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성북14-1, 14-2

덤프버전 :



파일:성북14-1번_뉴카운티.png파일:성북14-2번.jpg
성북14-1번.성북14-2번.[1]

1. 노선 정보(성북14-1번)
1.1. 임시우회 노선 정보(2022. 05. 16 ~ 2023. 11. 30)
2. 노선 정보(성북14-2번)
3. 개요
4. 역사
5. 특징
5.1. 성북14-1번
5.2. 성북14-2번
5.2.1. 돌곶이로 경유 전
5.2.2. 돌곶이로 경유 후
5.3. 일평균 승차인원
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성북14-1번)[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14-1번
기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북서울꿈의숲)종점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석계역문화공원)
종점
첫차05:40기점
첫차05:53
막차00:16막차00:28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10~15분
운수사명석계운수인가대수3대[2](예비 2대[3])
노선북서울꿈의숲 - (→ 꿈의숲대명루첸아파트(월계로) →/← 꿈의숲코오롱하늘채아파트 ← 꿈의숲대명루첸아파트(월계로36길) ← 꿈의숲동문앞 ←) - 장월초교.참누리아파트 - 장석교회 - 꿈의숲SK뷰아파트 - 광운중.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 장위3동주민센터 - 석관동주민센터 - 석계역문화공원


1.1. 임시우회 노선 정보(2022. 05. 16 ~ 2023. 11. 30)[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14-1번
기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북서울꿈의숲)종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석계역)
종점
첫차05:40기점
첫차05:51
막차00:16막차00:27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10~15분
운수사명석계운수인가대수3대[4](예비 2대[5])
노선북서울꿈의숲 - (→ 꿈의숲대명루첸아파트(월계로) →/← 꿈의숲코오롱하늘채아파트 ← 꿈의숲대명루첸아파트(월계로36길) ← 꿈의숲동문앞 ←) - 장월초교.참누리아파트 - 장석교회 - 꿈의숲SK뷰아파트 - 광운중.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 석계역(노원09번 정차) → 석계역굴다리앞 → 석계역(261번 정차) → 석계역1번출구


2. 노선 정보(성북14-2번)[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14-2번
기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래미안장위퍼스트하이)종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석계역)
종점
첫차05:40기점
첫차05:46
막차00:20막차00:26
평일배차10~13분주말배차10~13분
운수사명석계운수인가대수3대
노선(래미안장위퍼스트하이 → 꿈의숲대명루첸아파트 → 장곡초교앞→/←간대어린이공원 ← 장곡초교사거리) - 하나은행장위동지점 - 장위동원천주유소 - 돌곶이역 - 장위동동원베네스트.온누리병원 - 석관동주민센터 - 석계역


3. 개요[편집]


석계운수에서 운행하는 성북구 마을버스 노선이다. 성북14-1번 정류장 목록, 성북14-2번 정류장 목록

4. 역사[편집]


  • 2004년 개편 이전에는 12-2번 마을버스였다. 이 때는 드림랜드에서 석계역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성북14번으로 변경되었다.

  • 과거에는 성북12, 13번과 같이 장위동길로 들어가 수진약국에서 돌곶이길로 꺾어져 나와 운행했으나, 노선 중복을 이유로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 북서울꿈의숲 조성 공사로 인해 2008년 9월 6일에 장월초교까지 연장되었다.

  • 장위뉴타운 재개발공사로 인해 2017년 1월 3일에 '북서울꿈의숲 - 장곡초교 - 장위3동지구대 - 장위3동주민센터' 구간이 '북서울꿈의숲 - 장월초교.참누리아파트 - 장석교회 - 광운중학교 - 장위3동주민센터'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기점이 북서울꿈의숲으로 변경되었으며, 기점 구간은 루프 형식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보고서 관련 게시물

  • 2017년 9월 16일에 성북14번이 번호만 성북14-1번으로 변경되었으며, 변경 전 노선의 일부를 따와 성북14-2번을 분리 신설했다. 관련 보고서. 순증차를 하지 못한 탓에 배차간격이 많이 벌어졌다.

  • 2022년 5월 9일에 성북14-2번이 한천로 경유에서 돌곶이로, 돌곶이역 경유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성북12번에서 차량 1대를 가져와 배차간격이 15~20분에서 10~13분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관련 보고서

  • 2022년 5월 16일부터 2023년 11월 30일까지 장월교 개축공사로 인하여 성북14-1번이 장위동을 거치지 않았었다. 2023년 12월 1일부터 원래 노선으로 복귀했다. 관련 공지

  • 2022년 8월 12일부터 2022년 12월 8일까지 광운로2길 도로공사로 인해 한시적으로 광운중/고를 거치지 않고 장위동을 거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관련 게시물

5. 특징[편집]


  • 석계운수 소속 노선들 중 장위동고개를 경유하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다.


5.1. 성북14-1번[편집]


  • 2010년까지는 후기형 파워콤비[6]으로 다녔고, 한 때는 그린시티도 운행했으나, 그린시티는 태현교통과 12번으로 보내고 현재는 소형차량인 카운티레스타로 운행 중이다. 노선상 롯데캐슬루나아파트에서 U턴함으로 중형차량을 운행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 노선 변경 이후 무려 3개 자치구를 지나가는 노선이 되었다.[7]


5.2. 성북14-2번[편집]



5.2.1. 돌곶이로 경유 전[편집]


  • 장위뉴타운 1,5구역과 석계역을 오가는 단거리 노선이었다. 석계운수 노선 중 정류장 수가 16개로 가장 적으며 뉴타운 공사 기간에는 스타렉스로 운행하는 단거리 노선인 성북05번과 정류장 수가 동일했으나 개발이 완료된 지금은 한천로의 이설 및 정류장 추가 설치로 기존 꿈의숲아이파크에서 출발해 장위래미안아파트까지만 운행했던 노선을 대명루첸아파트와 장곡시장으로 구간을 연장해서 2022년 4월까지 다녔었다.

5.2.2. 돌곶이로 경유 후[편집]


  • 2022년 5월부터 돌곶이로 경유로 바뀌었고, 장위뉴타운 7구역을 기점으로 돌곶이역을 경유하여 운행하고 있다.

  • 개통 초기에는 뉴타운이 완공되지 않아 수요가 저조했지만, 완공 이후 수요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초반에 운행하던 카운티는 12번으로 보내고 그린시티 3대를 가져와 운행중이다.

5.3.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14-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438명-
2014년2,378명▽ 60
2015년2,198명▽ 180
2016년1,988명▽ 210
2017년[8]1,668명▽ 320
2018년1,649명▽ 19
2019년1,613명▽ 36
2020년1,188명▽ 425
2021년1,132명▽ 56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14-2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7년291명-
2018년356명△ 65
2019년455명△ 99
2020년514명△ 59
2021년617명△ 103
2022년966명△ 349
※ 하차 인원 미포함


6.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 석계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 돌곶이역[9], 석계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1:00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성북1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돌곶이역 경유 노선변경 이전.[2] 출퇴근시간 예비차 1대 추가 운행[3] 측면 스티킹을 바꿔가며 성북 12번과 공용 예비차 사용[4] 출퇴근시간 예비차 1대 추가 운행[5] 측면 스티킹을 바꿔가며 성북 12번과 공용 예비차 사용[6] 카운티 엔진 탑재. 기아자동차 생산분.[7] 강북구, 노원구, 성북구. 다만 강북구는 관할 정류장도 오현초 정류장 하나밖에 없는데다 거의 스쳐가는 수준이다. 실질적으로 아웃강북.[8] 노선번호 변경[9] 14-2번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