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형 증기기관차 (r1판)

편집일시 :

1. 개요
2. 사양
2.1. 미카 1형(Mikai)
2.2. 미카 2형(Mikani)
2.3. 미카 3형(Mikasa)
2.4. 미카 4형(Mikashi)
2.5. 미카 5형(Mikako)
2.6. 미카 6형(Mikaro)
2.7. 미카 7형(Mika7)
3. 보존
4. 기타



1. 개요[편집]


2-8-2형 증기 기관차. 미국에서 굉장히 널리 쓰였으며 한국에서도 쓰인 바 있다.

차량은 미국에서 Mikado 2-8-2형 부품을 선편으로 수송하여 인천공작창에서 조립해 경인선에 배치되었으며 일부 부품의 경우 인천공작창에서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다른 이름으로 맥아더(McArther)로 불리기도 한다. 특징으로는 8개의 동륜을 위해 화실이 약간 뒤쪽으로 밀려났다는 점이 있다.


2. 사양[편집]



2.1. 미카 1형(Mikai)[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1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i-class locomotive
||
파일:kmk12.jpg
영등포역에 정차 중인 미카1-2호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12량
차륜배치2-8-2
도입시기1919년
제작사볼드윈
차량 제원
전장22,032㎜
전폭3,023㎜
전고4,383㎜
궤간1,435㎜
중량기관차: 89.75t
탄수차: 57.50t
최고속도70㎞/h
밸브장치왈샤트식

해방 이후에 9량이 남한, 3량이 북한 소속이 되었다.


2.2. 미카 2형(Mikani)[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2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ni-class locomotive
||
파일:knrmk24.jpg
용산역에 대파되어 방치된 미카2-4호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12량
차륜배치2-8-2
도입시기1919년
제작사ALCO
차량 제원
전장22,094㎜
전폭3,023㎜
전고4,254㎜
궤간1,435㎜
중량기관차: 93.40t
탄수차: 57.50t
최고속도70㎞/h
밸브장치왈샤트식

해방 이후에 대부분이 북한 소속이 되었다고 한다, 현재 운행 중인지는 추가바람.


2.3. 미카 3형(Mikasa)[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3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sa-class locomotive
||
파일:external/jejuhistory.co.kr/%ED%81%AC%EA%B8%B0%EB%B3%80%ED%99%98_%EC%97%B0%EB%8F%99_%EB%AF%B8%EC%B9%B4%ED%98%95%EC%A6%9D%EA%B8%B0%EA%B8%B0%EA%B4%80%EC%B0%A8304%ED%98%B8(1006).jpg
제주 삼무공원에 정태보존 중인 미카3-304호
(등록문화재 제414호)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398량
차륜배치2-8-2
도입시기1927~1946년
제작사기샤세이죠
니혼사료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경성공작창
차량 제원
전장22,035㎜
전폭3,078㎜
전고4,507㎜
궤간1,435㎜
중량기관차: 90.65t
탄수차: 65.80t
최고속도70㎞/h
밸브장치왈샤트식

미카 3-129호 운행영상


2.4. 미카 4형(Mikashi)[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4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shi-class locomotive
||
파일:kmk423.jpg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도입량24량
차륜배치2-8-2
도입시기1939년~1942년
제작사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제원
전장22,168㎜
전폭2,995㎜
전고4,244㎜
궤간1,435㎜
중량기관차: 88.29t
탄수차: 58.48t
최고속도70㎞/h
밸브장치왈샤트식

2.5. 미카 5형(Mikako)[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5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ko-class locomotive
||
파일:20180428_140718.jpg
화랑대역에 전시중인 미카 5형 56호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여객,화물, 군수용 증기기관차
도입량44량
차륜배치2-8-2
도입시기1952년
제작사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니혼사료
미쓰비시 중공업
기샤세이죠
차량 제원
전장21,900㎜
전폭2,997㎜
전고4,510㎜
궤간1,435㎜
중량기관차: 103.10t
탄수차: -t
최고속도80㎞/h
밸브장치왈샤트식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에서 일본의 증기 기관차 제조공장에 군용열차 견인용으로 발주한 기관차. 기본적으로 구 남만주철도의 미카이형 기관차(한국명 미카 1형)의 설계를 유용하여 생산했다.


2.6. 미카 6형(Mikaro)[편집]


파일:Sentetsulogo.png
조선총독부 철도국 미카6형 증기기관차
Sentetsu Mikaro-class locomotive
||
파일:Mnr-mikaro6648_(mikaro549).png
미카 6형의 원판인 JF6형 기관차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여객,화물용 증기기관차
생산량5량
차륜배치2-8-2
생산시기1934년
제작사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기샤세이죠
니혼사료
차량 제원
전장21,200㎜
전폭3,023㎜
전고4,244㎜
궤간1,435㎜
중량기관차: -t
탄수차: 88.29t
최고속도80㎞/h
밸브장치왈샤트식

중국 국유철도 JF6형의 설계를 유용하였다.


2.7. 미카 7형(Mika7)[편집]


파일:철도청 응용로고 (한글 좌우).png
대한민국 철도청 미카 7형 증기기관차
KORAIL Mika7 Class locomotive
||
파일:knrmk71702a.jpg
차량 정보
구분텐더식 증기기관차
용도전시용 증기기관차
도입량2량
차륜배치2-8-2
도입시기1950년
운행기간1950~196?년
제작사미쓰비시 중공업
차량 제원
전장19,730㎜
전폭-㎜
전고-㎜
중량123t

한국전쟁 당시 부족한 기관차를 충당하고자 유엔군이 일본 중공업(현 미츠비시 중공업)에 주문하여 제작한 증기 기관차.
D51형 증기 기관차의 설계를 유용하였으며,[1] 이후 철도청에 양도되어 196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3. 보존[편집]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미카형 증기 기관차는 모두 9대가 남아 있다.











4. 기타[편집]


작가 안도현은 미카형 증기 기관차와 이를 몰던 퇴역 기관사가 철도 박물관에서 서로와 재회하는 내용의 소설 '증기기관차 미카'를 썼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일부가 수록되기도 했던 소설.근데 마지막에 주인공 할아버지께서 철싸대짓을 한다[5] 게다가 그 안에서 세상을 뜨기까지 하셨다

북한 역시 미카형을 '마가형'이라는 이름으로 소유하고 있는데 1994년 영상과 2008년 영상이나 기타사진들을 보았을때 아직 까지도 운행중이라고 확신할수 있다폐차 안하니?

[1] 이 때문에 D51형과 스펙이 비슷비슷하다.[2] 김재현 기관사가 딘 소장 구출 작전에 운행한 차량이다, 과거 대전철도차량정비단 내에 있었으나 언제부턴가 현충원으로 옮겼다.[3] 한동안 운봉공고 캠퍼스에 있었으나 2003년에 영산포역으로 옮겼다.[4] 원래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있었는데 2017년 6월에 함께 있던 혀기형 증기기관차와 함께 옮겼다.[5] 구체적으로 따지자면 구 제복 도난, 운전실 탑승, 정태보존을 위해 일부러 망가뜨린 곳 수리(...), 보존선로 방향을 경의선 방향으로 돌려놓기까지(...) 사실 경부선 구로 방향으로 돌려도 용산역에서 경의중앙선 입선이 가능하긴 하지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5:13:26에 나무위키 미카형 증기기관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