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

덤프버전 :




필리핀 공화국 초대 대통령
에밀리오 아기날도 이 파미
Emilio Aguinaldo y Famy
KGCR[1]
파일:아기날도 컬러.jpg
출생1869년 3월 22일
필리핀 도독령 카윗
(現 필리핀 카비테 주 카비테엘비에호)
사망1964년 2월 6일 (향년 94세)
필리핀 케손 시티
학력산토 토마스 대학교
산후안 대학교
직업정치인,독립운동가
가족배우자:힐라리아 아기날도(1896~1921)[2]
마리아 아곤칠로(1930~1963)
슬하 2남 3녀
신체163cm
종교기독교 (로마 가톨릭)
재임기간1899년 1월 23일1901년 3월 23일

파일:President_Emilio_Aguinal_Official_Portrait_at_Malacañang_Palace.jpg
공식 초상화

1. 개요
2. 생애
3. 평가
4. 참고자료



1. 개요[편집]


필리핀의 독립운동가 및 초대 대통령.

2. 생애[편집]


당시 필리핀 독립운동가 대부분처럼 아기날도도 메스티소 출신이며, 무장독립 단체인 카티푸난에서 활동했다. 그 과정에서 지도자인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주도권 경쟁을 벌였고, 후기에는 보니파시오가 밀려나 아기날도가 정권을 잡게 된다.

미서전쟁이 일어나자, 리베라 총독의 공세에 밀려 영국령 홍콩으로 망명했던 아기날도는 보니파시오를 몰아내고 필리핀 제1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미국의 침공 때문에 제1공화국이 패망하자 아기날도는 미군에게 잡혔다 풀려난 뒤 은거했다.

이후 필리핀 자치령이 수립되자 대선에 출마했지만 마누엘 케손에게 낙선했고, 제2차 세계 대전 때 일본에 협력한 혐의로 전후 잠시 징역을 살았다. 그래도 전후에 복권되어서 필리핀 민주주의에 대한 자문역을 맡았다가 1964년에 사망했다.


3. 평가[편집]


필리핀의 독립을 이끈 국부로서 국민 영웅으로 추대되어 왔다.

그러나 2010년대에 들어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와 또 다른 혁명 지도자 안토니오 루나(Antonio Luna) 장군의 죽음과 일본 제국의 필리핀 점령기 동안 일본 제국과 협력한 것에 관해 부정적인 평가가 늘어난 상태이다.[3] 최근에는 아기날도가 아닌 보니파시오를 초대 대통령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에 있었던 5페소 주화의 도안에서 퇴출되고 그 자리는 보니파시오가 대신하게 되었다.

4. 참고자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4:24:38에 나무위키 에밀리오 아기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필리핀 내에서 수여하는 기사작위이며,이름은 리잘의 작위이다. 대표적인 수여자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니노이 아키노,디오스다도 마카파갈,코라손 아키노,피델 라모스 등이 있다.[2]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3] 기존에 평가가 좋았던 것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시절 일본과의 관계 개선 차원에서 띄워진 측면도 있다. 오노다 히로오가 극악무도한 전쟁범죄자였음에도 불구하고 특변사면된 후 일본으로 송환되어 천수를 누린 것 또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일본과의 관계를 생각해서 그렇게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