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에스크

덤프버전 :

파일:NTRA-4c-3.png 20세기 미국 명마 Top 100
[ 펼치기 · 접기 ]

상세 정보
1위
Man o' War
2위
Secretariat
3위
Citation
4위
Kelso
5위
Count Fleet
6위
Dr. Fager
7위
Native Dancer
8위
Forego
9위
Seattle Slew
10위
Spectacular Bid
11위
Tom Fool
12위
Affirmed
13위
War Admiral
14위
Buckpasser
15위
Colin
16위
Damascus
17위
Round Table
18위
Cigar
19위
Bold Ruler
20위
Swaps
21위
Equipoise
22위
Phar Lap
23위
John Henry
24위
Nashua
25위
Seabiscuit
26위
Whirlaway
27위
Alydar
28위
Gallant Fox
29위
Exterminator
30위
Sysonby
31위
Sunday Silence
32위
Skip Away
33위
Assault
34위
Easy Goer
35위
Ruffian
36위
Gallant Man
37위
Discovery
38위
Challedon
39위
Armed
40위
Busher
41위
Stymie
42위
Alysheba
43위
Northern Dancer
44위
Ack Ack
45위
Gallorette
46위
Majestic Prince
47위
Coaltown
48위
Personal Ensign
49위
Sir Barton
50위
Dahlia
51위
Susan's Girl
52위
Twenty Grand
53위
Sword Dancer
54위
Grey Lag
55위
Devil Diver
56위
Zev
57위
Riva Ridge
58위
Slew o'Gold
59위
Twilight Tear
60위
Native Diver
61위
Omaha
62위
Cicada
63위
Silver Charm
64위
Holy Bull
65위
Alsab
66위
Top Flight
67위
Arts and Letters
68위
All Along
69위
Noor
70위
Shuvee
71위
Regret
72위
Go for Wand
73위
Johnstown
74위
Bald Eagle
75위
Hill Prince
76위
Lady's Secret
77위
Two Lea
78위
Eight Thirty
79위
Gallant Bloom
80위
Ta Wee
81위
Affectionately
82위
Miesque
83위
Carry Back
84위
Bimelech
85위
Lure
86위
Fort Marcy
87위
Gamely
88위
Old Rosebud
89위
Bewitch
90위
Davona Dale
91위
Genuine Risk
92위
Sarazen
93위
Sun Beau
94위
Artful
95위
Bayakoa
96위
Exceller
97위
Foolish Pleasure
98위
Beldame
99위
Roamer
100위
Blue Larkspur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 헌액마
파일:Miesque.jpg
이름Miesque
출생1984년 3월 14일 파일:미국 국기.svg
죽음2011년 1월 20일 (27세)
성별암컷
털색갈색(Bay)
아비누레예프 (Nureyev)
어미패서도블 (Pasadoble)
외조부프루브 아웃 (Prove Out)
생산자플랙스맨 홀딩스 (Flaxman Holdings Ltd.)
마주스타브로스 스피루 니아르코스[1]
(Stavros Spyrou Niarchos)
(Σταύρος Σπύρου Νιάρχος)
조교사프랑수아 부탱 (François Boutin)
성적16전 12승 (12-3-1-0)
총상금6,014,150 프랑
134,207 파운드
90만 달러
주요 우승G1
[ 펼치기 · 접기 ]
살라망드르 상 (1986)
마르셀 부삭 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1000 기니스 스테이크스 (1987)
풀 데세 드 풀리시 (1987)
물랭 드 롱샹 상 (1987)
이스파앙 상 (1988)
자크 르 마루아 상 (1987, 1988)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더스컵 마일 (1987, 1988)
주요 수상1987년 프랑스, 영국 챔피언 마일러
1987, 1988년 이클립스상 미국 잔디 암말 챔피언
주요 자마킹맘보 (1990)
이스트 오브 더 문 (1991)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번식마 생활
5. 여담
6.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프랑스의 경주마. 경주마로서 G1 10승, 번식암말로서 킹맘보 등 G1 우승마 둘을 배출하고 모계로도 활약마가 이어지고 있는 명암말이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누레예프
Nureyev
1977
파일:미국 국기.svg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1961
파일:캐나다 국기.svg
니어크틱
Nearctic
나탈마
Natalma
스페셜
Special
1969
파일:미국 국기.svg
포를리
Forli

