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덤프버전 :

분류

주식 투자 관련 정보
[ 펼치기 · 접기 ]

기본 용어시가총액 · 액면가 · 주주 · 주주총회 · 호가
주식 프로그램HTS · MTS
주식 종류보통주 · 우선주 · 자사주 · 황금주 · 소수점 주식
종목 특성경기관련주 · 경기방어주 · 인프라투자회사 (InvITs) · 부동산투자회사 (REITs) ·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BDC) · 벤처 캐피털 (VC) · 대형주 · 우량주 · 배당주 · 성장주 · 가치주 · 배당성장주 · 저가주 · 동전주 · 귀족주 · 황제주 · 테마주 · 주도주 · 죄악주 · 개잡주 · 품절주 · 공모주 · 기업인수목적회사 (SPAC)
관련 이론포트폴리오 이론 · 배당할인모형 · CAPM · APT · 효율적 시장 가설
시장 제도 · 정책기업공개 · 상장 · 상장예비심사 · 상장폐지 · 관리종목 · 배당 · 주식배당 · 스톡옵션 · 증자 · 감자 · 액면병합 · 액면분할 · 인적분할 · 물적분할 · 차등의결권 · 가격제한폭(상한가·하한가)
주식 세제배당소득세 (금융소득종합과세) · 주식양도소득세 ·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예정) · 증권거래세
시장 상태유동성장세 · 실적장세
거래 형태공매도 · 단타 · 분산투자 · 장기투자 · 손절 · 물타기 · 프로그램 매매 · 반대매매 · 시스템 트레이딩 · 알고리즘 트레이딩 · 소수점 투자 · 대체투자 · 조각투자 · 퀀트 투자
시장지수한국KRX300 · KOSPI (KOSPI200) · KOSDAQ (KOSDAQ150)
미국Dow Jones · S&P 500 · NASDAQ · Russell 2000 · PHLX Semiconductor Sector
기타 국가닛케이 225 · 항셍지수 · 홍콩H지수 · FTSE 100
글로벌MSCI Index
기본적 분석재무제표재무상태표 · 포괄손익계산서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 주석
지표총자산수익률(ROA) · 자기자본이익률(ROE) · 주당순이익(EPS) · FFO · AFFO · 주가수익비율(PER) · 주가순자산비율(PBR) · EV/EBITDA(EV · EBITDA)
기술적 분석기본 요소봉차트 · 캔들차트 · 양봉 · 신고가
추세 지표이동평균선 · DMI · MACD(MACD Oscillator) · Parabolic Sar · Pivot Line
모멘텀 지표모멘텀 · 이격도 · P&F · 삼선전환도 · 투자심리선 · AB Ratio · ADX · Chakin's Volatility · Mass Index · Price Oscillator · Price ROC · 상대강도(RSI) · 스토캐스틱 · SONAR · TRIX · Williams%R
변동성 지표변동성 · ATR · 볼린저 밴드 · Envelope · Keltner Channels
시장강도 지표거래량 · OBV · 매물대 · CCl · Chakin's Osxillator · 거래량 이동평균선 EOM · MFI · PVT · Volume Oscillator · Volume Ratio
기타일목균형표 · 최대 손실률(MDD)
관련 금융상품기금 (인덱스 펀드 · 인버스 펀드 · 재간접 펀드) · 랩 어카운트 · ETF · ETN · ELS · 전환사채 · 신주인수권부사채 · 선물 · 옵션 · 스왑
관련 범죄내부자거래 · 주가조작 · 분식회계
기타종목토론방 · 소부장 · 차화정 · BBIG · 코리아 디스카운트 · 개미 (개인투자자) · 리딩방 (유사투자자문)



1. 개요
2. 상세
3.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4. 세계 시가총액 순위
5. 관련 링크
6.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시가총액(時價總額, market capitalization[1])은 전(全)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이다. 상장종목 별로 당일 종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하여 산출한다. 주식시장 용어지만, 파생상품시장과 부동산시장에서도 쓰인다.

