 끝난 후에 정소림 캐스터의 마무리 인사, 클로징 영상으로 나온 다큐멘터리 등으로 인해 팬들로부터 APEX가 설마 시즌 4에서 끝나는 것 아니냐라는 의혹까지 나왔다. 해설자 중 한 명인 황규형의 결승전 복기 방송에서 나온 썰에 의하면, 2017년 내에는 경기가 없는 게 맞고 2018년 3월까지도 정해진 게 아무것도 없다는 말이 나왔다.

이 긴 휴식기 때문에 자신을 어필할 기회가 없어진 국내 팀들에 위기가 찾아왔으며, RunAway의 게임단주 러너는 20일 개인 방송에서 오버워치 팀들의 열악한 환경을 주제로 이야기 하던 중 "차기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1~2팀 정도 터질 것"이라 예언하였다. 그리고 말이 끝나기도 무섭게 이틀 만에 APEX 시즌 4에서 5위를 차지한 LW RED가 끝내 해체하였다.[1] 그것에 이어 11월 4일에는 Afreeca Freecs, 11월 13일에는 Flash Lux가 연이어 해체를 선언했다.

그리고 블리자드의 2018 시즌 개편안에 따라 APEX는 기존에 블리자드에서 주최하던 대회인 Overwatch Contenders에 편입되어 최종적으로는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로 개편되었다. APEX 시즌 4에서 최소 상위 6개 팀이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에 초청될 것이라 예고했고, 실제로는 상위 7개 팀 및 챌린저스 시즌 4 1위 팀 등 총 8팀이 초청되었다.

2017년 12월 21일 오버워치 리그와 함께 컨텐더스 코리아도 MBC SPORTS+에서 중계한다는 기사가 났다.기사 참조. MBC GAME 폐국 6년 만에 MBC 플러스의 e스포츠 진출이 오버워치로 다시 시작되는 것이다. 다만 오랫동안 OGN이 공들여 온 한국 오버워치 프로씬을 MBC가 숟가락만 얹는 것이 아니냐는 불만이 많았다. 이에 OGN 측에서는 오버워치 리그와 컨텐더스의 중계권을 잡기 위해 블리자드 측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대부분 수용했으나 어른들의 사정으로 블리자드 측에서 MBC에 중계권을 넘겨버렸다고 밝혔다.


4. 방식[편집]






5. 리그 일람[편집]


'''||




6. 역대 기록 일람[편집]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역대 기록 문서 참조.


7. 중계진[편집]



7.1. 2018년 (MBC SPORTS+)[편집]




7.2. 2019년 (WDG)[편집]




7.3. 2020년 (SBS AfreecaTV)[편집]




7.4. 2021년~2023년 (WDG)[편집]




8. APEX와의 차이점[편집]






9. 여담[편집]






그러다가 2019 시즌 2 결승전 이후 현재 RunAway의 소유주인 러너가 꽃빈의 개인 방송에서 'OGN이 주관함'이라는 채팅 내용이 커뮤니티에 퍼지며 주관이 확정되나 싶었지만, 이후 관계자 측에서는 주관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거기에 출범 시즌부터 줄곧 리그에서 활동했던 백찬형 선수는 "본래 리그에서 뛰던 선수보다 컨텐더스 출신의 몸값이 더 비싼게 이해가 안된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컨텐더스가 막연한 OWL의 하위호환 이라면 구단들이 컨텐더스 유망주 영입에 이렇게 돈을 쓸 리가 없다.






10.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9:09:06에 나무위키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WGS Laurels Nine이라는 이름으로 시드권을 유지하게 되어 해체는 면했다.[시즌1] [2021년] [2] 걸려봤자 3~5분 내외였다.[3] 다만 2020년 7월자로 SBS가 채널에서 철수하였다.[4] 부스 공간이 좁아 최대 5명까지만 가능하다. OGN의 경우 상암 e스타디움의 부스가 넓은 편이어서 오버워치 경기를 할 때는 뒤로 PC를 한 대 더 놓고 할 수 있었다.[5] 다만, 넥슨측이 반발할 확률이 있다.[6] 그나마 유튜브 채널 Loud G로 명맥을 이었으나, 이마저도 스틸에잇에 매각되면서 업로드가 멈추어 버렸다.[7] 그것도 인혁이 결정타로 사용하려던 대지분쇄를 에디슨이 단일 해킹으로 캔슬시키며 역으로 한타를 박살냈고, 말 그대로 간발의 차이로 이겼다.[8] 여담으로 부산은 이 경기를 포함해서 엘미를 이겨본 적이 한 번도 없다.[9] 그나마 따낸 1점도 엘미의 수성에 막히다가 추가 시간 끝에 간신히 뚫어내서 이겼다.[10] 그 때문에 리플레이는 영웅 시점이 아닌 영상으로 나온다. 2019 시즌 2에서 도하가 궁을 들고 객사한다던지 희수가 교전 직전에 낙사했을 때에 그 선수 시점을 잡아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