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소시스트: 믿는 자 (r1판)

편집일시 :

파일:The_Exorcist_movie_logo.png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The Exorcist
엑소시스트
(1973)
Exorcist II: The Heretic
엑소시스트 2
(1977)
The Exorcist III
엑소시스트 3
(1990)
Exorcist: The Beginning
엑소시스트: 더 비기닝
(2003)
Dominion: Prequel to the Exorcist
도미니언: 프리퀄 투 더 엑소시스트
(2005)
블룸하우스 프로덕션 리부트 시리즈
The Exorcist: Believer
엑소시스트: 믿는 자
(2023)
The Exorcist: Deceiver
엑소시스트: 디시버
(2025)
The Exorcist:--
--
(202x)


한국 개봉일까지D257

엑소시스트: 믿는 자 (2023)
The Exorcist: Believer
파일:엑소시스트 믿는 자 최종 포스터.jpg
북미 포스터 ▼
파일:더 엑소시스트 빌리버 메인 포스터.jpg
장르공포
감독데이빗 고든 그린
각본데이빗 고든 그린
피터 새틀러
원작윌리엄 피터 블래티
주연엘렌 버스틴, 레슬리 오덤 주니어, 앤 도드
제작제이슨 블룸
데이비드 C. 로빈슨
제임스 G. 로빈슨
촬영
음악
편집
미술
의상
제공사파일:미국 국기.svg 블룸하우스 프로덕션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블룸하우스 프로덕션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10월 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10월 18일
화면비
상영 시간111분 (1시간 50분 59초)
상영 타입2D | IMAX(해외) | 4DX | Dolby Cinema
제작비$
북미 박스오피스$
월드 박스오피스$
대한민국 총 관객 수151명 (2023년 10월 12일 기준)
스트리밍
상영 등급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링크

1. 개요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4. 예고편
4.1. 기타 영상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평가
10. 흥행
11. 기타



1. 개요[편집]


엑소시스트 시리즈의 첫 번째 리부트 작품. 오리지널 1973년작에서 이어지는 50주년 기념 속편이자 리부트작이다.


2. 개봉 전 정보[편집]


  • 2023년 5월에 테스트 스크리닝을 진행하였으나, 평가는 그다지 좋지 않은 편. 너무 길고 무섭지 않다는 평이 대다수. # 덕분에 호러 팬들은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3. 포스터[편집]


파일:엑빌 106.jpg
파일:더 엑소시스트 빌리버 메인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메인 포스터
한국 포스터 ▼

파일:엑소시스트 믿는 자 최종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


파일:엑믿 돌비 시네마 포스터.jpg
Dolby Cinema 포스터


4. 예고편[편집]


1차 예고편

2차 예고편


4.1. 기타 영상[편집]


공포의 바이블 '엑소시스트' 탄생

우리 제법 친해요 feat. 악마 빙의

엑소시즘의 현장 속으로


5. 시놉시스[편집]


한날한시에 동시에 사라졌던 앤젤라와 캐서린.

기억이 전부 사라진 채 상처투성이 몸으로 돌아온 두 아이는

이상증세를 보이며 날이 갈수록 섬뜩하게 변해간다.

마침내 두 아이의 몸을 동시에 차지한 악마가 존재를 드러내고,

한 명을 살리면 한 명이 죽는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지는데…

신이 너한테 장난을 쳤네

극한의 공포와 대면할 자, 누구인가



6. 등장인물[편집]


  • 크리스 맥닐 - 엘런 버스틴
  • 빅터 필딩 - 레슬리 오덤 주니어
  • ? - 앤 도우드
  • ? - 라파엘 스바지
  • ? - 제니퍼 네틀스
  • 앤젤라 필딩 - 리디야 주잇
  • 캐서린 - 올리비아 마컴
  • ? - E.J. 보닐라
  • ? - 안토니 코론


7. 줄거리[편집]




8. 사운드트랙[편집]




9. 평가[편집]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로튼토마토=the_exorcist_believer, 로튼토마토_tomato=22, 로튼토마토_popcorn=59,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

테스트 스크리닝 때부터 이미 평가가 매우 안 좋았고, 결국 개봉 이후에도 평가를 뒤집지 못한 채 평론가 관객 양쪽 모두에게 혹평을 받았다. 감독인 데이비드 고든 그린은 과거 연출작들 중 할로윈 2018년 판까진 호평을 받았지만 이후에 연출한 할로윈 킬즈, 할로윈 엔드의 완성도 문제 때문에 평가가 갈리기 시작했는데, 엑소시스트에서는 할로윈이 그나마 낫게 느껴질 정도로 훨씬 더한 혹평을 받으면서 할로윈에 이어 또다른 명작 호러 프랜차이즈를 부관참시하려는 거 아니냐는 오명을 뒤집어쓰게 됐다.

같은 해에 개봉한데다 엑소시스트 시리즈보다도 우려먹었지만 화려하게 부활한 쏘우 X와는 정반대인 셈이다.