다만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은, 시가총액이 회사의 미래에 창출할 가치를 반영하긴 하지만 바로 회사의 가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주식의 가격이라는 것은 시장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값이고, 회사의 잠정적 가치 이외에도 시장에 얼마나 물량이 풀려 있는지나 통화량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당장 모든 거래소의 주식을 사서 지분 100%를 달성한다고 했을때 저가에서 조금씩 매집하는 것과 한번에 테이커로 거래하는건 금액차이가 엄청난데, 회사의 미래가치가 그렇게 휙휙 바뀌는 값은 아닐 것이다. 마찬가지로 경제위기 등으로 주식이 폭락한다고 해서 해당 회사의 자산가치가 떨어지는 것 또한 아니다.[2]

한국의 경우 배당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회사의 이익 창출가치를 낮게 보는 편이고, 따라서 회사의 자산이나 매출에 비해 낮은 시가총액을 형성한다.

2. 상세[편집]


파일:external/3.bp.blogspot.com/mgc.jpg
위의 그래프는 시가총액을 GDP로 나눈 수치로써, GDP 대비 한국 주식시장의 규모는 미국과 비슷한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 그래프의 상단에 위치한 나라일수록 증시가 고평가를 하단에 위치한 나라일수록 저평가를 받고 있다고 보면 된다. 단, 단순히 시가총액을 GDP로 나눈 것에 불과해 실제 거품이 얼마나 많은지는 제대로 알 수 없다. 보통 주식이 저평가되는 나라라면 화폐가치도 그만큼 저평가될 것이고, 주식이 고평가되는 나라라면 화폐가치도 고평가될 것이기 때문. 그렇기에 주식이 고평가되는 경우라도 일본과 같이 화폐가 특히 더 고평가되는 사례에선 위 그래프만으로 따질 때 주식이 저평가된다고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어떤 국가의 GDP와 그 국가의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은 1:1의 비율이 적정하다고 알려져 있다. 시가총액이 GDP보다 높으면 고평가되어있는 시장으로 간주된다. 참고로 일본 버블 때 닛케이 시가총액은 일본 GDP의 3배를 넘었으며 중국 버블 때 상해증시 시가총액은 중국 GDP의 6배를 넘어 역사상 전 세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서 예외가 하나 있는데, 홍콩이다. 홍콩은 홍콩증권거래소에 홍콩기업보다 홍콩 외 기업(중국기업이 제일 많다)이 압도적으로 많다보니 홍콩 GDP 대비 시가총액이 압도적으로 크다. 2020년 기준 무려 17배를 넘어 18배에 육박한다. 세계은행 데이터 참조 그래서 홍콩은 이런 통계에서는 잘 잡히지 않는다. 외국기업으로 분류되는 중국기업들이 홍콩에 대량상장해서 착시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개별 종목의 시가총액을 산출하는 방식은 정말 간단하다. (개별 상장종목의 주식수)×(개별 상장종목의 현재가). 주식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은 개별종목 시가총액 산출식 앞에 Σ만 붙여버리면 된다. 예를 들어, 현재주가가 10,000원이고 주식시장 상장주식수가 500만 주라면 10,000×500만 주 = 500억 원이라는 엄청 간단한 계산.

시가총액식 주가지수의 경우, 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시가총액이 크면 클수록 더 커진다. 삼성전자 같은 경우는 시가총액 상위 20위 종목 중에서 삼성전자 혼자서 주가가 5% 정도 올랐는데, 코스피지수가 0.6% 오른 기록도 있다.(다른 시가총액 상위종목이 다 떨어져서 상승폭은 제한됨)

부동산 시장에서 시가총액은 개별 부동산 가격 앞에 ∑를 붙인 것이다. 부동산은 공급이 단 하나밖에 없으니 곱하기 계산 자체가 필요하지 않다.

2020년 1월 7일 시점으로 코스피시장의 시가총액은 2087조 원 가량 되고,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은 393조 원, 코넥스 시가총액은 6조원으로 도합 2486조원 가량이 된다.

시가총액 1위를 기록했던 기업들에는 NTT, IBM, AT&T, 엑슨모빌, 페트로차이나, 제너럴 일렉트릭, 마이크로소프트, 사우디 아람코, 알파벳, 아마존 등이 있다.

이전부터 사우디아라비아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개혁 구상인 '비전 2030'의 수행할 사업자금 확보를 위해 아람코기업공개를 검토하고 있었는데, 2019년 12월 11일 아람코가 사우디 타다울 증권거래소에 진짜 상장하게 되면서 전 세계에서 넘사벽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당시만 해도 기존 IT 기업들이 구 경제 체제를 상징하는 아람코를 넘으리라고는 세계 증시 전문가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대유행병)이 7개월만에 판을 바꿨다. 유가 하락 직격탄을 맞은 아람코는 2분기 순이익이 전년보다 73% 급락했고 시총도 1조7864억 달러로 떨어진 반면, 애플은 같은 기간 최악의 미국 경제 상황 속에서도 매출·순이익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임과 동시에 2020년 8월 3일 애플이 끝내 아람코의 시총을 넘어서며 시가총액 1위의 자리를 되찾았다.

