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2024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
2위
4위2위
1위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fecd00 }}}]]
2위
19871988198919901991
2위
3위
4위
2위

3위
19921993199419951996
4위
2위
5위5위6위
19971998199920002001
4위
3위
4위
3위
2위
20022003200420052006
1위
[[200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4위
2위
1위
[[2005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06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0072008200920102011
4위
4위
5위2위
1위
[[2011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0122013201420152016
1위
[[201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13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14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위
9위
20172018201920202021
9위6위8위8위3위
20222023202420252026
7위8위?위?위?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2024년도 팀 슬로건
WIN OR WOW
파일:삼성 라이온즈 2023년 캐치프레이즈.svg
2024 시즌 삼성 라이온즈 홈경기 누적 관중 수
구장경기 수전체 관중 수평균 관중 수총 관중 순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33/70540,63516,6735위
포항 야구장3--
순위승차승률
4 / 10381302.00.559
2024년 6월 16일 기준, KBO 리그 관중 현황

1. 시즌 전
1.2. 시즌 전망
1.2.1. 투수진
1.2.2. 야수진
1.2.3. 종합
2. 슬로건
3. 시범경기
4. 페넌트 레이스
5. 정규시즌 중 변경사항
6. 주요 사건
7. 기록
7.1. 정규시즌 팀 기록
7.2. 정규시즌 팀 달성 기록
7.3. 정규시즌 개인 달성 기록
7.4. 정규시즌 개인 기록
7.4.1. 투수
7.4.2. 타자
8. 전적
8.1. 상대 전적
8.2. 월별 전적
8.3. 요일별 전적
8.4. 구장별 전적
9. 시즌 총평
10. 둘러보기



1. 시즌 전[편집]



1.1. 스토브리그 / 스프링캠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시즌 전망[편집]



1.2.1. 투수진[편집]






1.2.2. 야수진[편집]











1.2.3. 종합[편집]


2023 시즌 간신히 꼴찌를 면했지만, 2024 시즌 역시 전망이 좋지는 않다. 대체로 빅마켓 팀의 암흑기의 시작인 윈나우 탱킹의 과정을 지난 2년간 겪었기에 상태가 굉장히 불량하다는 평가를 받는다.[3] 그나마 가장 큰 약점인 불펜진을 보강했으나, 선발진은 뷰캐넌과의 이별, 백정현의 부상 이슈, 원태인의 혹사 등의 악재로 되려 크게 약화되었다. 타선 역시 맥키넌을 영입했지만 그 외에 특별한 보강이 없어서 상위권과 가을야구를 예상하는 팬덤은 별로 없다.[4] 사실상 투타 양면에서 일부 주전급 선수들을 제외하면 상수라고 볼 수 있는 요소는 아예 없다. 투수진은 데뷔 6년차인 원태인 이후 인상적인 활약을 남긴 선수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고 야수진은 리빌딩이 잘 되고는 있지만 젊은 선수들의 기복이 심하다.

거기다 2022년 역대급 성적을 올린 뷰캐넌-수아레즈-피렐라 통칭 뷰수피로 불리던 외국인 3인방 역시 모종의 이유로 전부 바뀌었다.[5] 2024 시즌은 코너, 맥키넌, 레예스 중 한 명이라도 테임즈나 페디처럼 리그를 씹어먹거나 3명 중 한 명이라도 제 역할을 못해낸다면 삼성은 가을야구를 기대하기 힘들다.[6]

그나마 다행인 점은 이종열이 새롭게 단장으로 들어와서 팀 체질 개선을 위해 시스템 보강을 하는 중이고, 부족한 부분인 불펜 보강을 대대적으로 했기에[7] 일단 내년 시즌은 상위권을 기대해보기는 어려울 지라도 경기력이 최악이었던 지난 2년보다는 개선을 바랄 여지가 많다.