Thong
패서도블
Pasadoble
1979
파일:미국 국기.svg
프루브 아웃
Prove Out
1969
파일:미국 국기.svg
그로우스타크
Graustark
이퀄 벤처
Equal Venture
산타 퀼라
Santa Quilla
1970
파일:프랑스 국기.svg
상튀스
Sanctus
네어리어드
Neriad
* 하이페리온 S5×S5 6.25%

부마 누레예프는 3전 2승, 패배한 경기는 2000 기니스로 가장 먼저 들어왔지만 진로방해로 실격되었다. 감염병으로 일찍 은퇴 후 종마로 성공해 1987년, 1997년 프랑스 리딩 사이어에 올랐으며 누레예프의 BMS 산구마로 일본에 많은 활약마[2]들이 나오기도 했다. 누레예프의 반형제 누나 페어리 브리지(Fairy Bridge, 1975)는 새들러스 웰즈와 페어리 킹[3](Fairy King, 1982), 두 전형제의 모마다.

미에스크에게는 전형제 중상마 둘(Massaraat, Bravemie), 반형제 중상마 둘(Yogya, One Life)이 있고 모마 산타 퀼라에게도 반형제 G1마(Silver Supreme)이 있어 훌륭한 모계다. 미에스크도 번식성적이 뛰어나 모계가 더욱 뿌리내리고 있다.

모부마 프루브 아웃은 미국에서 39전 9승(G1 2승)을 기록한 말이다. 오랫동안 일반 경주에 머무르다 1973년 우드워드 스테이크스(G1)에서는 세크리테리엇과 쿠거[4](Cougar, 1966)를 이기고 승리, 자키 클럽 골드컵(G1)에서는 리바 리지[5](Riva Ridge, 1969)를 꺾고 우승했다. 일반 경주에서 이긴 포어고[6](Forego, 1970)까지 4[7]마리의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마들을 꺾고 우승한 이색적인 경력의 경주마다.


3. 커리어[편집]


1986년, 데뷔전을 이긴 2주일 후 모르니상에서 3착한 것이 평생 최저 착순이 된다. 살라망드르상 , 마르셀 부삭상을 연승하고 2세는 4전 3승으로 마친다. 이 해 프랑스 2세 암말 챔피언에 올랐다.

1987년 3세에는 영국 1000 기니스, 풀 데세 데 풀리시(프랑스 1000 기니)를 연승 후, 디안상은 거리 적성이 아니었는지 2착으로 패한다. 이 후 마일 전선으로 복귀해 자크 르 마루아상, 물랭 드 롱샹상을 연승,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2착 이후 미국으로 원정. 브리더스 컵 마일에서 레코드를 세우며 우승하고 이 해 프랑스, 영국 챔피언 마일러, 프랑스, 영국 챔피언 3세 암말, 이클립스상 미국 잔디 암말 챔피언에 올랐다.

1988년 4세에는 이스파앙상, 자크 르 마루아상을 연승. 물랭 드 롱샹상에서는 같은 누레예프 산구마인 소비에트 스타에 패해 2착을 기록한다. 다시 간 미국 원정에서 브리더스 컵 마일을 연패하며 은퇴한다. 이클립스상 미국 잔디 암말 챔피언에 2년 연속 선정되었고 프랑스 고마 암말 챔피언에도 올랐다.

4번의 패전 중 3회는 중마장이었다. 1 마일 경주에서는 11전 9승 2착 2회로 이 중 1번은 기수가 변경되었고 1번은 중마장이었다.


4. 번식마 생활[편집]


미국 켄터키 주의 레인즈 엔드 팜(Lane's End Farm)에서 번식마 생활을 하며 뛰어난 번식 성적으로 다시 주목을 받았다. 딸 이스트 오브 더 문은 미에스크와 마찬가지로 마일에서 활약하며 G1 3승을 올렸고 딸 알파 루피(Alpha Lupi, 2004)를 낳았다. 알파 루피는 2018년 아이리시 1000 기니스 우승마 알파 센타우리(Alpha Centauri)를 비롯 G1 우승 암말을 셋이나 배출해 미에스크 모계의 명성을 더욱 늘려나갔다. 모네바시아의 딸 러브즈 온리 미는 일본에 수입되어 리얼 스틸러브즈 온리 유를 낳았다.