그러다가 운송수단 수요 증가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이유로 유가원유 수요가 증가하면서 아람코가 다시 시가총액 1위를 가져갔다가 다시 애플이 1위를 탈환하는 등 엎치락뒤치락하는 중이다.

2013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유진파마교수에 따르면 자산의 시가총액이 낮을수록 자산가격의 기대상승폭이 높다고 한다. 물론 이는 너무나 당연한 말이다. 현실적으로 삼성전자가 셀트리온의 사례처럼 짧은 기간에 1000배 이상 상승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3]


3.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편집]


||
[ 펼치기 · 접기 ]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순위증권거래소시가총액
(USD)
1파일:미국 국기.svg 뉴욕증권거래소27.69조
2파일:미국 국기.svg 나스닥24.56조
3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증권거래소8.15조
4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넥스트7.33조
5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거래소6.54조
6파일:중국 국기.svg 선전증권거래소6.22조
7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국립증권거래소4.26조
8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증권거래소3.98조
9파일:인도 국기.svg 봄베이증권거래소3.80조
10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증권거래소3.26조
11파일:영국 국기.svg 런던증권거래소3.18조
1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타다울2.71조
13파일:독일 국기.svg 도이체 뵈르제2.37조
14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증권거래소1.95조
15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나스닥 노르딕1.94조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거래소1.83조
17파일:대만 국기.svg 대만증권거래소1.59조
18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증권거래소1.55조
19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요하네스버그증권거래소1.36조
20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증권거래소1.29조
2023년 기준#




4. 세계 시가총액 순위[편집]


