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a71930><width=20%><colcolor=#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a71930,#e6576e> 19 R.넬슨 · 23 갤런 · 24 K.넬슨 · 25 마틴 · 29 켈리 · 30 맥거프 · 32 파트 · 33 스트레즐레키 · 35 맨티플리 · 37 진켈 · 38 시월드 · 40 자비스 · 43 세코니 · 47 헨리 · 50 카스트로 · 57 로드리게스 · 63 마르티네즈 · 65 프리아스 · 81 톰슨 · 99 제임슨 · # 월스턴 · # 살프랭크 · # 스나이더 ||
|| 포수 || 11 에레라 · 14 모레노 ||
|| 내야수 || 2 페르도모 · 4 마르테 · 6 피터슨 · 10 롤러 · 15 리베라 · 53 워커 · 62 알렉산더 · # 수아레스 ||
|| 외야수 || 5 토마스 · 7 캐롤 · 8 플레처 · 26 스미스 · 31 맥카시 · 81 바로사 · # 구리엘 Jr. ||
||<-2> 파일:미국 국기.svg 토리 러벨로 파일:미국 국기.svg 제프 배니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조 매더 파일:미국 국기.svg 대미언 이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드류 헤드먼 · 파일:미국 국기.svg 릭 쇼트 파일:미국 국기.svg 브렌트 스트롬 파일:미국 국기.svg 댄 칼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데이브 맥케이 · 파일:멕시코 국기.svg 토니 페레치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페터스 파일:미국 국기.svg 샤리프 오스만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호세 퀘리즈 ||
||<-2><bgcolor=#eeeeee,#191919>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리노 에이시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table width=100%><width=20%><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01~1902''' ||<width=20%> '''1903~1907''' ||<width=20%> '''1908''' ||<width=20%> '''1909~1913''' ||<width=20%> '''1914''' || || [[로스코 밀러]] || [[조지 멀린]] || [[에드 시버]] || [[조지 멀린]] || [[진 듀벅]]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15~1916''' || '''1917''' || '''1918''' || '''1919''' || '''1920''' || || [[해리 코벨레스키]] || [[빌 제임스]] || [[버니 볼란드]] || [[하워드 엠키]] || [[훅스 다우스]]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21''' || '''1922''' || '''1923''' || '''1924''' || '''1925''' || || [[더치 레너드(1892)|더치 레너드]] || [[레드 올드햄]] || [[립 콜린스]] || [[훅스 다우스]] || [[더치 레너드(1892)|더치 레너드]]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26~1927''' || '''1928''' || '''1929''' || '''1930''' || '''1931''' || || [[얼 화이트힐]] || [[조시 빌링스]] || [[얼 화이트힐]] || [[조지 유리]] || [[얼 화이트힐]]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32''' || '''1933''' || '''1934''' || '''1935~1936''' || '''1937''' || || [[빅 소렐]] || [[토미 브리지스]] || [[피포 마베리]] || [[스쿨보이 로우]] || [[엘덴 아우커]]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38''' || '''1939''' || '''1940~1941''' || '''1942''' || '''1943''' || || [[록시 로슨]] || [[토미 브리지스]] || [[보보 뉴섬]] || [[알 벤튼]] || [[토미 브리지스]]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44''' || '''1945~1949''' || '''1950''' || '''1951''' || '''1952''' || || [[디지 트라웃]] || [[할 뉴하우저]] || [[프레드 허친슨]] || [[할 뉴하우저]] || [[디지 트라웃]]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53''' || '''1954''' || '''1955''' || '''1956~1957''' || '''1958~1959''' || || [[네드 가버]] || [[스티브 그로멕]] || [[네드 가버]] || [[프랭크 래리]] || [[짐 버닝]]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프랭크 래리]] || [[짐 버닝]] || [[돈 모씨]] || [[짐 버닝]] || [[필 리건]]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65~1966''' || '''1967''' || '''1968''' || '''1969''' || '''1970~1974''' || || [[미키 롤리치]] || [[데니 맥클레인]] || [[얼 윌슨]] || [[데니 맥클레인]] || [[미키 롤리치]]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75~1976''' || '''1977''' || '''1978''' || '''1979''' || '''1980~1990''' || || [[조 콜먼]] || [[데이브 로버츠(1944)|데이브 로버츠]] || [[마크 피드리치]] || [[데이브 로즈마]] || [[잭 모리스]]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91''' || '''1992''' || '''1993~1995''' || '''1996''' || '''1997''' || || [[프랭크 타나나]] || [[빌 걸릭슨]] || [[마이크 무어]] || [[펠리페 리라]] || [[더그 브로케일]]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1998''' || '''1999''' || '''2000''' || '''2001~2002''' || '''2003''' || || [[저스틴 톰슨]] || [[브라이언 모엘러]] || [[노모 히데오]] || [[제프 위버]] || [[마이크 마로스]]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2004''' || '''2005''' || '''2006''' || '''2007''' || '''2008~2014''' || || [[제이슨 존슨]] || [[제레미 본더맨]] || [[케니 로저스(야구선수)|케니 로저스]] || [[제레미 본더맨]] || [[저스틴 벌랜더]] || ||<rowbgcolor=#182d55><rowcolor=#f26722> '''2015''' || '''2016~2017''' || '''2018~2019''' || '''2020~2021''' || '''2022~2023''' || || [[데이비드 프라이스]] || [[저스틴 벌랜더]] || [[조던 짐머맨]] || [[매튜 보이드]] ||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8보스턴우승로고.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18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2번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2014)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2015~2017)
카를로스 페블스
(2018~2021)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7번
빅터 로드리게스
(2013~2017)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2018~2021)
한셀 로블레스
(202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57번
알렉스 랭
(2021)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2022~2023)
결번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번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2024~)
현역

