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카드봇/등장인물 (r2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메탈카드봇

1. 개요
2. 주역
2.1. 지구
2.1.1. 준 그랜트 일행
2.1.2. 준 그랜트의 가족
2.1.3. 모우타운 초등학교
2.1.4. 크레이지 도그
2.1.5. 기타 등장인물
3. 등장 메카
3.1. 메탈카드봇
3.1.1. 블루캅
3.1.2. 메가트러커
3.1.3. 메가앰블러
3.1.4. 피닉스 파이어
3.1.5. 쉐도우X
3.1.6. 헤비 아이언
3.1.7. 와일드 가디
3.1.8. 덱스터
3.1.9. 플레타Z


1. 개요[편집]


메탈카드봇의 등장인물 목록.


2. 주역[편집]



2.1. 지구[편집]



2.1.1. 준 그랜트 일행[편집]


  • 준 그랜트 (Jun)
성우는 장예나.
이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호기심이 왕성하고 신비한 것들을 좋아하는 모우타운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BMX를 아주 좋아하나 탈 장소가 없어서 에드의 수리센터에 틀어박혀 있다. 반장인 안나를 좋아하고 있으며, 절친 테오와 항상 함께 다닌다. 우연히 블루캅을 만나 메탈카드봇에 대한 사정을 듣게 되고, 단골 수리센터 아저씨인 에드와 절친인 테오와 안나도 서포터로 합류하여 메탈카드봇과 관련된 사건들을 해결해 나간다.

  • 테오
성우는 김은아.
안경을 쓴 소년으로 준의 절친. 성적은 우수하지만 운동은 못한다. 전자기기를 잘 다루며, 신비로운 사건을 매우 좋아한다. 준과 함께 메탈카드봇의 비밀을 지키려 한다.
4화부터 메탈카드봇의 서포터로 합류하여 메탈카드봇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준과 메카봇들을 돕는다.

  • 안나
성우는 김가령.
분홍머리 소녀로 모우타운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생. 성실하며 친절을 베푸는 것을 좋아하는 준의 반 반장이다. 정의감이 강하며, 성적도 우수하고 운동 신경도 뛰어나다. 준의 짝사랑을 받고 있으며, 아버지는 모우타운의 시장을 맡고 있다.
8화부터 메탈카드봇의 서포터로 합류하여 메탈카드봇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준과 메카봇들을 돕는다.

  • 에드
성우는 이현.
준의 단골 자동차 수리센터 경영인. 항상 험상궂은 표정을 하고 있지만 실력은 확실하다. 준이 아버지처럼 따르고 있으며, 메탈카드봇의 비밀을 알게 되는 유일한 어른이다.
3화부터 메탈카드봇의 서포터가 되어주며 메탈카드봇들이 지구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1.2. 준 그랜트의 가족[편집]


  • 그랜트 부부
준의 부모님. 햄버거 가게를 하고 계신다.

2.1.3. 모우타운 초등학교[편집]


  • 베라
성우는 이지현.
금발머리 소녀. 준의 모우타운 초등학교 같은 반 친구이다. 유행에 민감한 멋쟁이이다. 자신이 올린 댄스 영상보다 메탈카드봇 영상이 조회수가 더 높아서 메탈카드봇을 좋아하지 않는다.

  • 크래스트
성우는 김명준.
민트색 머리에 정장풍 옷을 입은 소년으로 모우타운 초등학교에 전학을 온 의문의 친구. 메탈카드봇의 존재를 알고 있는지 준의 메탈브레스를 차지하기 위해 항상 준의 곁에서 행동 하나하나를 관찰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메탈카드봇 도감 스티커북 미리보기 사진에서 모습이 미리 공개 되었다. 미리보기 사진은 여기에 있다. https://www.aladin.co.kr/m/mproduct.aspx?start=short&itemid=315414324

2.1.4. 크레이지 도그[편집]


  • 반스
성우는 엄상현.
준과 같은 반인 소년. '모우타운 초등학교의 크레이지 도그'라고 불리는 불량 서클 리더. 힘으로 해결하려는 성격으로, 준과는 뜻이 잘 맞지 않으며 항상 다투게 된다. 덩치를 이용해 아이들을 자주 골탕 먹인다.