1500억 달러 이상, 2023년 5월 8일 기준[4]
순위 국적 기업 시가총액
[5]1억 달러
1파일:미국 국기.svg애플3,634.7조27,640
2파일:미국 국기.svg알파벳[6] 파일:나스닥 아이콘.svg
알파벳 A, 알파벳 C
3,543.0조26,943
3파일:미국 국기.svg마이크로소프트3,046.9조23,170
4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 아람코2,731.3조20,770
5파일:미국 국기.svg아마존닷컴1,425.4조10,840
6파일:미국 국기.svg버크셔 해서웨이
버크셔 해서웨이 A, 버크셔 해서웨이 B
941.6조7,161.2
7파일:미국 국기.svg엔비디아931.5조7,083.9
8파일:미국 국기.svg메타 플랫폼[7] 파일:나스닥 아이콘.svg785.2조5,971.6
9파일:미국 국기.svg테슬라708.7조5,390.0
10파일:미국 국기.svg비자 카드641.1조4,875.8
11파일:프랑스 국기.svgLVMH(루이비통모엣헤네시)636.0조4,836.4
12파일:미국 국기.svg유나이티드 헬스[8]610.4조4,641.8
13파일:미국 국기.svg엑슨모빌589.4조4,482.2
14파일:대만 국기.svgTSMC579.5조4,406.6
15파일:중국 국기.svg텐센트566.8조4,310.0
16파일:미국 국기.svg존슨앤드존슨555.9조4,227.6
17파일:미국 국기.svg월마트540.3조4,108.9
18파일:미국 국기.svgJP모건 체이스536.8조4,082.3
19파일:미국 국기.svg릴리534.0조4,061.0
20파일:미국 국기.svgP&G484.2조3,682.2
21파일:미국 국기.svg마스터카드480.8조3,656.1
22파일:덴마크 국기.svg노보 노디스크477.2조3,628.8
23파일:스위스 국기.svg네슬레458.5조3,486.6
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삼성전자
삼성전자, 삼성전자 우
433.6조3,297.5
25파일:중국 국기.svg귀주 마오타이주418.3조3,181.0
26파일:미국 국기.svg쉐브론407.3조3,097.5
27파일:미국 국기.svgMSD[9]392.7조2,986.3
28파일:미국 국기.svg홈디포387.3조2,944.9
29파일:미국 국기.svg코카콜라364.1조2,768.5
30파일:스위스 국기.svg로슈361.0조2,745.4
31파일:미국 국기.svg펩시 파일:나스닥 아이콘.svg352.0조2,676.4
32파일:미국 국기.svg애브비348.9조2,652.9
33파일:미국 국기.svg브로드컴 파일:나스닥 아이콘.svg345.5조2,627.1
34파일:미국 국기.svg오라클344.3조2,617.9
35파일:네덜란드 국기.svgASML 파일:나스닥 아이콘.svg337.4조2,566.0
36파일:프랑스 국기.svg로레알332.3조2,527.0
37파일:중국 국기.svg중국공상은행325.7조2,476.9
38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International Holding Company[10]310.2조2,359.6
39파일:영국 국기.svg아스트라제네카 파일:나스닥 아이콘.svg306.8조2,333.1
40파일:프랑스 국기.svg에르메스302.0조2,297.0
41파일:미국 국기.svg뱅크오브아메리카293.5조2,232.0
42파일:스위스 국기.svg노바티스291.9조2,219.6
43파일:중국 국기.svg알리바바 그룹291.5조2,216.5
44파일:미국 국기.svg코스트코 파일:나스닥 아이콘.svg291.0조2,213.2
45파일:미국 국기.svg화이자290.2조2,206.9
46파일:영국 국기.svg로열 더치 쉘287.7조2,187.8
47파일:미국 국기.svg맥도날드284.7조2,165.2
48파일:미국 국기.svg써모 피셔 사이언티픽277.1조2,107.3
49파일:중국 국기.svg페트로차이나265.6조2,019.4
50파일:인도 국기.svg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265.5조2,019.0
51파일:미국 국기.svg나이키256.9조1,953.6
52파일:미국 국기.svg세일즈포스256.0조1,946.8
53파일:미국 국기.svg애벗 래버러토리254.3조1,933.6
54파일:중국 국기.svg차이나모바일252.5조1,919.9
55파일:미국 국기.svg시스코251.3조1,910.8
56파일:일본 국기.svg토요타254.3조1,865.7
57파일:미국 국기.svg월트 디즈니 컴퍼니241.5조1,836.3
58파일:중국 국기.svg중국농업은행236.4조1,797.8
59파일:영국 국기.svg린데235.9조1,793.7
60파일:미국 국기.svg다나허235.2조1,788.9
61파일:중국 국기.svg중국건설은행228.2조1,797.8
62파일:미국 국기.svgT-모바일 미국 파일:나스닥 아이콘.svg235.1조1,787.5
63파일:미국 국기.svg컴캐스트 파일:나스닥 아이콘.svg224.1조1,704.4
64파일:미국 국기.svg액센츄어222.0조1,688.5
65파일:프랑스 국기.svg크리스챤 디올218.2조1,659.1
66파일:중국 국기.svg중국은행212.7조1,617.4
67파일:프랑스 국기.svg토탈에너지스212.2조1,613.7
68파일:미국 국기.svgAdobe 파일:나스닥 아이콘.svg210.2조1,598.1
69파일:미국 국기.svgAMD209.4조1,592.7
70파일:미국 국기.svg버라이즌209.1조1,590.3
71파일:독일 국기.svgSAP206.8조1,572.8
72파일:호주 국기.svgBHP202.3조1,538.2
73파일:미국 국기.svgNextera Energy200.9조1,527.8
74파일:영국 국기.svgHSBC200.7조1,526.3
75파일:미국 국기.svgUPS200.2조1,522.7
76파일:미국 국기.svg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파일:나스닥 아이콘.svg198.0조1,505.6

5. 관련 링크[편집]



6.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7:55:51에 나무위키 시가총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로 줄여서 'market cap'이라고 쓴다.[2] 자산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을 반영한다.[3] 지구상의 돈을 모조리 삼성전자에 투자하거나 삼성전자가 진짜로 외계인을 납치하는데 성공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는 일이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 리가 없다.[4] 모든 주식은 CompaniesMarketcap을 출처로 하고, 나스닥 상장사의 경우 나스닥 공식 정보를 이용하였음.[5] 1달러=1325원 기준 환율., 2023년 5월 기준.[6] 구글[7] 페이스북[8] 건강 관리 제품 및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의료 서비스 그룹.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의 메인 스폰서이기도 하다.[9] 머크 제약[10] UAE의 지역 냉방 및 공조 설치, 지역 냉방 수리 및 인프라, 부동산 관리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