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하/왕사

덤프버전 :

분류

1. 하 건국 이전 수령
2. 정난절도사(탕구트족 수령)
3. 하국왕(탕구트족 수령)
4. 서하의 역대 황제
5. 비황족 제호 헌상자
6. 임초 황제
7. 계보



1. 하 건국 이전 수령[편집]


대수작위재위
1-탁발영총(拓拔寧叢)[1]564 ~ 588
2비왕(裨王)탁발목미(拓拔木彌)[2]588 ~ 631
3서평군개국공(西平郡開國公)탁발적사(拓拔赤辭)[3]631 ~ 692
4서평군개국공탁발사태(拓拔思泰)[4]692 - 721
5서평군개국공탁발수적(拓拔守寂)[5]721 - 765
6서평군개국공탁발조광(拓拔朝光)[6]765 - 786
7서평군개국공탁발건휘(拓拔乾暉)[7]786 - 806
8서평군개국공탁발중건(拓拔重建)[8]838 - 874


2. 정난절도사(탕구트족 수령)[편집]


대수작위재위기간
1서평군개국공(西平郡開國公)
하국공(夏國公)
이사공874 ~ 881 (서평군개국공)
881 ~ 885 (하국공)
2하국공이사간895 ~ 908
3-이성경900년경
복위하국공이사간900년경 ~ 908년
4-이이창908 ~ 909
5삭방왕(朔方王)이인복909 ~ 933
6-이이초933 ~ 935
7-이이흥935 ~ 967
8-이극예967 ~ 978
9-이계균978 ~ 979
10유죄후(宥罪侯)이계봉980 ~ 982


3. 하국왕(탕구트족 수령)[편집]


대수작위재위기간
11하국왕(夏國王)이계천982년 ~ 1004년
12하국왕
하왕(夏王)
이덕명1004년 ~ 1032년
13하왕이원호1032년 ~ 1038년


4. 서하의 역대 황제[편집]




대수묘호시호성호(城號)[9]휘(탕구트식/중국식)연호재위기간능호
추존태조
(太祖)
신무황제
(神武皇帝)
--/이계천(李繼遷)--유릉(裕陵)
추존태종
(太宗)
광성황제
(光聖皇帝)
--/이덕명(李德明)--가릉(嘉陵)
1대경종
(景宗)
무열황제
(武烈皇帝)
풍각성황제
(風角城皇帝)
외명낭소(嵬名曩霄)[10]/
이원호(李元昊)
현도(顯道), 개운(開運), 광운(廣運),
대경(大慶), 천수례법연조
(天授禮法延祚)
1038~1048태릉(泰陵)
2대의종
(毅宗)
소영황제
(昭英皇帝)
평성황제
(平城皇帝)
외명양조(嵬名諒祚)[11]/
이양조(李諒祚)
연사영국(延嗣寧國),
천우수성(天祐垂聖),
복성승도(福聖承道), 다도(奲都),
공화(拱化)
1048~1067안릉(安陵)
3대혜종
(惠宗)
강정황제
(康靖皇帝)
백성황제
(白城皇帝)
외명병상(嵬名秉常)/
이병상(李秉常)
건도(乾道), 천사례성국경
(天賜禮盛國慶),
대안(大安), 천안례정(天安禮定)
1067~1086헌릉(獻陵)
4대숭종
(崇宗)
성문황제
(聖文皇帝)
명성황제
(明城皇帝)
외명건순(嵬名乾順)/
이건순(李乾順)
천의치평(天儀治平),
천우민안(天祐民安),
영안(永安), 정관(貞觀), 옹녕(雍寧),
원덕(元德), 정덕(正德), 대덕(大德)
1086~1139현릉(顯陵)
5대인종
(仁宗)
성덕황제
(聖德皇帝)
주성황제
(珠城皇帝)
외명인효(嵬名仁孝)/
이인효(李仁孝)
대경(大慶), 인경(人慶),
천성(天盛), 건우(乾祐)
1139~1193수릉(壽陵)
6대환종
(桓宗)
소간황제
(昭簡皇帝)
호성황제
(護城皇帝)
외명순우(嵬名純佑)/
이순우(李純佑)
대경(大慶)1193~1206장릉(莊陵)
7대양종
(襄宗)
경목황제
(敬穆皇帝)
-외명안전(嵬名安全)/
이안전(李安全)
응천(應天), 황건(皇建)1206~1211강릉(康陵)
8대신종
(神宗)
영문황제
(英文皇帝)
-외명준욱(嵬名頊)/
이준욱(李遵頊)
광정(光定)1211~1223-
9대헌종
(獻宗)
효애황제
(孝哀皇帝)
-외명덕왕(嵬名德旺)/
이덕왕(李德旺)
건정(乾定)1223-1226-
10대-말제 남평왕
(末帝南平王)
-외명현(嵬名晛)/
이현(李晛)
보의(寶義)1226-1227-


5. 비황족 제호 헌상자[편집]


묘호시호능호재위기간비고
-문선제(文宣帝)공구(孔丘)--인종 추존, 비 황족 제호 수상자


6. 임초 황제[편집]


묘호시호능호재위기간비고
--임득경(任得敬)-1170 ~ 1170.8서하 파생 비정통 정권 임초의 황제


7. 계보[편집]


탁발중건
이사공
이인안
이이경
이광엄
이계천
이덕명
1. 이원호
2. 이가[12]이양조
3. 이병상
4. 이건순
5. 이인효이인우
6. 이순우7. 이안전이언종
8. 이준욱
9. 이덕왕청평군왕
10(末). 이현

[1] 585년 수나라에 귀부하였다.[2] 588년 수나라에 귀부하였다.[3] 631년 당나라에 귀부하여 국성인 이씨(李氏)를 하사받았다. 귀부 기사가 반복되는 이유는 중국에 복속하였다 이탈하였다를 반복했기 때문이다.[4] 탁발목미의 후손으로 탁발입가(拓跋立伽)의 아들인 탁발나주(拓跋羅胄)의 아들인 탁발후나(拓跋後那)의 아들이다.[5] 탁발사태의 아들이다.[6] 탁발수적의 아들이다.[7] 탁발조광의 아들이다.[8] 서하 황실의 선조로 여겨진 인물. 탁발사공(拓跋思恭), 탁발사고(拓跋思孝), 탁발사간(拓跋思諫), 탁발사경(拓跋思敬), 탁발사충(拓跋思忠), 탁발사요(拓跋思瑤)의 여섯 아들을 두었다.[9] 서하의 황제에게는 다른 왕조와 독특하게 성호라는 불리는 존호가 있었다.[10] 초명은 외매(嵬埋)이다(이외매). 북송으로부터 조(趙)씨를 하사받아 성명이 조원호(趙元昊)로 혹은 조상이 선비족 탁발부 출신이라 탁발원호(拓跋元昊)로 기재되기도 했으나 조씨를 버리고 탕구트식 성명인 외명낭소라 자칭했다. 이름 낭소의 다른 표기는 낭녕(曩甯), 낭저(曩宁).[11] 초명은 탕구트식 이름인 양차(兩岔)였으며(외명양차/이양차) 서하에서 제후왕에 해당하는 작위인 영령(寧令)과 합쳐져 영령양차(寧令兩岔)라 불리기도 했다.[12] 이름이 영령가(寧令哥) 혹은 영림격(寧林格)으로 적히기도 했는데 영령은 서하에서 제후왕에 해당하는 작위이다. 따라서 이름에 해당하는 부분은 가(哥), 격(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6:13:37에 나무위키 서하/왕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