파일:타이거스에두아르도.webp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No.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Eduardo Rodríguez
본명에두아르도 호세 로드리게스 에르난데스
Eduardo José Rodríguez Hernández
출생1993년 4월 7일 (31세)
카라보보 주 발렌시아
국적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신체188cm / 99kg
포지션선발 투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201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BAL)
소속팀보스턴 레드삭스 (2015~2021)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2~2023)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4~)
계약2024 - 2027 / $80,000,000[option]
연봉2024 / $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내역
5. 연도별 성적
6. 여담



1. 개요[편집]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소속 좌완 투수. 별명은 E-Rod.[1]

2. 선수 경력[편집]



2.1. 보스턴 레드삭스[편집]


2015년 5월 28일 텍사스전에서 선발로 데뷔했는데 그날 7⅔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데뷔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그 시즌에 21경기 출전해서 10승 6패를 거둔다.

하지만, 2016 시즌과 2017 시즌에는 부진했다.

2018 시즌, 보스턴의 4선발로 활약하며 27경기 13승 5패, 방어율 3.82의 성적을 기록하며 부활에 성공했다.

2019 시즌에는 고연봉 선발들이 다 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할 때 레드삭스 1선발 역할을 하며 고군분투했다.

최종 성적은 34경기 203⅓이닝 19승 6패 3.81 213K.

2020시즌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심근염 합병증[2] 우려로 시즌 포기를 선언했다.

202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1차전에서 1⅔이닝 2실점으로 부진하였다.

10월 12일 4차전에서 5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10월 19일 202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3차전에서 6이닝 3실점을 기록하였다.

2021 시즌을 끝으로 FA 자격을 획득하게 되었고, 보스턴이 퀄리파잉 오퍼를 제시했지만 11월 13일 최종 거절의사를 밝혀 시장에 나왔다.


2.2. 디트로이트 타이거스[편집]


퀄리파잉 오퍼를 거절한 다음날인 2021년 11월 14일, 재도약을 노리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계약했다. 5년 $77M 규모이며, 2년차 시즌인 2023 시즌 종료 후 옵트아웃이 가능하다.


2.2.1. 2022 시즌[편집]


초반부터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어 있다가 6월 13일에 개인적인 사정으로 팀을 이탈해 제한선수명단에 올랐는데, 올스타 브레이크까지도 감감 무소식이다. 팀도 연락이 닿질 않는다고.

타이거스는 달리려고 하던 찰나에 선발 투수들이 여럿 빠져서 강제 탱킹팀이 되어버렸으며[3], 로드리게스 역시 제한선수명단에 올라 연봉 지급이 중단된 상황이라 양 쪽 모두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7월 30일, 미국 현지 매체인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는 로드리게스가 1개월간의 침묵을 끝내고 구단과 연락이 되었으며, 팀의 스프링캠프가 있는 플로리다로 이동한다는 소식을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알 아빌라 디트로이트 단장은 로드리게스는 7월 중순 구단과 연락이 닿았으며 그는 열심히 훈련하고 있고, 개인적인 문제도 잘 해결되었다고 소식을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로드리게스는 곧 디트로이트 산하 싱글A 팀에서 투구한 후, 트리플A 재활 등판을 한두 번 거칠 예정이다"며 향후 계획을 전했다. A.J. 힌치 디트로이트 감독은 "현재 그는 불펜 세션 중이다. 2~3일에 한 번씩은 연락을 주고받고 있다"고 밝혔으며, 빠르면 8월 3주차에는 로테이션에 합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8월 21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 선발등판해 복귀전을 치른다.

