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촌가로숲

덤프버전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5호
의성 사촌리 가로숲
義城 沙村里 街路숲
Garosup Forest in Sachon-ri, Uiseong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경북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356번지
분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생활
수량500여주
지정일1999.04.06
시대1380년대(추정)
위치


1. 개요
2. 특징
3. 현황
4. 이용 안내
5. 문화재청 소개글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숲. 1999년 천연기념물 제405호로 지정됐으며 이 수림은 사촌 서쪽 매봉산 기슭의 하천변에 있는데, 길이 약 1,040m, 폭 40m로 가로 놓여 있으며, 마을 서편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하여 만들어진 방풍림이다.


2. 특징[편집]


숲의 안쪽과 바깥쪽의 겨울철 기온차가 큰 편이다. 해마다 찾아드는 왜가리의 서식처이며, 먹이가 풍부하여 텃새와 철새들이 많이 모인다. 숲의 경관이 아름답고 여러 종류의 수목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자연관찰원으로도 활용되며, 특히 가을철 단풍은 절경을 이루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숲의 경관이 아름답고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어 선조들의 풍치관에 대한 지혜를 알 수 있다. 이 숲은 600여 년 전 고려 말기에 안동김씨 중시조인 자첨공이 1392년 안동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마을을 만들 때 서쪽의 바람을 막고 휴식 장소로 이용하기 위하여 조성하였다고 한다.


3. 현황[편집]


1999년 4월 6일 천연기념물 제405호로 지정되었다. 매봉산을 기점으로 남쪽으로 길이 600m, 너비 40m로 길게 뻗은 숲으로, 600여 년 전 고려 말 안동김씨 중시조(中始祖)가 이곳에 정착할 때 마을의 경관을 살리기 위해 심었다고 전한다. 구성 수종은 상수리나무·갈참나무·느티나무·팽나무·왕버들·회화나무·말채나무 등 500여 그루가 있는데, 평균 수령이 300∼400년으로 추정된다. 낙엽활엽수림으로 고목과 노거수가 많아서 왜가리가 서식하고 있어 나무의 일부가 고사하기도 하나 생육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본래의 역할 외에도 아름다운 풍광을 통해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는 명승지가 되었다. 현재는 경상북도 내에서도 가장 규모가 큰 풍치림이다. 이곳은 조선 선조 대에 영의정을 지낸 서애 유성룡과도 관련된 곳으로 전해오고 있기도 하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의 총 면적은 3만 7,164㎡ 정도이며 부근에 있는 점곡 초등학교 운동장 길에도 은행나무가 있어 아름다운 경치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4. 이용 안내[편집]


체험 가능 연령: 전 연령
문의 및 안내: 054-830-6065

관련 홈페이지:
http://tour.usc.go.kr
http://www.cha.go.kr

이용 팁: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을 만날 수 있고 가을에는 울창한 숲이 가을 옷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사촌 전통한옥마을을 둘러보고 한옥을 체험할 수 있다.


5. 문화재청 소개글[편집]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고려말 안동 김씨 입향조(入鄕祖)인 김자첨이 안동으로부터 이곳 사촌으로 이사를 와서 마을 서쪽의 평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만든 방풍림이라고 전해진다. 사촌에서는 이 숲을 서림(西林)이라고 부르고 있다. 현재 이 숲에는 나이가 300∼600년 정도되는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 10여 종, 500여 그루의 나무가 자라고 있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조선 선조(재위 1576∼1608)대에 영의정을 지낸 서애 유성룡이 출생하였다는 전설을 간직한 숲으로 우리 선조들의 자연관을 알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0:10:12에 나무위키 사촌가로숲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