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순직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 이사장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제1대제2대제3대제4-6대제7-8대
공진항박관수김정렬이응준손원일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제9-10대제11-13대제14-15대제16대제17대
임병직이형근서종철주영복유학성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18대제19대제20-21대제22대제1대
신상초이진희박원근정일권정일권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2-3대제4-5대제6대제7대제8-10대
노재현최호중안응모양순직권정달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11-13대제14대제15대제16대직무대행
박창달김명환허준영김경재이세창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17-18대
제19-20대제21대
박종환송영무강석호




대한민국 제6·7·14대 국회의원
양순직
楊淳稙 | Yang Soon-jik
파일:양순직 의원.png
출생1925년 5월 11일
충청남도 논산군
사망2008년 7월 24일 (향년 83세)
본관청주 양씨
학력공주고등보통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교육학 / 학사)
의원 선수3
의원 대수6, 7, 14
경력신한민주당 부총재
한국자유총연맹 회장
군사 경력
임관(미상)
복무대한민국 해군
1948년 ~ 1961년
최종 계급중령 (대한민국 해군)
최종 보직해군본부 정훈차감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청주(淸州)[1], 호는 심산(心山)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2. 생애[편집]


1925년 5월 11일 충청남도 논산군(현 논산시) 상월면 지경리에서 태어났다. 공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는데, 이 때 김종필, 김용태5.16 군사정변 주체 인원들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대한민국 해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병과는 정훈. 그러던 중 목포시에서 복무할 때 김대중과도 인연을 맺었다. 5.16 군사정변 직후 해군 중령에서 예편하여 서울신문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부터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충청남도 논산군 선거구에서 제6대, 7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69년 정구영, 예춘호 등과 3선 개헌에 반대하여 당에서 제명되었다.[2] 이후 복당하여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김한수 후보에 밀려 낙선되었다. 이후 재야에서 민주화운동을 하였다. 1979년 YWCA 위장결혼식 사건으로 신군부에 의해 김상현, 박종태 등과 국군보안사령부에서 고문을 당하였다.

전두환 정권 때 정치규제를 당하다가 해금되었다. 1985년 신한민주당 부총재가 되었다. 1986년 이진삼이 사령관이던 국군정보사령부 장교들로부터 테러를 당하였다. 이후 김대중을 따라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에 몸담았으나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이 패하자 평화민주당을 탈당하였다.[3]

이후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정주영통일국민당에 입당하였고 통일국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93년 통일국민당을 탈당하였다. 이후 신민당에 입당하였고 자유민주연합에 흡수되자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있으면서 김종필과 재회하였다. 김대중 정권 때 한국자유총연맹 회장을 지냈다.

2008년 7월 24일 오후 5시30분 폐암으로 인하여 향년 8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4[4]
ta-hash-start=w-58c2483f010e898e87f17d52481bb919[[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33,400 (43.66%)당선 (1위)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48,303 (54.94%)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5[5]37,075 (44.28%)낙선 (2위)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ta-hash-start=w-f64b80080d773c653f03c03d50e2282c[[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3,574,419 (17.36%)당선 (2번)3선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7a3e42f09312e71a27cb0fe6a0bc4a58[[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3 - 1969창당
정계 입문

무소속

1969 - 1971제명

ta-hash-start=w-b47a38d37ff1ee67b87f6c6a33a84145[[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71 - 1974복당

무소속

1974 - 1985탈당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창당

무소속

1987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b5d56cc87f52f188dbe0f92074a49304[[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7창당

무소속

1987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65f148c815a4ebfaf8eb150460ba94fc[[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7 - 1988창당

무소속

1988 - 1992탈당

ta-hash-start=w-47b4bf45a262ed01def0ca1bea603991[[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992 - 1993입당

무소속

1993 - 1994탈당

파일:신민당(1994년) 흰색 로고타입.svg

1994 - 1995입당

ta-hash-start=w-232049f5aff15800ce41a9a7c4cf6730[[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5합당[6]

무소속

2005 - 2008탈당
정계 은퇴

5. 둘러보기[편집]








6. 관련 문서[편집]




[1] #[2] 이 여파로 동생인 양봉직 역시 1978년 군복을 벗어야 했다. 당시 영남계 육사 8기 장성이었던 이희성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과 진종채 육군보안사령관이 결탁하여 횡령 누명을 뒤집어씌우고 양봉직을 중장 예편시킨다.[3] 예춘호와는 다르게 양순직은 다시 충청계 보수정당에 몸담았다.[4] 논산군[5] 논산군[6] 자유민주연합에 흡수 합당(법적으로는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