1999년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에 올랐으며 번식마 은퇴 후 목장의 오크 트리 분장에서 여생을 보내다 2011년 노쇠로 죽었다.
순서생년말 이름성별모색아버지전적
11990킹맘보
(Kingmambo)
수컷갈색미스터 프로스펙터13전 5승
(G1 3승, G3 1승)
21991이스트 오브 더 문[8]
(East of the Moon)
암컷흑갈색프라이빗 어카운트(Private Account)8전 4승
(G1 3승)
31992미에스크스 선[9]
(Miesque's Son)
수컷흑갈색미스터 프로스펙터9전 1승
(G3 1승)
41993문 이즈 업[10]
(Moon is Up)
암컷갈색우드맨(Woodman)5전 1승
51994모네바시아[11]
(Monevassia)
암컷갈색미스터 프로스펙터2전 0승
61996미식 트라이브[12]
(Mythic Tribe)
수컷밤색1전 0승
71997미어
(Myhrr)
암컷갈색
81998인벤팅 패러다이스
(Inventing Paradise)
암컷밤색9전 1승
91999키트알파
(Kitalpha)
수컷밤색
102000밍군
(Mingun)
수컷밤색에이피 인디(A.P. Indy)8전 3승
(G3 1승)
112001앤젤스 네스트
(Angel's Nest)
암컷갈색스톰 캣(Storm Cat)
122002세컨드 해피니스[13]
(Second Happiness)
암컷갈색3전 0승
132003에이마
(Ama)
암컷갈색
142004저드팟
(Judpot)
수컷갈색에이피 인디(A.P. Indy)

5. 여담[편집]




6.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86년 (2세)
8.9도빌리주상잔디 1200m1착Freddy Head(Proflare)
8.24도빌모르니상G1잔디 1200m3착Sakura Reiko[14]
9.21롱샹살라망드르상G1잔디 1400m1착(Sakura Reiko)
10.5롱샹마르셀 부사크상G1잔디 1600m11착(Milligram[15])
1987년 (3세)
4.3메종 라피트엠프리던스상잔디 1400m11착Freddy Head(Grecian Urn)
4.30파일:영국 국기.svg 뉴마켓1,000 기니 스테이크스G1잔디 8f11착(Milligram)
5.17롱샹풀 데세 드 풀리시G1잔디 1600m11착(Sakura Reiko)
6.14샹티이디안상G1잔디 2100m22착Indian Skimmer[16]
8.16도빌자크 르 마루아상G1잔디 1600m11착(Nashmee)
9.6롱샹물랭 드 롱샹상G1잔디 1600m11착(Soviet Star[17])
9.26파일:영국 국기.svg 애스컷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G1잔디 8f12착Steve CauthenMilligram
11.21파일:미국 국기.svg 할리우드 파크브리더스컵 마일G1잔디 8f21착
[레코드]
Freddy Head(Show Dancer)
1988년 (4세)
5.29롱샹이스파앙상G1잔디 1850m11착Freddy Head(Saint Andrews)
8.14도빌자크 르 마루아상G1잔디 1600m11착(Warning[18])
9.4롱샹물랭 드 롱샹상G1잔디 1600m12착Soviet Star
11.5파일:미국 국기.svg 처칠 다운즈브리더스컵 마일G1잔디 8f21착(Steinlen[19])