  • 라비
성우는 홍범기.
모우타운 초등학교에 다니는 검은 마스크를 쓴 초록머리 소년. 항상 반스와 함께 다닌다. 거짓말이나 헛소문을 쉽게 믿고 휩쓸리기 쉬운 타입이다. '그럴리가 없잖아!' 라는 말을 자주 한다. 성격은 반스와 달리 단순하다.[1]


2.1.5. 기타 등장인물[편집]


  • 유리
성우는 김은아.[2]

  • 조한
성우는 신용우.

3. 등장 메카[편집]



3.1. 메탈카드봇[편집]


팬덤에서는 보통 메카봇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기계의 행성인 마키나 행성의 주민들로, 비클 형태로 변신하는 능력이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대폭발로 행성이 멸망하면서 지구로 망명을 했다. 거의 대부분은 지구에서 조용히 살아가지만, 몇몇은 지구 환경 및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완구의 경우 사이즈가 꽤 작게 나왔다.[3] 그나마 크게 나온게 메가트러커이다.

3.1.1. 블루캅[편집]


파일:1678956605927_432160.jpg

완구 리뷰
영문: Blue Cop
성우: 곽윤상
로봇 모드 높이: 4.2m
비클 모드 높이: 1.3m
무게: 1.42t

람보르기니 가야르도[4]를 베이스로 하는 경찰차에서 변신하는 메탈카드봇.

마키나 행성의 경찰관으로 마키나 행성에 폭발로 인해 지구에 도착한 뒤 방황하고 있었으나, 준과의 만남으로 지구 문화를 알게 되며 인간과 공존하는 방법을 배운다.[5] 정의를 중시하며 평화를 바라는 성실한 캐릭터로 메탈카드봇을 이끄는 리더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작중에서는 처음부터 준을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 겸 다른 메탈카드봇들의 사고를 막는 파트너 역할이라 유일하게 적으로 나온 것도 없고, 봉인되는 모습이 없는 메탈카드봇이기도 하다. 람보르기니를 베이스로 한 경찰차로 변신한다는 점에서 다간의 오마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6][7]

여담으로 몸집이 큰 것에 비해 손놀림이 굉장히 섬세해서 커피도 끓일 줄 안다.[8]

  • 무장 - 저스티스 건틀렛
오른팔에 장착하는 대형 건틀렛.

  • 사용 기술
    • 썬더 볼트 스매시 - 저스티스 건틀렛에 전기를 모은 뒤 점프해서 스매시를 날린다. 다만 시전을 위해서는 점프를 해야하기에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든 기술.[9]
    • 버스트 샷 - 저스티스 건틀렛에서 포구를 전개해 포격을 가한다. 연속발사도 가능.
    • 메가 볼트 펀치 - 저스티스 건틀렛에 전기를 모은 뒤 강력한 철권을 날려 상대방을 스턴 상태로 만든다.


3.1.2. 메가트러커[편집]


파일:1678956446426_432091.jpg

완구 리뷰

영문: Mega Trucker
성우: 홍범기
로봇 모드 높이: 4.7m
비클 모드 높이: 2m
무게: 1.9t

1세대 이스즈 엘가의 전조등을 장착한 덤프트럭에서 변신하는 메탈카드봇.

힘이 필요할 때 언제나 나타나며, 복잡한 걸 싫어하고 상냥하고 밝은 성격의 기분파. 지구의 소울 음악을 좋아해 음악이 흘러나오면 참지 못하고 춤을 추는 흥부자다. 아이들을 좋아하여 화려한 클락션을 울리며 팬 서비스를 해주는 경우도 있다. 자유로운 성격때문에 초반에는 말썽을 일으켰지만 의외로 마음씨는 다정한 캐릭터.

  • 무장 - 메가 프로텍터
어깨에 장착하는 대형 방패. 2화에서는 오른 어깨에 장착했으나 완구에서는 오른 어깨에는 조인트가 없어 왼쪽 어깨만 장착 가능하다.

  • 사용 기술
    • 메가 파워 태클 - 메가 프로텍터로 적에게 강력한 태클을 가한다.
    • 숄더 실드 - 메가 프로텍터 주위로 에너지 실드를 전개하여 몸 전체를 보호한다.


3.1.3. 메가앰블러[편집]


파일:1678956446576_432115.jpg

완구 리뷰

영문: Mega Ambler
성우: 서원석
로봇 모드 높이: 4.35m
비클 모드 높이: 1.91m
무게: 1.87t

FMTV를 베이스로 하는 구급차[10]에서 변신하는 메탈카드봇.

