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백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3399><bgcolor=#003399> 파일:external/flagspot.net/kr~n2.gif ||
||<width=20%> 초대
조충현 ||<width=20%> 2대
최일근 ||<width=20%> 3대
김홍열 ||<width=20%> 4대
강덕동 ||<width=20%> 5대
김종대 ||
||<width=20%> 6대
이수용 ||<width=20%> 7대
유병호 ||<width=20%> 8대
문정일 ||<width=20%> 9대
한광수 ||<width=20%> 10대
윤연 ||
||<width=20%> 11대
최기출 ||<width=20%> 12대
송영무 ||<width=20%> 13대
권영준 ||<width=20%> 14대
안기석 ||<width=20%> 15대
정옥근 ||
||<width=20%> 16대
김성찬 ||<width=20%> 17대
윤재갑 ||<width=20%> 18대
서경조 ||<width=20%> 19대
김광석 ||<width=20%> 20대
김진형 ||
||<width=20%> 21대
김판규 ||<width=20%> 22대
정안호 ||<width=20%> 23대
심승섭 ||<width=20%> 24대
박기경 ||<width=20%> 25대
천정수 ||
||<width=20%> 26대
김명수 ||<width=20%> 27대
최성목 ||<width=20%> 28대
김성학 ||
||<-5><bgcolor=#000080> ※ 초대~현임: 소장 ||
||<-5><bgcolor=#00008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resized_CSC.jp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초대

고한석
제2대

연제욱
제3대

옥도경
제4대

조현천
제5대

조성직
제6대

변재선
제7대

김종일
제8대

천정수
제9대

김한성
※ 초대~8대: 소장 / 9대~현재: 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대한민국 제30대 제1함대사령관
박규백
Park Gyubaek
학력용산고등학교
국방대학교 (군사전략 / 석사[1])
복무대한민국 해군
1993년 ~ 현재
임관해군사관학교 (47기)
현재 계급소장 (대한민국 해군)
현재 보직제1함대사령관
주요 보직사이버작전사령관
합동참모본부 시험평가부장
해군작전사령부 순항훈련전단장
해군사관학교 생도대장
해군본부 전력소요차장
합동참모본부 해상전력과장
해군본부 전략기획과장
해군본부 지휘관리과장
제1함대 작전참모
제108조기경보전대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군의 군인. 현재 계급은 소장이다.


2. 생애[편집]


용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47기)에 입교하여 졸업과 함께 해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졸업 당시 수석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또한 졸업시 초대해군참모총장(손원일 제독) 상인 원일상[2]을 수상했다. 소위 임관 이후에도 해상전 초등군사반/고등군사반 및 해군대학을 1등으로 졸업했다.


3. 주요 직위[편집]









4. 여담[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7:53:26에 나무위키 박규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탈냉전기 중국 국방정책의 신기조와 해군 현대화 (2000. 02.)[2] 품성과 리더십에 주안점을 둔 사관생도 총원의 투표 결과를 반영한 상[3] 학생장교 시절 기간병들에게 매너있는 언행으로 호평을 받았다.[4] 대령(진)부터 전대장을 역임했다.[5] 2021년 순항훈련전단. 한국 해군 최초 북극권 베링해 항해, 알레스카 앵커리지 기항[6] 전임 최성혁[7] 동기 중 강정호 소장과 함께 1차 진급하였다.[8] 43기 수석 김명수 합참의장, 44기 수석 양용모 해군참모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