파일:france_galop_logo_white.svg 자크 르 마루아상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1921
게리에르
1922
자리바
1923
서 갤러해드
1924
이뱅
1925
코람
1926
생포르튀나
1927
비타민
1928
크상데르
1929
슬리퍼
1930
퐁테카네
1931
펄 캡
1932
에냉
1933
아르페트
1934
샤이닝 토어
1935
아로마트
1936
킹콩
1937
앙 프로드
1938
시야
1939
세미라미드
1940
없음
1941
프랭세즈 팔라틴
1942
파인 아트
1943
도가
1944
프리암
1945
코아라즈
1946
사야니
1947
젤랄
1948
파일:영국 국기.svg 골레스탄
1949
아무르 드레이크
1950
포르 나폴레옹
1951
세니외르
1952
아르벨
1953
캉타르
1954
티 문
1955
클레롱
1956
뷔이송 아르당
1957
발보
1958
쿠 드카논
1959
파일:영국 국기.svg 샐리마운트
1960
제벨 트래픽
1961
1962
르봉 엠엘
1963
훌라 댄서
1964
라밤바
1965
아스타리아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더 마셜
1967
카라벨라
1968
뤼티에
1969
그리 비테스
1970
파일:독일 국기.svg 프리아모스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딕터스
1972
리파르
1973
칼라문
1974
노노알코
1975
리앙가
1976
그라블린
1977
플라잉 워터
1978
켄마르
1979
아이리시 리버
1980
나자르
1981
노스제트
1982
더 원더
1983
루트 앙샹테
1984
파일:영국 국기.svg 리어 팬
1985
뱅 드프랑스
1986
파일:독일 국기.svg 리룽
1987 · 1988
미에스크
1989
폴리시 프레시던트
1990
프리올로
1991
헥터 프로텍터
1992
엑싯 투 노웨어
1993
파일:영국 국기.svg 사예다티
1994
이스트 오브 더 문
1995
미스 사타믹사
1996 · 1997
스피닝 월드
1998
파일:일본 국기.svg 타이키 셔틀
199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밀레니엄
200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무흐타티르
2001
바오리믹스
2002
뱅크스 힐
2003
식스 퍼펙션스
2004
위퍼
200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위
200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리브레티스트
2007
만두로
2008
타마유즈
2009
골디코바
2010
막피
2011
이모탈 버스
201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엑셀러브레이션
2013
문라이트 클라우드
2014
파일:영국 국기.svg 킹맨
2015
에소테리크
2016
파일:영국 국기.svg 립체스터
2017
알우카이르
201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파 센타우리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로머나이즈드
2020 · 2021
파일:영국 국기.svg 팰리스 피어
2022 · 2023
파일:영국 국기.svg 인스파이럴
}}}



파일:france_galop_logo_white.svg 물랭 드 롱샹상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1957
로제 루아얄
1958
릴리아
1959
지네타
1960
민시오
1961
벨 시카
1962
파일:영국 국기.svg 로물루스
1963
훌라 댄서
1964
미르나
1965
레드 슬리퍼
1966
실버 샤크
1967
그레이트 네퓨
1968
폴라 벨라
1969
파일:영국 국기.svg 해비탯
1970
파일:영국 국기.svg 골드 로드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파러웨이 선
1972
파일:영국 국기.svg 살러스트
1973
파일:영국 국기.svg 스파클러
1974
마운트 하겐
1975
델모라
1976
그레이브라인즈
1977
팔리
1978
사네드키
1979
아이리시 리버
1980
킬리자로
1981
노스 제트
1982
그린 포레스트
1983
뤼탕장테
1984
멘데즈
1985
파일:영국 국기.svg 루숑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소닉 레이디
1987
미에스크
1988
소비에트 스타
1989
폴리시 프레시던트
1990
파일:영국 국기.svg 디스턴트 렐러티브
1991
프리올로
1992
파일:영국 국기.svg 올 앳 시
1993
킹맘보
1994
스키 패러다이스
199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리지우드 펄
1996
아슈칼라니
1997
스피닝 월드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데저트 프린스
1999
센다와르
2000
인디언 로지
2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슬리클리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록 오브 지브롤터
2003
네브래스카 토네이도
2004
그레이 릴라
2005
파일:영국 국기.svg 스타크래프트
200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리브레티스트
2007
다르지나
2008
골디코바
2009
파일:영국 국기.svg 아클람
2010
퓌세
2011
파일:영국 국기.svg 엑셀러브레이션
2012
문라이트 클라우드
2013
막시오스
2014
참 스피릿
2015
에르베디아
2016
바다모스
2017
파일:영국 국기.svg 립체스터
2018
레코레토스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서커스 맥시머스
2020
페르시안 킹
2021
파일:영국 국기.svg 바이드
2022
파일:영국 국기.svg 드림 로퍼
2023
사투르네
}}}