메탈카드봇의 강화 및 치유 담당으로 마키나 행성의 의사다. 의사 면허는 없고 진료 후 터무니없는 금액의 보수를 요구하지만, 그만큼 실력이 뛰어나며 일하는 방식은 거칠지만 세심한 면을 갖고 있다. 의외로 적을 상대할땐 약점부터 공략하고 없으면 냅다 만들어버리는 호전적인 면모도 있다.

  • 무장 - 메가 포셉
오른팔에 장착하는 대형 의료용 집게.[11]
  • 서브 무장 - 붕대
평소에는 치료용으로 사용되지만, 포박하는 용도로도 사용한다.[12]

  • 사용 기술
    • 포셉 크래시 - 메가 포셉으로 적의 약점을 강하게 잡아채 움직임에 제한을 건다.
    • 포셉 쇼크 - 메가 포셉으로 전기충격을 가해 적을 마비시킨다.
    • 리사이클 샷 - 메탈카드봇의 체력을 회복시킨다.


매드사이언티스트 기질이 있어보인다. 특히 4화에 첫 등장때 타이어가 굴러떨어져 테오를 납치하고 납치후 진찰 한답시고 눕히고 뼈는 건강하다면서 다짜고짜 테오한테 이상한 소독가스를 뿌리며 마무리로 테오를 미라[13]로 만들었다.

3.1.4. 피닉스 파이어[편집]


완구 리뷰

영문: Phoenix Fire
성우: 황창영
로봇 모드 높이: 4.8m
비클 모드 높이: 2.2m
무게: 2.8t

현대 메가트럭의 동체와 허머 H3의 전면부를 섞은 듯한 소방차에서 변신하는 메탈카드봇.

생일 케이크의 촛불이나 성화대 등 불이란 불은 모조리 꺼버리고 다니던 메탈카드봇. 메가앰블러와는 과거에 동업한 적이 있으며, 원래는 불길 속도 거침없이 뛰어들어 뛰어난 활약을 펼친 대원에게만 수여되는 메탈 훈장을 받을 정도로 용감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현재는 모종의 사유[14]로 불만 보면 겁부터 내고, 닥치는대로 끄려는 편집적인 성격이 되었다. 여담으로 완구는 쉐도우X 보다 늦게 나왔지만, 작중에서는 쉐도우X보다 빨리 등장했다.

  • 무장 - 파이어 해머
왼팔에 장착하는 거대 망치.
  • 서브 무장 - 아쿠아 캐논
소방차의 레더가 변형하는 거대 총.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한다.


3.1.5. 쉐도우X[편집]


파일:1678956446728_432137.jpg
완구 리뷰

영문: Shadow X
성우: 김명준
로봇 모드 높이: 3.88m
비클 모드 높이: 1.22m
무게: 1.15t

틸트로터와 페네스트론형 테일로터를 장착한 미래형 수송기에서 변신하는 메탈카드봇.

프로페셔널한 스파이로 자신이 인정한 상대는 기필코 지키려 한다.

여담으로, 쉐도우X는 국내에서는 로봇수사대로 알려진 용자경찰 제이데커의 등장경찰중 하나인 섀도우마루의 국내판 명칭인 쉐도우Z와 이름이 거의 똑같은데 닌자 컨셉인 것 까지 동일한걸 보면 섀도우마루를 어느정도 의식한 것 으로 보인다. 오프닝 영상에서 수리검 2개를 간지나게 날리는 장면이 있는데, 무려 오프닝 영상 중 가장 많이 다시 본 장면으로 뽑혔다. 게다가 국산 만화에서 매우 드물게 일본식 캐릭터인 닌자 컨셉의 캐릭터가 나왔다는 것도 신선한 점.

  • 무장 - 엑스 휠
왼팔에 장착하는 거대 수리검.

  • 사용 기술
    • 스텔스 모드 - 주변의 색과 똑같이 변하여 투명화한다.
    • 스피닝 커터 - 에너지 수리검을 날린다.
    • 헬리 토네이도 - 엑스 휠을 회전시켜 강력한 회오리 바람을 만든다.