불펜 자원을 긁어모으듯이 보강했지만 반대로 타선 보강이 등한시되며 맥키넌을[8] 제외하면 뚜렷한 보강 요소가 없고 선발진은 크게 변화하였다. 일단 김재윤과 임창민을 영입했고, 오승환이 에이징 커브를 완만하게 맞고 2차 드래프트 자원들이 기존 불펜진보다 낫다는 가정 하에 2023 시즌보다 계투진 사정은 나아졌지만, 타선이 맥키넌을 영입한 것 외에 변화가 없고 선발진이 크게 변화되어 여전히 각종 전문가들에게 중하위권-하위권을 기록하며 리빌딩에 힘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삼성 제외 장기 무관인 하위권 4팀처럼 전력이 약하거나 SSG, kt처럼 평균 연령이 높은 구단은 부분적으로라도 리빌딩을 시작했고 새로 영입한 불펜진 역시 전원 30대 이상이기 때문에 리빌딩을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마침 이종열이 들어와서 극도로 낙후된 코칭 시스템과 육성 시스템을 전면 개편했기에, 육성 문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시름을 놓았다는 팬들이 많다.

결국 타선에서 굴비즈 + 김성윤의 성장, 구자욱과 강민호의 지난 시즌과 같은 활약,[9] 피렐라를 대체해 들어온 맥키넌의 활약이 중요하다.[10] 투수진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게 불펜의 안정이며 선발진에서는 코너, 원태인의 10승 이상의 활약과 레예스, 백정현의 안정적인 시즌 풀타임 출전, 그리고 5선발 적임자의 신속한 발굴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2024시즌은 성적도 성적이지만, 그동안 등한시되던 육성을 다시 시작하여 꾸준한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밑거름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사실 삼성의 2024년 스토브리그는 단장 교체부터 시작해서 적극적인 외부 영입, 외인 전원 교체, 코칭스태프 물갈이 등으로 구단에 엄청난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이로 인한 기대감으로 2024년의 삼성은 다를 것이라고 예상하는 팬들도 있고, 2023시즌 삼성이 2년간 마치 2019년의 롯데 자이언츠를 연상시킬 정도로 막장스럽게 시즌을 보내고 뎁스 역시 여전히 처참한 탓에 그래도 지켜봐야 한다며 우려를 표하는 팬들도 많다. 일단 즉각적인 변화와 가을야구 진출 등을 기대하는 팬덤은 거의 없고, 전문가들과 올드 팬덤은 대다수 몇 년 동안의 큰그림을 전망하고 있다. 대대적인 변화의 효과가 결실을 맺을 것인지, 여타 암흑기를 겪고 있거나 겪었던 다른 팀들이 그러했듯[11] 설레발에 그친 채 올해도 중하위권으로 마무리할 것인지 시즌이 시작되어야 평가가 가능한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NPB와의 연습경기에서 투수들이 워낙에 엉망진창이라 평가가 더욱 크게 떨어졌다. 단순히 피안타가 많으면 NPB와 KBO의 수준차라는 핑계를 써먹을 수 있으나 투수들이 한 경기당 사사구를 10개씩 허용하고 있으며 사사구는 타석에 김헌곤이 서 있든 트라웃이 서 있든 공평하게 1루 출루이기에 수준차 핑계도 댈 수 없어서 더욱 욕을 먹고 있다. 물론 아직 시즌 개막 이전이기에 정확한 투수진 상태는 시즌이 개막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2. 슬로건[편집]


2024년 삼성 라이온즈 캐치프레이즈
파일:삼성 라이온즈 2023년 캐치프레이즈.svg
WIN OR WOW

시즌 개막이 다 되도록 새로운 슬로건을 발표하지 않았다. 결국 2024 시즌 KBO 미디어데이에서 삼성을 소개할 때 캐치프레이즈로 WIN OR WOW가 나온 것을 보면 2024 시즌 역시 이 슬로건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보였고, 결국 작년 슬로건을 한 해 더 사용하게 됐다. 작년 슬로건이 홍준학 체제를 상징하며 욕을 많이 먹었는데 이종열 체제에서도 다시 사용한다는 점이 아쉽다는 평이 많다. [12]