2.2.2. 2023 시즌[편집]


5월 현재 3승 2패 ERA 1.81을 기록하며 디트로이트의 에이스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나 5월 4일에는 무려 8이닝 2피안타 9K 무실점으로 메츠 타선을 묶으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트레이드 데드라인 시점에서 다저스와의 트레이드가 논의되었으나, 선수 본인이 트레이드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결국 타이거스에 잔류하게 되었다.[4] 트레이드를 거부하게 된 것은 디트로이트 구단의 사정도 어느 정도 고려된 것이었다고 하는데, 로드리게스가 트레이드될 경우에는 데드라인 마감시한 전에 로드리게스가 떠난 그 자리를 대체할 선수를 트레이드로 다시 찾아야 하는 사정이 있었기 때문이며, 선수 본인도 동부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족들과 떨어지기를 원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이 트레이드 거부에 관한 비하인드가 기사로 나왔는데, 결과적으로 보면 구단에서 선수에게 트레이드 거부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하지 않고 트레이드 거부권을 풀 것이라 판단해서 막연하게 디트로이트가 트레이드를 추진했고, 이 때문에 다저스는 물론이고 로드리게스의 에이전트도 트레이드 거부를 예상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9월 18일 다저스전에서는 통산 다저스 상대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3이닝 5피안타 2피홈런 5실점으로 시원하게 털리며 당연히 패전 투수가 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26경기 152⅔이닝 13승 9패 평균자책점 3.30 bWAR 3.5. 올 시즌도 부상으로 한 달을 결장하며 풀타임 소화에는 실패했으나 지난해에 비해 훨씬 나아진 모습으로 타이거스의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다만 올 시즌 이후 옵트 아웃을 선언할 수 있는데, 현지 보도에 따르면 디트로이트가 연장 계약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옵트 아웃을 사용해 FA 선언을 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11월 4일, 옵트아웃을 선언했다는 존 헤이먼의 보도가 나왔다.

2.3.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편집]


12월 6일, 애리조나와 4년 8,0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평균 구속 92마일의 포심, 89마일의 커터, 86마일의 체인지업을 주무기로 삼는 투수이다. 이외에도 85마일대의 슬라이더를 간간히 섞어 던지곤 한다. 구속과 구위가 리그 정상급이라고 보기는 어렵기에 준수한 탈삼진률을 가졌음에도 헛스윙을 이끌어내는 빈도가 높지는 않다. 따라서 컨디션에 따라 피안타를 많이 내주기도 한다. 그러나 9 이닝당 2-3개의 볼넷을 허용할 정도로 제구력이 안정되었으며, 무엇보다 펜웨이 파크를 홈으로 썼었음에도 9이닝당 피홈런이 1개에 그칠 정도로 하드힛과 홈런 제어가 잘 되는 투수이다.

4. 수상 내역[편집]



5.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의 역대 MLB 기록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5BOS2110600121⅔3.8512013374981.2901121.82.5
20162037001074.7199164031001.299951.20.4
2017256700137⅓4.19126195051501.2821092.01.7
20182713500129⅔3.82119164541461.2651162.12.6
20193419600203⅓3.81195247572131.3281263.75.5
20213213800157⅔4.74172194721851.389993.91.7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2DET175500914.058712342721.330930.70.2
20232613900152⅔3.30128154831431.1531343.03.5
MLB 통산
(8시즌)
2028253001100⅓4.0310461343763011071.29211218.317.9


6. 여담[편집]


  • 2021년 7월 16일 경기에서 수염과 구레나룻을 깔끔하게 정리한 채 마운드에 올라왔다. 수염에 가려졌을 뿐, 상당한 동안의 외모를 뽐냈다. 결국 뉴욕 양키스를 상대로 4대0으로 제압[5]하고 후반기 첫 승리를 챙겼다.

[option] vesting option $20,000,000 for 2028[1]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A-Rod처럼 로드리게스가 성인 선수들에게 흔히 붙는 별명이기도 하다.[2] 가족력이 있다고 한다. 디디 그레고리우스도 이러한 가족력이 있었기에 2020 시즌 내내 마스크를 착용하고 경기를 뛰었다.[3] 타릭 스쿠발을 제외한 선발 로테이션이 통째로 부상자 명단에 올라버렸다. 급하게 마이너리그에서 투수들을 끌어다 쓰는 중인데 그 선수들조차 부상자 명단을 오가고 있다. 즉 현재 타이거스의 선발 로테이션에는 예비 멤버와 그 예비 멤버의 백업들이 섞여 있다.[4] 계약 당시 10개 구단을 대상으로 트레이드 거부권을 삽입했었는데, 이 10개 구단 중 다저스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거부권 행사에 대해서는 안 와서 다행이라는 반응도 있긴 있을 정도인데, 선발투수 보강이 필요함에도 풀릴법한 매물들이 전체적으로 확 업그레이드라고 보기 어려웠기 때문에 리툴링을 병행하는 데다가 일찍이 우승까지는 어렵다고 평가받는 팀 사정상 선발 투수의 이닝 이팅 문제라는 큰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올 시즌은 그냥 이대로 가는 게 낫다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였기 때문이다.[5] 오늘도 양키스는 공격 결정력이 제대로 바닥을 치는 모습을 보이며 무기력하게 패했다. 팬들을 모두 뒷목을 잡고 경기장을 나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2:31:34에 나무위키 에두아르도 로드리게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