3.1.6. 헤비 아이언[편집]


성우는 최한.
트레일러 트럭[15]에서 트럭부분이 몸통, 트레일러 부분이 사지로 변신하는것으로 추정되는 메탈카드봇. 피닉스 파이어와 더불어 완구 CF와 엔딩 마지막에서 등장했다. 현재까지 나온 메탈카드봇들 중 가장 덩치가 크고 아직까지는 정보가 많이 없는 편이다.[16]

상당히 멋진 디자인으로 등장 전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디자인은 트랜스포머 G1옵티머스 프라임(G1)의 오마주로 보인다.

3.1.7. 와일드 가디[편집]


성우는 엄상현[17].
1화에서 블루캅이 메탈카드봇들을 언급하는 장면중 등장 예정인 메탈카드봇들이 모인 장면에서 실루엣으로 등장했으며, 이 중 기사투구를 한 기사같은 외형을 한 보라색 메카인것으로 확정됐다. #
비클모드는 스포츠카

3.1.8. 덱스터[편집]


성우는 신용우[18].
1화에서 블루캅이 메탈카드봇들을 언급하는 장면중 등장예정인 메탈카드봇들이 모인 장면에서 실루엣으로 등장했으며, 이 중 쌍안경 헬멧을 쓰고, 어깨에 작은 무기를 장착한 것 같은 외형의 노란색 메카로 추정. 이후 완구 안전인증에서 공개되었는데 등에 견인차 후크가 보여, 견인차로 변신하는 듯한 모습으로 나오며, 색상은 노란색으로 확정되었다.#


3.1.9. 플레타Z[편집]


비클모드는 안토노프 An-124[19]를 베이스로 한 수송기 메탈카드 디자인이 유출되었는데 가슴에 독수리가 그려져 있으며 활을 주무기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1] 그걸 잘 보여준 게 2화로 준의 부모님이 운영하는 버거가게에 반스와 같이 정체불명의 로봇(블루캅)에 대해 캐물으려 하는데... 반스와 달리 배고프지 않냐고 하지 않나, 반스가 가자고 한뒤에 준의 어머니가 쉐이크를 서빙하는걸 보자 딸기 쉐이크를 주문하려다가 반스한테 강제로 끌려나간다.[2] 테오와 중복이다.[3] 그대신 가격은 평균 2~4만원 정도로 꽤 저렴한축에 속하긴 하다.[4] 그 중 후기형의 전면부와 전기형의 후면부의 디자인을 섞은 모습이다.[5] 다만 1화에서는 방황하는 모습은 일절 없고 오히려 지구에 정착한 뒤, 지구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고 살아가는 법을 익히고 있다고 언급한다. 제작 도중 설정이 변경된 모양.[6] 다간은 람보르기니 디아블로로 변신한다.[7] 다만, 여기서는 블루캅이 합체할 수 있다는 얘기가 공식적으로 나온게 없기에 다간X를 방불케 하는 합체는 없는 일반 메카라는 명확한 차이점이 존재하기는 하다.[8] 다만 맛까지는 볼수가 없어서 각설탕 한통을 전부 부어넣는 바람에 에드가 마시고 커피를 뿜어버렸다(...)[9] 2화에서 준의 지시로 블루캅이 사용하려 했으나 하필 전장이 에드의 정비소라서 점프와 동시에 천장에 머리를 부딪히는 바람에 자멸한 꼴이 되었다.[10] 실사판 하운드의 오마주로 추정.[11] 초기에는 커다란 주사기가 무장이였다.[12] 상당히 질겨서 블루캅도 쉽게 풀지 못했다.[13] 다만 이때엔 너무 엉성하게 묶은 나머지 블루캅과 준이 왔을때 테오를 떨어뜨리자 붕대가 풀려버렸다.[14] 사실 우주선에서 정보 통신을 하다 지구로 상륙하는 순간 우주선이 고장나 불시착하게 되었고 그것으로 인해 불길이 자신의 주변에 번지게 되어서 결국 트라우마가 생겨버렸다.[15] 베이스 모델은 coe Peterbilt 352로 추정.[16] 후에 기존 맴버들이 합체를 해야 나오는 메탈카드봇이거나 흑막 포지션이라는 추측이 있다. 아니면, 합체형 메탈카드봇이거나 과거, 메탈카드봇들을 이끌었던 메탈카드봇들의 리더라는 추측도 있다.[17] 반스와 중복.[18] 조한과 중복.[19] 고익형이고 엔진이 4개 달려 있으며 후미익이 수직미익 아래에 있으므로 An-124가 맞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메탈카드봇 문서의 r3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메탈카드봇 문서의 r3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