3. 시범경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시범경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페넌트 레이스[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2024 시즌 순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4 시즌 순위표
순위경기승률승차연속
1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0.000--
2파일:kt wiz 엠블럼.svg
----0.000--
3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0.000--
4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0.000--
5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0.000--
6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0.000--
7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0.000--
8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0.000--
9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0.000--
10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0.000--
순위 출처: KBO 공식 웹사이트
2024 한국시리즈 우승
2024 한국시리즈 진출
2024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2024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진출
2024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2024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024년에는 2023년과는 반대로 홈 73경기, 원정 71경기를 치른다.


4.1. 3~4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3~4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5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5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6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6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4. 7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7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 8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8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6. 9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2024년/9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정규시즌 중 변경사항[편집]


2024 시즌 중 트레이드 선수
원 소속팀트레이드 선수트레이드 선수원 소속팀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오재일박병호파일:kt wiz 엠블럼.svg

2024 시즌 중 정식선수 전환
전환 일자전환 선수포지션 투타등번호 변경
2024.5.30양우현내야수우투좌타105 → 63


6. 주요 사건[편집]



6.1. 박병호 ↔ 오재일 트레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박병호 ↔ 오재일 트레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올스타전 참가 선수[편집]




6.3. 응원가 엘도라도 복귀[편집]


2024년 3월 19일, 구단과 원저작자와의 저작권 협의가 공식적으로 완료되었다. 개막전 예고영상을 통해 이 사실이 암시되었고, 곧 기사들이 나오며 공식화되었다. 구단 관계자는 인터뷰에서 이종열 단장이 열심히 노력했다며, 올해부터 아무 문제 없이 응원가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7. 기록[편집]



7.1. 정규시즌 팀 기록[편집]


2024년 정규시즌 삼성 라이온즈 타격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타율득점권타율
출루율장타율
2루타3루타
홈런타점
도루BABIP
타격 WAR팀 OPS
2024년 정규시즌 삼성 라이온즈 투수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평균자책점QS
선발 평균자책점불펜 평균자책점
WHIP탈삼진
세이브홀드
이닝블론세이브
선발승구원승
투수 WAR


7.2. 정규시즌 팀 달성 기록[편집]


2024년 정규시즌 삼성 라이온즈 팀 달성 기록
날짜기록명상대팀구장달성 선수비고


7.3. 정규시즌 개인 달성 기록[편집]


2024년 정규시즌 삼성 라이온즈 개인 달성 기록
날짜선수기록명상대팀구장비고


7.4. 정규시즌 개인 기록[편집]




7.4.1. 투수[편집]


우완 투수
이름출장선발이닝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WHIPWPAsWAR
좌완 투수
이름출장선발이닝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WHIPWPAsWAR


7.4.2. 타자[편집]


포수
이름출장타수타율안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출루율장타율wRC+sWAR포지션(선발)
내야수
이름출장타수타율안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출루율장타율wRC+sWAR포지션(선발)
외야수
이름출장타수타율안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출루율장타율wRC+sWAR포지션(선발)


8. 전적[편집]



8.1. 상대 전적[편집]



삼성 라이온즈 2024년 팀별 상대 전적
상대 팀승 - 무 - 패승률기대마진잔여경기비고
LG
우세
5 - 1 - 30.6250.406+27경기
kt
우세
3 - 0 - 20.6000.482+111경기
SSG
절대열세
2 - 0 - 60.2500.360-48경기
NC
백중세
4 - 0 - 40.5000.51208경기
두산
압도
5 - 0 - 10.8330.800+410경기
KIA
우세
3 - 0 - 20.6000.620+111경기
롯데
백중세
4 - 0 - 40.5000.53208경기
한화
절대우세
7 - 0 - 20.7780.452+57경기
키움
백중세
5 - 0 - 60.4550.474-15경기
38 - 1 - 300.5590.499+875경기
순위: 4 / 10득점 - 실점: 342 - 343승차: 2.0


