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구로

덤프버전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3 차 순 환 선[A]
통영 방면
두류공원로
5번
국도
중강진 방면
팔달로
노선 번호
5번 국도[1]
기점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
종점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만평네거리
연장
3.78 km
관리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왕복 차로 수
6~8차로전구간
주요 경유지
두류네거리 ↔ 신평리네거리 ↔ 평리네거리 ↔ 만평네거리
1. 개요
2. 연계교통
2.1. 도시철도
2.2. 버스
3. 구간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동 두류네거리를 기점으로 하여[2], 서구 비산동 만평네거리 앞에서 끝나게 되는 도로[3]. 3차 순환선의 서쪽을 차지하는 도로로 국도 제4호선, 제5호선의 일부이다.

도로 명칭은 대구 시가지 서부를 관통한다고 하여 붙여졌다. 동대구로보다 다소 늦은 1982년에 도로명이 제정되었다.(동대구로는 1974년에 도로명 제정) 대구 서구의 중앙을 종단하는 서구 교통의 대동맥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통량이 제법 된다.


2. 연계교통[편집]



2.1. 도시철도[편집]


순환선 계획이 확정됐다. 두류역에서 2호선과, 만평역에서 3호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2.2. 버스[편집]


버스 정류소정류장 코드정차 버스
평리청구타운02113, 02281급행5, 순환3(-1), 356, 425, 524, 623
평리네거리00927, 09082 , 00921204, 234[4], 309[5], 323(-1), 726, 750[6], 서구1(-1), 칠곡6[7]
북부정류장01737, 02328234, 309, 724, 730, 성서3(팔달시장 지원운행), 칠곡6,
200(칠곡), 250(성주/칠곡), 300(칠곡)


3. 구간[편집]


두류네거리
두류공원로와 직결 (기점)
감삼역 방면달구벌대로
(두류네거리)
내당역 방면
대구의료원 방면평리로
(남평리네거리)
서도초교 방면
중리네거리 방면국채보상로
(신평리네거리)
서구청 방면
서구구민운동장 방면문화로
(평리광명네거리)
평리1동 주민센터 방면
서대구IC 방면북비산로
(평리네거리)
북비산네거리 방면
-달서천
(평리교 교차로)
원대네거리 방면
팔달교 방면팔달로
(만평네거리)
원대오거리 방면
만평네거리
노원로와 직결(종점)


4.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북 편
4
25
노원로

만평네거리 ~ 침산교교차로
4
25
동북로

침산교교차로 ~ 효목네거리
동 편파일:Cityroad_kor_23.svg 청호로
황금고가교네거리 ~ 만촌네거리
25
무열로

만촌네거리 ~ 효목네거리
남 편파일:Cityroad_kor_28.svg[[파일:Cityroad_kor_34.svg
안지랑네거리 ~ 캠프워크교차로
파일:Cityroad_kor_28.svg 대덕로
캠프워크교차로[단절] ~ 중동교
파일:Cityroad_kor_28.svg 청수로
중동교 ~ 황금고가교네거리
서 편
5
26
두류공원로

안지랑네거리 ~ 두류네거리
5
서대구로

두류네거리 ~ 만평네거리
[단절] : 캠프워크교차로 ~ 봉덕초등학교 구간 캠프워커로 인해 단절

대구광역시도 | 1차 순환선 | 2차 순환선 | 3차 순환선 | 4차 순환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1:33:47에 나무위키 서대구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두류네거리 ~ 만평네거리[1] 두류네거리~만평네거리[2] 남쪽으로는 두류공원로와 연결된다.[3] 북동쪽으로는 노원로와 연결된다.[4] 방천리공영차고지 방면 운행시 평리네거리3(정류장번호:00921)정류장에 정차[5] 방천리공영차고지 방면 운행시 평리네거리3(정류장번호:00921)정류장에 정차[6] 앞산공원 방면 운행시 평리네거리3(정류장번호:00921)정류장에 정차[7] 서대구역 방면 운행시 평리네거리3(정류장번호:00921)정류장에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