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로드아일랜드 주지사

덤프버전 :


파일:Seal_of_Rhode_Island.png

대수
(#)
이름취임일퇴직일정당
초대니컬러스 쿡1775년 11월 7일1778년 5월 4일없음[A]
2대윌리엄 그린1778년 5월 4일1786년 5월 3일없음[A]
3대[1]존 콜린스1786년 5월 3일1790년 5월 5일없음
4대아서 페너1790년 5월 5일1805년 10월 15일농민당[2]
5대헨리 스미스1805년 10월 15일1806년 5월 7일농민당
6대아이작 윌버1806년 5월 7일1807년 5월 6일농민당
7대제임스 페너1807년 5월 6일1811년 5월 1일
민주공화당

8대윌리엄 존스1811년 5월 1일1817년 5월 7일연방당
9대니어마이아 R. 나이트1817년 5월 7일1821년 5월 2일
민주공화당

10대윌리엄 C. 깁스1821년 5월 2일1824년 5월 5일
민주공화당

11대제임스 페너1824년 5월 5일1831년 5월 4일
민주공화당

12대레뮤얼 H. 아널드1831년 5월 4일1833년 5월 1일

13대존 브라운 프랜시스1833년 5월 1일1838년 5월 2일

14대윌리엄 스프레이그 3세1838년 5월 2일1839년 5월 2일

15대새뮤얼 워드 킹1839년 5월 2일1843년 5월 2일로드아일랜드당
(Rhode Island Party)
16대토머스 윌슨 도어1842년 5월 1일1843년 1월 23일도어의 반란
(extralegal, Dorr Rebellion)[3]
17대제임스 페너1843년 5월 2일1845년 5월 6일법과 질서당
(Law and Order Party of Rhode Island)
18대찰스 잭슨1845년 5월 6일1846년 5월 6일

자유당[4]
(Liberation Party)
19대바이런 다이먼1846년 5월 6일1847년 5월 4일법과 질서당
20대엘리샤 해리스1847년 5월 4일1849년 5월 1일