한화와 두산을 압도하고 SSG에게 압살당하고 있는 걸 빼면 나머지 구단들 상대로는 비등비등한 전적을 보이고 있다. 웃긴 건 한화전 승률이 7할 5푼인데 피타고리안 승률은 5할도 채 되지 않는다는 점. 아마 이기는 경기들을 접전 끝에 간신히 이기고, 진 2경기 모두 리그 최악의 한상바 이호성 때문에 대패한 것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8.2. 월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달,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달,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삼성 라이온즈 2024년 월별 전적
승무패순위승차승률
3월2승 1무 5패84.50.286
4월16승 0무 8패13.00.667
5월12승 0무 12패64.00.500
6월0승 0무 0패
7월0승 0무 0패
8월0승 0무 0패
9월0승 0무 0패
최종성적0승 0무 0패


8.3. 요일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요일,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요일,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삼성 라이온즈 2024년 요일별 전적
화요일5승 0무 6패금요일5승 0무 7패
수요일6승 1무 3패토요일7승 0무 5패
목요일7승 0무 5패일요일8승 0무 3패
최종성적 38승 1무 29패 승률 0.567


8.4. 구장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경기장,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경기장, 초록 글씨는 승과 패의 차이가 2 이하일 경우다.
삼성 라이온즈 2024년 구장별 전적
홈경기 17승 0무 16패
대구17승 0무 16패포항0승 0무 0패
원정경기 21승 1무 13패
잠실2승 1무 3패[13]문학2승 0무 3패
수원2승 0무 0패사직4승 0무 2패
대전2승 0무 1패고척4승 0무 2패
광주2승 0무 1패창원3승 0무 1패
최종성적 38승 1무 29패 승률 0.567


9. 시즌 총평[편집]




10. 둘러보기[편집]


