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고괴담 여섯번째 이야기: 모교

덤프버전 :



여고괴담 여섯번째 이야기: 모교 (2021)
WHISPERING CORRIDORS 6: THE HUMMING
파일:여고괴담6_메인포스터(개봉일).jpg
장르공포, 스릴러, 미스터리, 느와르
감독이미영
각본이미영
제작이춘연
출연김서형, 김현수, 최리, 김형서, 권해효
촬영성승택
조명김광민
편집박곡지, 이윤희
미술전경란, 고재영
음악조성우[1]
촬영 기간2019년 7월 9일 ~ 2019년 9월 8일
제작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씨네2000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th, CJ CGV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6월 17일
화면비2.35:1
상영 시간108분[2]
109분 (감독판)
스트리밍파일:넷플릭스 로고.svg | 파일:wavve 로고.svg
대한민국 총 관객 수94,436명 (최종 기준)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1.1. 예고편
1.2. 포스터
2. 시놉시스
3. 출연진
4. 평가
5. 흥행
6. 고증 및 현실 재현 오류
7. 여담



1. 개요[편집]


국내 최장수 공포 영화 여고괴담 시리즈의 여섯 번째 작품으로, 여고괴담 5 - 동반자살 이후 12년 만의 후속작이다.

2019년 7월 9일 크랭크인하여 같은 해 연말 크랭크업, 2020년 7월 10일 제24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개막작으로 최초 공개되었다.

국내 정식 개봉일은 2021년 6월 17일이다.



1.1. 예고편[편집]


메인 예고편

캐릭터 예고편


1.2. 포스터[편집]


파일:여고괴담-6_티저-포스터.png
파일:여고괴담6_메인포스터(개봉일).jpg
티저 포스터메인 포스터

공포ver. 소름ver.
모션 포스터


2. 시놉시스[편집]


고교시절의 기억을 잃은 ‘은희(김서형)’는

모교에 교감으로 부임한 후부터

알 수 없는 환영과 환청에 시달리기 시작한다.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문제아로 내몰린 ‘하영(김현수)’은

홀리듯 들어간 학교의 폐쇄된 화장실에서 귀신 소리를 듣게 되고

그 곳에서 같은 아픔을 가진 ‘은희(김서형)’와 마주친다.

두 사람은 학교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일들이

화장실에 있는 존재와 연관됐음을 알게 되고,

곧 죽음의 공포와 마주하게 된다.

기억 속에 감춰진 충격적인 진실이 밝혀진다!

출처: 네이버 영화



3. 출연진[편집]


  • 노은희 역 - 김서형[3]
  • 김하영 역 - 김현수
  • 김소연 역 - 최리
  • 노은희 아역 역 - 김형서
  • 배광모 역 - 권해효
  • 안미숙 역 - 서혜원
  • 박연묵 역 - 장원형



4.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7849|
기자·평론가
4.20 / 10
관람객
6.18 / 10
네티즌
5.98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4.20 / 10
관람객
6.18 / 10
네티즌
5.98 / 10
]]
평점 6.1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4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63%





MRQE
평점 / 100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어느 정도의 긴장감과 공포감을 조성하던 초중반에 비해, 후반은 갑자기 잔혹 복수극 쪽으로 전개 방향이 바뀌면서 별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중반까지는 1편의 명장면이라고 불리는 점프컷 등을 오마쥬하는 등 꽤 인상적인 호러 시퀀스들이 나오나, 후반에는 앞에 남겨둔 떡밥들을 급하게 회수하느라 매우 혼란스러운 전개를 보여준다. 또한, 영화의 반전으로 근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을 다루는데[4].이 반전은 앞에 복선 없이 너무 뜬금없이 나와 오히려 관객들의 혼란만 더 불러일으켰다.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다루는 의도는 좋으나, 이 요소들이 잘 어울려지지 않았다는 평이 꽤 많다.