10. 흥행[편집]




10.1. 대한민국[편집]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XX-XX-XX. 1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일차(목)-명-위-원
20XX-XX-XX. 3일차(금)-명-위-원
20XX-XX-XX. 4일차(토)-명-위-원
20XX-XX-XX. 5일차(일)-명-위-원
20XX-XX-XX. 6일차(월)-명-위-원
20XX-XX-XX.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XX-XX-XX. 8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9일차(목)-명-위-원
20XX-XX-XX. 10일차(금)-명-위-원
20XX-XX-XX. 11일차(토)-명-위-원
20XX-XX-XX. 12일차(일)-명-위-원
20XX-XX-XX. 13일차(월)-명-위-원
20XX-XX-XX.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XX-XX-XX.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16일차(목)-명-위-원
20XX-XX-XX. 17일차(금)-명-위-원
20XX-XX-XX. 18일차(토)-명-위-원
20XX-XX-XX. 19일차(일)-명-위-원
20XX-XX-XX. 20일차(월)-명-위-원
20XX-XX-XX.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XX-XX-XX.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3일차(목)-명-위-원
20XX-XX-XX. 24일차(금)-명-위-원
20XX-XX-XX. 25일차(토)-명-위-원
20XX-XX-XX. 26일차(일)-명-위-원
20XX-XX-XX. 27일차(월)-명-위-원
20XX-XX-XX. 28일차(화)-명-위-원


  • 1주 차
    • 같은 주 차의 주요 작품으로는 〈바람 따라 만나리 : 김호중의 계절〉, 〈블루 자이언트〉, 〈익스펜더블 4〉,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 〈플라워 킬링 문〉 등이 있다. 이미 다수의 경쟁작이 즐비한 시기 때문에 흥행 전망이 좋지 않은 편인데, 거기에 가볍게 보기에는 거리가 있는 장르, 이 와중 9월 초부터 다수의 공포 장르를 함유한 영화가 개봉했던 일정[2]으로 인해 공포 영화 관람을 원하는 관객의 수요가 상당히 저하된 상황, 마지막 작품이 개봉한지 약 20년이나 지나면서 기대할 수 없는 엑소시스트 시리즈 프랜차이즈의 명성, 선개봉한 해외에서의 저조한 평가 등 흥행에 큰 악재가 있는 것이 반영된 것인지 전술한 작품들 중 하위권의 예매율[3]을 기록하고 있어 이 주 차의 주요 작품 중 가장 전망이 좋지 않다.

10.2. 북미[편집]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3년 39주차2023년 40주차2023년 41주차
퍼피 구조대: 더 마이티 무비엑소시스트: 믿는 자 Talyor Swift: The Eras Tour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개봉 전
    • 2023년 9월 8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 주 성적을 1,800만~2,700만 달러, 최종 성적을 4,100만~6,900만 달러로 예측했다. 최근 2022년에 개봉한 〈할로윈 엔드〉가 개봉 주 성적 4,0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유니버설 픽처스, 블룸하우스 프로덕션 및 감독 데이비드 고든 그린이 성공적으로 선보인 할로윈 시리즈 3부작 제작 전적, 긍정적인 특별관 환경 등 유리한 고지를 점할 가능성이 높은 개봉 시기, 고무적인 초기 사전 판매 및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추세, 이로 인해 13일의 금요일이 포함된 개봉 2주 차 때에 큰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되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공연 영화 〈Taylor Swift: The Eras Tour〉의 개봉에도 일부 관객을 확보할 수 있을 가능성을 흥행의 요소로 보았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개봉한 2004년작 〈엑소시스트: 더 비기닝〉이 4,180만 달러의 최종 성적을 기록하는 등 큰 흥행 성적을 거두지 못한 엑소시스트 시리즈 영화의 전적, 특히나 개봉 1주일 뒤 〈Taylor Swift: The Eras Tour〉의 개봉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20년의 공백으로 인해 공포 영화 흥행을 이끌 젊은 관객층에게 제한된 관심, 9월에 〈더 넌 2〉,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 〈쏘우 X〉가 선개봉하고, 10월 말에 〈프레디의 피자가게〉 가 개봉하는 등 공포 장르 영화가 다수 개봉하는 개봉 시기를 악요소로 보았다. #

  • 1주 차
    • 개봉주 주말까지 약 2,70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하며 〈퍼피 구조대: 더 마이티 무비〉를 제치고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이 흥행 수치는 전작 〈엑소시스트: 더 비기닝〉이 같은 기간 기록한 약 1,800만 달러의 기록보다 50% 정도 높은 수치다.[4] #

  • 2주 차
    • 전주 대비 58%의 낙폭을 보이며 약 1,10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했다. 이는 〈쏘우 X〉가 같은 기간에 보인 27%의 낙폭보다 2배 이상 높으나, 전작 〈엑소시스트: 더 비기닝〉의 61%보다는 소폭 낮은 수치다. 한편, 이 주 차에 신규 개봉한 〈Taylor Swift: The Eras Tour〉에 밀리며 박스오피스 2위로 하락했다. #

11. 기타[편집]


  • 본래 북미에서 10월 13일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 영화와 개봉일이 겹치는 바람에 6일로 앞당겨졌다.

  • 웹툰 작가 호랑이 콜라보 웹툰을 그렸다.# 호랑 작가 특유의 3D 기술이 더해져 인상적인 연출을 보여준다.

  • 영화에 대한 혹평을 두고 고든 그린이 리부트했던 할로윈 시리즈의 원작자 존 카펜터는 '최고의 영화가 될거라 생각했는데 그렇게 망쳐놓다니 이해할 수가 없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정작 할로윈 킬즈는 좋은 영화였다면서 팔이 안으로 굽은 건 덤 #



[1]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2] 개봉일 순으로 〈타겟〉, 〈〉, 〈베니스 유령 살인사건〉, 〈더 넌 2〉, 〈사나: 저주의 아이〉 등.[3] 재개봉하는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과 비견되는 예매율을 기록하고 있다.[4] 다만 전작이 대략 20년 전인 2004년에 개봉했고, 그동안 인플레이션에 의한 티켓값 인상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이보다는 낮은 상승률일 것으로 계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