||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기본 정보삼성그룹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2군
주요 인물구단주·대표이사 유정근단장 이종열감독 박진만2군 감독 정대현주장 구자욱
경기장1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포항 야구장2군 경산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스프링캠프 온나손 아카마 볼파크재활 삼성 트레이닝 센터이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주요 정보선수단등번호유니폼마스코트 블레오사건 · 사고 | 프랜차이즈 스타 | 삼성 왕조암흑기 (2차)
관련 정보삼적화여름성이마양채최박조원수박차JOKKA곤규엽굴비즈 | 삼나쌩 · 삼상바 클럽기롯삼한라떼동맹
라이벌리vs KIA 88고속도로 씨리즈vs 롯데 클래식 씨리즈vs 두산 싸대기 매치vs 현대 재계 라이벌 시리즈
영구 결번10 양준혁22 이만수36 이승엽
최종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52002200520062011201220132014
현재 시즌삼성 라이온즈/2024년
팬덤 정보응원가(구단 · 선수)|디시인사이드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유튜브 LionsTV네이버 카페 사자 사랑방팬 게시판 사자후 (폐쇄)응원단장 김상헌허니크루치어리더대구아재
지역 연고경북고대구고상원고포철고경주고강릉고설악고도개고예일메디텍고
기타이승엽 와도 자리 없다나믿가믿삼팬이지만 인정한다돈 내놔라 먹튀야못 참겠어서 왕조 선언합니다김헌곤 유니버스 | 오승환/밈
틀 문서
역대 시즌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1차지명응원단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11:27에 나무위키 삼성 라이온즈/2024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원태인은 데뷔시즌 이후로 팬들이 매년 부상 염려를 하고 있으나 로테이션을 장기간 거른 적은 단 한차례도 없다.[2] 김재상과 김영웅, 이해승, 강한울, 김동진 등 유격자원은 매우 많다[3] 수준의 차이는 존재하나 2019 시즌 종료 직후 롯데가 연상된다는 팬덤도 많다. 물론 2019시즌 롯데 쪽의 상황이 훨씬 심각하나 현재 삼성도 마치 2017시즌 가을야구 진출 이후 2년동안 헤매고 리빌딩 체제에 들어서기라도 한 롯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4] 지난 두 시즌의 한심한 모습으로 기대치가 낮아져서 '가을야구만 가도 행복할 것 같다'는 팬덤이 거의 대부분이고 전문가들 역시 대체로 팀을 정비할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리고 있으며, FA로 불펜을 보강한 이후에도 꽤 많은 매체에서 대략 키움 바로 위의 8-9위 정도로 예상 순위를 두고 있다. 사실 보강이라고 하기도 뭐한 것이 2022시즌에 비하여 외국인 투수 전력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때에 비해 국내 투수진은 더 처참하다.[5] 수아레즈는 부상, 피렐라는 2023년 부진, 뷰캐넌은 매우 잘했으나 시즌 종료 이후 계약규모의 차이와 메이저 오퍼로 협상 결렬. 거기다 수아레즈 대신 들어온 와이드너 역시 못했으며 홈 경기에서 극도로 부진했다.[6] 2024 시즌도 우승을 하지 못하면 10년째 우승 실패로 무관 문서에 등재되게 된다. 현재 삼성보다 오랫동안 우승을 못한 구단은 키움, 한화, 롯데밖에 없다. 물론 이 세 구단 역시 삼성과 함께 7-10위의 일원이였으며, 2024 시즌 전망이 좋지 않다. 이 해 6위로 가을야구에 못 간 KIA 역시 우승한 지 꽤 오래되었으나 이마저도 삼성보다는 최근에 우승했고, KIA는 2023시즌 불운과 외국인 투수의 폭망, 감독의 무능만 아니었다면 상위권에 랭크되는 것이 이상하지 않을 정도의 전력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특별한 전력 보강이 없었음에도 많은 전문가들이 KIA를 우승 후보로 점치고 있다.[7] 다만 팬덤 사이에서는 임창민까지 포함해서 불펜 자원에 거의 100억 가까운 자금을 쓰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라는 평가가 있기도 하다. 물론 전임 단장인 홍준학이 거의 태업 수준으로 전력을 개박살내놨기 때문에 당장의 비정상적인 불균형을 메꾸려면 어쩔 수 없다는 평가가 더 많다.[8] 2023시즌 피렐라가 상당히 부진하였는데 맥키넌은 그런 피렐라보다 나은 wRC+를 NPB에서 기록했다.[9] 구자욱은 타격 2위를 하며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최고의 모습을 보였지만 부상을 신경써야하고, 강민호는 지난 시즌 38세의 나이에도 중심타자로서 제 역할을 충분히 해주었다. 하지만 나이가 나이인지라 에이징커브를 조심해야 한다.[10] 맥키넌은 KBO보다 수준이 높은 NPB에서도 퍼리그 홈런 10위, 타율 13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중심타선에서 무게를 잡아줄 것으로 기대된다.[11] 가장 최근의 사례로는 롯데의 성민규 체제의 7887로 이쪽은 2019년 작년의 삼성을 아득히 뛰어넘는 막장 시즌을 보내고 상부를 다 교체한 뒤 리빌딩을 천명하였으나 이 기간동안에도 허문회 등 코칭스태프는 전반적으로 비판받았고 결국 윈나우를 천명한 2023시즌 성민규가 사온 FA가 다 망하고 2019년의 후유증으로 4년 연속 가을야구 진출 실패하며 암흑기를 연장했다. 물론 커뮤니티 등지에서 굴비즈의 육성 성과가 과도하게 부풀려졌을 뿐 팀의 처참한 운영 상태가 알려지지 않아서 실제 여론과는 많이 다르나 홍준학말아먹은 삼성과 달리 롯데는 리빌딩의 효과가 있어서 2024시즌은 올해는 다르다를 외쳐도 될 것이라는 전문가가 상당히 많다.[12] 다만 구단 슬로건은 단장이 아닌 사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13] LG와의 전적 0승 1무 2패, 두산과의 전적 2승 0무 1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