이와 반대로 배우들의 연기력에 대해서는 많은 관객들이 대체로 호평을 내렸다. 특히 김서형의 연기에 대한 호평이 많다.[5]

OST와 사운드 디자인 등의 음향효과, 촬영과 미술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감독이 제작자로 참여한 영화 비밀은 없다와 평가 부분에서 유사점들이 꽤 있다. 트리거 요소를 많이 담았다는 점, 편집이 부자연스럽다는 점, 평가에서 많은 호불호가 갈린다는 점이 유사하다.

시리즈 중 가장 잔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6]

전반적으론 예전의 명성을 되찾은 작품은 아니나 적어도 5보단 낫다는 평이다.낫배드


5. 흥행[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XX-XX-XX. 1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일차(목)-명-위-원
20XX-XX-XX. 3일차(금)-명-위-원
20XX-XX-XX. 4일차(토)-명-위-원
20XX-XX-XX. 5일차(일)-명-위-원
20XX-XX-XX. 6일차(월)-명-위-원
20XX-XX-XX.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XX-XX-XX. 8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9일차(목)-명-위-원
20XX-XX-XX. 10일차(금)-명-위-원
20XX-XX-XX. 11일차(토)-명-위-원
20XX-XX-XX. 12일차(일)-명-위-원
20XX-XX-XX. 13일차(월)-명-위-원
20XX-XX-XX.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XX-XX-XX.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16일차(목)-명-위-원
20XX-XX-XX. 17일차(금)-명-위-원
20XX-XX-XX. 18일차(토)-명-위-원
20XX-XX-XX. 19일차(일)-명-위-원
20XX-XX-XX. 20일차(월)-명-위-원
20XX-XX-XX.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XX-XX-XX.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3일차(목)-명-위-원
20XX-XX-XX. 24일차(금)-명-위-원
20XX-XX-XX. 25일차(토)-명-위-원
20XX-XX-XX. 26일차(일)-명-위-원
20XX-XX-XX. 27일차(월)-명-위-원
20XX-XX-XX. 28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 관객수 -명, 누적 매출액 -원[7]


6. 고증 및 현실 재현 오류[편집]





7. 여담[편집]


[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
1. 은희(김서형)가 시체를 담은 캐리어를 학교의 화장실로 끌고 가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2. 엔딩 장면이 다르다. 본편에서는 은희(김서형)가 정신병동에서 허공을 바라보는 장면으로 끝이 나지만 감독판에서는 은희가 모교의 교감으로 전근가던 날,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뉴스[1]를 들으며 차의 룸미러에 비친 은희의 미소를 보여주며 끝이 난다.
[1] 조깅을 하러 간 60대 남성이 실종되고 그의 집앞에 병역 증명서와 수백마리의 지렁이가 함께 든 가방이 놓여 있었다는 내용과 집 앞 CCTV에 찍힌 한 여성을 추적 중에 있다는 내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9:29:39에 나무위키 여고괴담 여섯번째 이야기: 모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의 음악감독.[2]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용 상영본은 117분이었으나 극장용 상영본은 약 9분 가량 편집되었다.[3] 여고괴담 4 - 목소리에서 희연 역을 맡았다.[4] 특히 이 장면에서 계엄군은 현실 고증을 아주 훌륭히 따라 아무 이유없이 여학교에 쳐들어가 아무 여학생이나 성폭행 하려는 자신들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무고한 학교 소사를 아무렇지도 않게 살해하는 발정난 사이코패스 살인마 범죄자들로 등장한다. 또한 이 역을 맡은 배우로는 김민귀, 이재남으로 그 중 이재남의 경우는 다른 작품에서 무술지도도 맡고 있다.[5] 김서형이 영화를 살렸다는 평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6] 날카로운 물건으로 눈을 찌른다거나 신체 절단, 부패된 시체 등 꽤 높은 수위의 잔혹성을 보여준다. 사실 5편도 재심의를 받기 전에는 청소년 관람불가였다.[7] ~ 20XX/XX/XX 기준[8]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