21대헨리 B. 앤서니1849년 5월 1일1851년 5월 6일

22대필립 앨런1851년 5월 6일1853년 7월 20일

23대프랜시스 M. 다이몬드1853년 7월 20일1854년 5월 2일

24대윌리엄 W. 호핀1854년 5월 2일1857년 5월 26일

25대엘리샤 다이어1857년 5월 26일1859년 5월 31일

26대토머스 G. 터너1859년 5월 31일1860년 5월 29일

27대윌리엄 스프레이그 4세1860년 5월 29일1863년 5월 3일

28대윌리엄 C. 커즌스1863년 5월 3일1863년 5월 26일

29대제임스 Y. 스미스1863년 5월 26일1866년 5월 29일

30대앰브로스 에버렛 번사이드1866년 5월 29일1869년 5월 29일

31대세스 패들퍼드1869년 5월 29일1873년 5월 23일

32대헨리 하워드1873년 5월 23일1875년 5월 25일
33대헨리 리핏1875년 5월 25일1877년 5월 29일
34대찰스 C. 밴잰트1877년 5월 29일1880년 5월 25일
35대앨프리드 H. 리틀필드1880년 5월 25일1883년 5월 29일
36대오거스터스 O. 본1883년 5월 29일1885년 5월 26일
37대조지 P. 웨트모어1885년 5월 26일1887년 5월 29일
38대존 W. 데이비스1887년 5월 29일1888년 5월 29일
39대로얼 C. 태프트1888년 5월 29일1889년 5월 28일
40대허버트 W. 래드1889년 5월 28일1890년 5월 27일
41대존 W. 데이비스1890년 5월 27일1891년 5월 26일
42대허버트 W. 래드1891년 5월 26일1892년 5월 31일
43대D. 러셀 브라운1892년 5월 31일1895년 5월 29일
44대찰스 W. 리핏1895년 5월 29일1897년 5월 25일
45대엘리샤 다이어 주니어1897년 5월 25일1900년 5월 29일
46대윌리엄 그레고리1900년 5월 29일1901년 12월 16일
47대찰스 D. 킴볼1901년 12월 16일1903년 1월 3일
48대루시어스 F. C. 가빈1903년 1월 3일1905년 1월 3일
49대조지 H. 어터1905년 1월 3일1907년 1월 7일
50대제임스 H. 히긴스1907년 1월 7일1909년 1월 5일
51대아람 J. 포티에1909년 1월 5일1915년 1월 5일
52대R. 리빙스턴 베크먼1915년 1월 5일1921년 1월 4일
53대에머리 J. 샌수시1921년 1월 4일1923년 1월 2일
54대윌리엄 S. 플린1923년 1월 2일1925년 1월 6일
55대아람 J. 포티에1925년 1월 6일1928년 2월 4일
56대노먼 S. 케이스1928년 2월 4일1933년 1월 3일
57대시어도어 프랜시스 그린1933년 1월 3일1937년 1월 5일
58대로버트 E. 퀸1937년 1월 5일1939년 1월 3일
59대윌리엄 헨리 밴더빌트 3세1939년 1월 3일1941년 1월 7일
60대J. 하워드 맥그래스1941년 1월 7일1945년 10월 6일
61대존 올랜도 파스토레1945년 10월 6일1950년 12월 19일
62대존 S. 매키어넌1950년 12월 19일1951년 1월 2일
63대데니스 J. 로버츠1951년 1월 2일1959년 1월 6일
64대크리스토퍼 델세스토1959년 1월 6일1961년 1월 3일
65대존 A. 놋 주니어1961년 1월 3일1963년 1월 1일
66대존 채피1963년 1월 1일1969년 1월 7일
67대프랭크 릭트1969년 1월 7일1973년 1월 2일
68대필립 W. 노엘1973년 1월 2일1977년 1월 4일
69대J. 조지프 개러히1977년 1월 4일1985년 1월 1일
70대에드워드 D. 디프렛1985년 1월 1일1991년 1월 1일[5]
71대브루스 선들런1991년 1월 1일1995년 1월 3일
72대링컨 C. 앨먼드1995년 1월 3일2003년 1월 7일
73대도널드 카시어리2003년 1월 7일2011년 1월 4일
74대링컨 채피2011년 1월 4일2013년 5월 30일
2013년 5월 30일2015년 1월 6일
75대지나 레이몬도[6]2015년 1월 6일2021년 3월 2일
76대대니얼 맥키2021년 3월 2일현직

[A] A B 로드아일랜드가 아직 정식적으로 미합중국 정부에 가입하기 이전이라 정당은 존재하지 않았다.[1] 로드아일랜드가 미합중국 정부에 가입한 이래로 첫 번째 주지사이다.[2] 혹은 지방당(Country Party)[3] 마저리 켈리 작가의 저서 '주식회사 이데올로기 - 21세기 경제 귀족주의의 탄생' 이라는 책에서는 도어의 반란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도어는 로드아일랜드에서 백인 남성의 참정권을 놓고 벌어진 투쟁의 영웅이었다. 로드 아일랜드에서는 한 때 재산 요건 때문에 성인 남성의 절반 이상이 투표권을 갖지 못했다. 1842년 투표권이 없는 이들이 봉기해 도어 반란(Dorr Rebellion)을 일으켰다. 그들은 모든 백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줄 것을 요구하는 그들만의 '인민 헌법(People's Constitution)을 만들고 도어를 주지사로 선출했다. 이로써 로드아일랜드에는 주지사가 두 명인 이상한 사태가 연출되었고, 결국 존 타일러 미합중국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반란을 진압했다. 그이후로, 도어는 재판에 회부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결국 1년만 복역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가 내세웠던 대의가 승리를 거두었다. 1843년 로드아일랜드의 참정권 조항이 개정된 것이다. 1850년대에 이르러서는 투표권의 재산 요건이 거의 모든 주에서 폐지되었다. 토머스 윌슨 도어는 엘리자베스 스탠턴만큼 알려졌어야 할 인물이다. 하지만 도어는 그리 유명하지 않다. 집단적 기억상실증이라도 걸린 듯 빈부 차별의 역사가 고스란히 잊혔기 때문이다. [4] 또는 해방당[5] 퇴임 후 부패 혐의로 수감되었다.[6] 바이든 행정부의 상무장관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