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동(대전)

덤프버전 :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천동 문서의 r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유천동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

중구법정동
문화동
文化洞 | Munhwa-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중구
행정표준코드3014011600
관할 행정동문화1동, 문화2동
하위 행정구역57통 312반
면적3.63㎢
인구32,855명[A]
인구밀도9,050.96명/㎢
1. 개요
2. 관할 행정동
2.1. 문화1동
2.2. 문화2동
3. 주요시설
3.1. 관공서 및 공공기관
3.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
3.3. 언론기관
3.4. 의료기관
3.5. 대형상업시설
3.6. 교육시설
3.6.1. 초등학교
3.6.2. 중학교
3.6.3. 고등학교
3.6.4. 대학교
3.7. 문화시설
3.8. 주거
4. 교통
4.1. 버스
4.2. 도시철도


1. 개요[편집]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법정동이다. 주변 동네로 산성동, 유천동, 태평동, 오류동이 위치해 있다.

문화 2동과 문화 1동 남부지역은 전형적인 배드타운의 동네로 같은 생활권인 산성동, 유천동 등과 큰 차이는 없으며 아파트 단지들도 있지만 대부분 주택 단지들로 이루어져 있고, 동네 남쪽으로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충청도 최대 공립 도서관인 한밭도서관이 이 곳에 있다.

문화 1동은 중학교학원이 많이 들어서 있고 학교와 매우 가까운 아파트들이 많기 때문에 자녀를 둔 부모들이 선호하는 주거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시장이 중산층을 노리고 활성화되어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멀리 나가지 않고 동 안에서 대부분의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다.[1]

문화 1동 북부 계백로 연선지역은 서대전역과 지하철 버프로 번화가를 이루고 있으며 이곳에 홈플러스 문화점 있어 나름 상권은 갖춰져 있는 편이다.

문화 2동은 문화 1동에 비해 상권이 다소 빈약한 데다 갈수록 학생 수도 줄고 있다. 특히 대문중학교는 2018년 기준 1~3학년 전체 학생 수가 100명대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학생 수 감소가 심각한데, 몇 년 뒤면 이마저도 붕괴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참고로 2005년에 대전 문화동 일가족 살인사건이 일어나 큰 충격을 주었다.


2. 관할 행정동[편집]



2.1. 문화1동[편집]


중구행정동
문화1동
文化一洞 | Munhwa 1(il)-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중구
행정표준코드3650045
관할 법정동문화동
하위 행정구역34통 172반
면적2.17㎢
인구20,898명[A]
인구밀도9,630.41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중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황운하 (초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민경배 (초선)
중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형진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은규 (초선)


윤양수 (초선)

행정복지센터문화로 195 (문화동 284-169)
문화1동 행정복지센터


2.2. 문화2동[편집]


중구행정동
문화2동
文化二洞 | Munhwa 2(i)-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중구
행정표준코드3650046
관할 법정동문화동
하위 행정구역23통 140반
면적1.46㎢
인구11,957명[A]
인구밀도8,189.73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중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황운하 (초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민경배 (초선)
중구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형진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은규 (초선)


윤양수 (초선)

행정복지센터당디로6번길 90 (문화동 773)
문화2동 행정복지센터


3. 주요시설[편집]




3.1. 관공서 및 공공기관[편집]


  • 대전충남지방병무청
  • 한국산업인력공단 대전지역본부
  • 국립환경과학원 중부권대기오염연구소
  •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B]
  • 대전교육연수원 분원[B]
  • 대전문화재단 본사
  • 서대전우체국
  • 문화2동우체국
  • 대전중부경찰서 서대전지구대
  • 대전중부경찰서 문화2치안센터
  • 문화119안전센터
  • 문화1동주민센터
  • 문화2동주민센터


3.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편집]


  • KT 충남충북코어운용센터[2]
  • 교보증권 대전지점
  • KB국민은행 서대전지점


3.3. 언론기관[편집]




3.4. 의료기관[편집]




3.5. 대형상업시설[편집]




3.6. 교육시설[편집]



3.6.1. 초등학교[편집]




3.6.2. 중학교[편집]




3.6.3. 고등학교[편집]


  •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 대전동산고등학교
  •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3]


3.6.4. 대학교[편집]


  • 충남대학교 보운캠퍼스[4]


3.7. 문화시설[편집]




3.8. 주거[편집]


건설사아파트세대수입주 일자
삼익주택삼익아파트456세대1978년 6월
영진건설문화 로얄아파트212세대1986년 8월
계룡건설산업계룡 문화아파트168세대1992년 7월
극동건설극동아파트216세대1992년 8월
평화주택건설평화아파트140세대1992년 8월
한국토지주택공사문화주공 1단지960세대1994년 9월
한국토지주택공사문화주공 2단지710세대1994년 9월
한국토지주택공사문화주공 3단지900세대1994년 9월
삼성물산삼성 푸른아파트480세대1994년 11월
우성건설한밭 우성아파트974세대1995년 6월
신원건설햇살아파트137세대2000년 8월
금호건설문화마을1단지330세대2004년 6월
금호건설문화마을2단지214세대2004년 6월
한신공영한신휴플러스355세대2006년 9월
대우건설센트럴파크1단지448세대2007년 2월
대우건설센트럴파크2단지1,089세대2007년 2월
대우건설센트럴파크3단지753세대2007년 2월
남광토건하우스토리1차299세대2007년 6월
남광토건하우스토리2차243세대2010년 10월
극동건설센트럴 스타클래스250세대2013년 8월

4. 교통[편집]


전체적으로 문화동 북쪽으로 갈수록 교통이 좋다. 대전 남부의 중요한 도로인 계백로가 있고, 그 인근은 서대전네거리역서대전역이 있고, 버스노선도 최소 15개 이상이 지나가 문화동에서 교통이 가장 좋다. 문화로도 계백로와 가깝고 서쪽으로 버스 차고지가 있는 산성동이 있어 대부분 버스 노선이 지나간다.

2024년에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2027년에 대전 2호선이 개통되어 문화역이 생기고 서대전역과 서대전네거리역이 환승역으로 될 예정이다.

4.1. 버스[편집]



급행
급행좌석
간선
지선
외곽



4.2. 도시철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7:07:50에 나무위키 문화동(대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1] 둔산동에 비해 상권 자체는 작지만, 있을 건 다 있다. 대형병원, 대형 아파트 단지, 전자제품 매장, 백화점, 대형서점, 영화관, 대형마트 모두 문화동 내에서 해결 가능하다. 특히 영화관은 둔산동에도 없는 IMAX가 세이백화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좌석수랑 상영관 수 역시 대전 내 영화관 중 1위이다.[B] A B충청남도교육청 청사[2]한국전기통신공사 충남본부 사옥[3] 신주소로는 산성길에 위치해있으나, 행정은 문화2동이다[4]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간호대학, 보건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