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네모시네의 딸들

덤프버전 :

므네모시네의 딸들 (2008)
Mnemosyne-ムネモシュネの娘たち-
파일:external/cs1.anime.dmkt-sp.jp/10471_1_1.png
작품 정보 ▼
장르어반 판타지
원작파일:XEBEC 로고.svg
파일:GENCO 로고.png
캐릭터 원안츄오 히가시구치(中央東口)
감독우에다 시게루(うえだしげる)
시리즈 구성오오노기 히로시(大野木 寛)
캐릭터 디자인이시하라 미츠루(石原 満)
프롭 디자인호리 타에코(堀たえ子)
키타다 카츠히코
미술 감독와키 타케시(脇 威志)
콘도 유미코(近藤由美子)
색채 설정반 나츠요(伴 夏代)
촬영 감독히로세 카츠토시(広瀬勝利)
3D 디렉터미타 쿠니히코(三田邦彦)
편집오오타케 야요이(大竹弥生)
음향 감독미마 마사후미
음향 효과타카나시 에미(高梨絵美)
음악네기시 타카유키(根岸貴幸)
프로듀서베니야 요시카즈(紅谷佳和)
우에다 야스오(植田泰生)
오오사와 노부히로(大澤信博)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치노 타카토시(千野孝敏)
애니메이션 제작파일:XEBEC 로고.svg
제작위그드라실 관리위원회
(ユグドラシル管理委員会)
방영 기간2008. 02. 04. ~ 2008. 07. 07.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AT-X / (월)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마이씨앗TV
편당 러닝타임45분
화수6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1. 개요
2. 특징
3. 등장인물
3.1. 주연
3.2. 조연
4. 설정
5. 주제가
5.1. OP
5.2. ED
6. 회차 목록
7. 평가



1. 개요[편집]


일본의 애니 방송 채널인 AT-X의 개국 10주년 작품.


2. 특징[편집]


XEBEC 제작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감독은 우에다 시게루(うえだしげる). 2008년 방영이 시작되어 45분 6화[1], 총 6개월에 걸쳐 완결되었다. 상당히 고어하고 에로하기 때문에 성인 판정을 받아 시청 연령도 제한을 받았다. 영원한 생명, 시간의 흐름과 기억에 판타지하드보일드, 19금 요소를 비벼넣었고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불사자인 린과 미미가 주인공이기 때문에 작품 시작은 90년대지만 매 화 갈수록 주변 인물과 건물의 노화, 기술의 발전 등 시간의 경과가 나타나며[2] 마지막 화에 와서는 넷상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 현실에 구현하는 SF 세계를 보여준다.

꽤나 인지도 있는 일본 메탈 밴드 Galneryus가 오프닝과 엔딩을 맡아서 나름대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여담으로 캐릭터 원안 담당은 니트로플러스, Propeller 등의 에로게 회사에서 원화를 맡은 바 있는 츄오 히가시구치(中央東口).[3]


3. 등장인물[편집]



3.1. 주연[편집]




3.2. 조연[편집]




4. 설정[편집]




5. 주제가[편집]



5.1. OP[편집]


OP
ALSATIA
TV ver.
Full ver.
노래GALNERYUS
작사YAMA-B
작곡Syu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작화감독이시하라 미츠루(石原 満)
야마오카 신이치(山岡信一)
호리 타에코(堀たえ子)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2. ED[편집]


ED
CAUSE DISARRAY
TV ver.
Full ver.
노래GALNERYUS
작사YAMA-B
작곡Syu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작화감독이시하라 미츠루(石原 満)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콘티작화감독방영일
제1화猫は笑わない
고양이는 웃지 않는다
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이시하라 미츠루
(石原 満)
2008.02.04.
제2화天使は啼かない
천사는 울지 않는다
야마오카 신이치
(山岡信一)
호리 타에코
(堀たえ子)
2008.03.03.
제3화花は涙を流さない
꽃은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에노모토 아키히로
(榎本明広)
아카오 료타로
(赤尾良太郎)
2008.04.07.
제4화幽霊は叫ばない
유령은 외치지 않는다
아미노 테츠로묘우친 우사쿠
(明珍宇作)
야마자키 마사카즈
(山崎正和)
마츠우라 리키
2008.05.05.
제5화聖夜は輝かない
성야는 빛나지 않는다
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이시하라 미츠루
타카하시 아키라
이시모토 에이지
(石本英治)
야마오카 신이치
2008.06.02.
제6화そして王国の扉へと……
그리고 왕국의 문으로……
이시하라 미츠루
타카하시 아키라
호리 타에코
2008.07.07.


7. 평가[편집]


시각적으로나 스토리 상으로나 하드한 전개를 많이 보여줘 시청자들에게 충격을 주고 컬트한 인기를 끌어모으는데 성공했으나, 보면 볼수록 인과 관계를 뒤틀어버리는 복선이 잔뜩 깔리고 시도때도 없이 죽고 사는 머리 아픈 이야기가 이어진다. 특히 마지막에 이상한 전개와 결말 때문에 여러가지로 말이 많았다. 므흣한 장면에서 나오는 노토 마미코(린)와 쿠기미야 리에(미미)의 신음소리가 그나마 이 애니의 엑스퍼트라 할 수 있지만 진짜 같은 신음이 아닌 성우가 연기하는 틀을 벗어나지 않는, 다른 작품에서 넘어지거나 할 때 내는 일반적인 비명과 신음 소리와 비슷해서 막상 들어도 감흥이 떨어진다. 결론적으로는 매니악 방송 방식과 겹쳐 판매량도 낮아 실패한 편인 작품.

이 작품의 실패로 감독 우에다 시게루(うえだしげる)는 본인의 한계를 체감하고 자신이 없어졌는지 이후 감독 활동을 아예 안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6:58:06에 나무위키 므네모시네의 딸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 내 TV 프로그램으로서 이런 형식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은 현재까지 '야구광의 시'(1977), '피규어17 츠바사&히카루'(2001), 'Project BLUE 지구SOS'(2006), '칼 이야기'(2010) 정도다.[2] 4화는 2025년, 5화는 2055년.[3] 대표적으로 귀곡가사야의 노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