파일:BC_white_on_purple.jpg 브리더스컵 마일
(G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1984
로열 히로인
1985
코진
1986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스트 타이쿤
1987 · 1988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에스크
1989
스테인런
199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로열 아카데미
1991
오프닝 버스
1992 · 1993
루어
1994
파일:영국 국기.svg 바라테아
199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리지우드 펄
1996
다 호스
1997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피닝 월드
1998
다 호스
1999
실릭
2000
워 챈트
2001
밸 로열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돔드라이버
2003
파일:프랑스 국기.svg 식스 퍼펙션스
2004
싱글터리
2005
아티 실러
2006
미에스크스 어프로벌
2007
킵 데빌
2008 · 2009
파일:프랑스 국기.svg 골디코바
2010
파일:프랑스 국기.svg 골디코바
2011
코트 비전
2012 · 2013
와이즈 댄
2014
파일:프랑스 국기.svg 카라콘티
2015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핀
2016
투어리스트
2017
월드 어프로벌
2018
파일:영국 국기.svg 익스퍼트 아이
2019
유니
202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오더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2021
파일:영국 국기.svg 스페이스 블루스
2022
파일:영국 국기.svg 모던 게임즈
2023
파일:영국 국기.svg 마스터 오브 더 시즈


파일:france_galop_logo_white.svg 이스파앙상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1873
캄페체
1874
프랑 티뢰르
1875
파라독스
1876
삭시프라주
1877
가바르니
1878
종글뢰르
1879
쿠르투아
1880
카스티용
1881
알퐁신
1882
풀레
1883
베스통
1884
파르파데
1885
데스포트
1886
비에누아
1887
캄비스
1888
앙벨리
1889
르 상시
1890
옐로우
1891
아마존
1892
길 페레스
1893
생페르죄
1894
알가라드
1895
오뇌르
1896
르 사지테르
1897
샹포베르
1898
샹포베르 · 케임브리지동착
1899
푸리르
1900
크라방
1901
디도
1902
엑세마
1903 · 1904
라 카마르고
1905
카이우스
1906
페닉스
1907
우아디 할파
1908 · 1909
물랭 라 마르슈
1910
골로스
1911
오시안
1912
루블
1913
폭슬링
1914
아밀카르
1915~1918
없음
1919
라다메스
1920
르 라팽
1921
라 피네트
1922
커큐빈
1923
에피나드
1924
프레몽트레
1925
콘도버
1926
코람
1927
키티
1928
리알토
1929
칸타르
1930
알시옹
1931
포 인 핸드
1932
로블라스
1933
고예스카스
1934
로도스토
1935 · 1936
레네트
1937
상귀네토
193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비스톨피
1939
튀르뷜랑
1940
없음
1941
파니파트
1942 · 1943
히에로클레스
1944
앙 가야르
1945
프리암
1946 · 1947
코아라즈
1948
벨 아무르
1949
메네트리예
1950
포르 나폴레옹
1951
디나미테
1952
아르벨레
1953
사디
1954
플로랭
1955 · 1956
프릭
1957
치프
1958
블로코스
1959
아마네
1960
토바고
1961
자블로
1962
라 세가
1963
맨덜리
1964
주르 에 뉘
1965
에소
1966
실버 샤크
1967
칼다렐로
1968
제단
1969
그란디어
1970
카로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미스터 식 탑
1972
리버맨
1973
라 트루블레리
1974
알레 프랑스
1975
라미레즈
1976
풀 오브 호프
1977
라이트닝
1978
카화이트
1979
아이리시 리버
1980
나자르
1981
더 원더
1982
알 나스르
1983 · 1984
크리스탈 글리터즈
1985
사가스
1986
바야몽
1987
하이스트 아너
1988
미에스크
1989
파일:영국 국기.svg 인디언 스키머
1990
크리에이터
1991
파일:영국 국기.svg 생글러모어
1992
파일:영국 국기.svg 조만
1993
아르캉그
1994
빅스톤
1995
그린 튠
199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홀링
1997
사스루
1998
루 소바주
1999
크로코 루주
2000
센다와르
2001
파일:영국 국기.svg 옵저버토리
200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베스트 오브 더 베스츠
2003
파일:영국 국기.svg 팔브라브
2004
프린스 커크
2005
발릭서
2006
래버록
2007
만두로
2008
세이지버그
2009
파일:영국 국기.svg 네버 온 선데이
2010 · 2011
골디코바
2012
골든 라일락
2013
막시오스
2014
시뤼스 데 제글
2015
솔로우
2016
파일:일본 국기.svg 에이신 히카리
2017
메크탈
2018
레콜레토스
2019
파일:영국 국기.svg 자빌 프린스
2020
페르시안 킹
2021
스칼레티
2022
파일:영국 국기.svg 드림 로퍼
2023
파일:영국 국기.svg 안마트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3:39:00에 나무위키 미에스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리스의 세계적인 운송 거물로 한때 유조선 80여척을 보유한 운송 기업 니아르코스(Niarchos Ltd.)의 창립자이며 위 생산자에 등록된 기업도 니아르코스 소유로 미국과 프랑스의 목장들을 구매해 만든 기업이다. 프랑스에서 데뷔하는 경주마를 프랑수아 부탱 조교사에게 맡겼으며 이 문서에 나오는 누레예프, 미에스크, 킹맘보, 이스트 오브 더 문은 모두 니아르코스 마주, 부탱 조교사의 경주마들이다. 1996년 니아르코스가 사망한 이후 딸이 니아르코스 패밀리 명의로 경주마 사업을 이어받았는데 바고가 대표적인 활약마다.[2] 아일톤 심볼리, 투 더 빅토리, 이글 카페, 정글 포켓, 골드 알뤼르, 후사이치 판도라, 슬립리스 나이트 등.[3] 경주마로서는 미승리마이지만 종마로 성공해 1996년 프랑스 리딩사이어에 올랐다. 대표 자마로 1997년 타카마츠노미야배 우승마 신코 킹(シンコウキング, 1991), 1996년 개선문상 등 G1 5승을 기록한 엘리시오(Helissio, 1993), 2002년 재팬 컵 등 G1 8승을 기록한 팔브라브(Falbrav, 1998) 등이 있다.[4] 50전 20승(G1 3승) 1972년 이클립스 어워드 잔디 챔피언. 동명의 경주마들과 구분을 위해 Cougar II로 표기하기도 한다.[5] 30전 17승(G1 1승), 1972년 켄터키 더비, 벨몬트 스테이크스 우승마.[6] 57전 34승(G1 13승), 1974~76년 이클립스 어워드 연도대표마에 오른 거세마.[7] 1973년에 미국에서 그레이드 제가 도입 되었기에 위 경주마들 중 일찍 활약한 경주마들의 공식 G1승리 수가 적다.[8] 8전 4승(G1 3승), 1994년 풀 데세 데 풀리시, 디안상, 자크 르 마루아상 우승마.[9] 주요 자마로 현역 41전 12승, 2006년 브리더스 컵 마일 우승마 미에스크스 어프로벌(Miesque's Approval)이 있다.[10] 외손자로 12전 5승, 2014년 브리더스 컵 마일 등 G1 3승의 카라콘티(Karakontie)가 있다.[11] 딸로 7전 5승(G1 2승) 2005년 카르티에상 최우수 2세 암말에 선정된 럼플스틸트스킨(Rumplestiltskin)과 러브즈 온리 미가 있으며 둘 다 G1 우승마를 낳았다.[12] 일본의 애로우 스터드에서 종마로 수입되어 중상승마는 나오지 않았으나 BMS로 2015년 JBC 스프린트 우승마 코린 베리(コーリンベリー)를 배출했다.[13] 주요 자마로 11전 3승(G1 1승), 2018년 조케 클뤼브상 우승마 스터디 오브 맨이 있다.[14] 사쿠라 커머스 소유의 프랑스 경주마로 현역 12전 4승(G1 1승) 후 일본에 번식암말로 들어왔다.[15] 9전 4승(G1 1승), 1987년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우승마.[16] 16전 10승(G1 5승), 1988년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챔피언 스테이크스, 1989년 이스파앙 상 우승마.[17] 14전 8승(G1 5승), 1987년 풀 데세 드 풀랭상, 서섹스 스테이크스, 포레상, 1988년 줄라이 컵, 물랭 드 롱샹 상 우승마.[레코드] [18] 14전 8승(G1 2승), 1988년 서섹스 스테이크스,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우승마.[19] 45전 20승(G1 3승), 1989년 버나드 바루크 핸디캡, 알링턴 밀리언, 브리더스 컵 마일 우승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