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덤프버전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Großherzogtum Mecklenburg-Schwerin
파일: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국기.svg파일: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국장.png
국기국장
위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German_Empire_-_Mecklenburg_Schwerin_%281871%29.svg.png
1815 ~ 1918
역사
성립 이전멸망 이후
메클렌부르크슈베린 공국바이마르 공화국
지리
위치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수도슈베린
인문환경
언어독일어
종교루터파 개신교, 가톨릭
민족독일인
정치
정치체제입헌군주제
국가원수대공

1. 개요
2. 약사
3. 왕사(王史)



1. 개요[편집]


북독일 연방독일 제국을 구성했던 대공국이었으며 수도는 슈베린이었다. 주요 도시로는 로스토크, 비스바르 등이 있었다.
1905년 기준으로 면적 13,127 km², 인구 64만 가량이었다.


2. 약사[편집]


오늘날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서부 지역에 위치한다.

메클렌부르크 가문[1]은 시조가 니클로트(Niklot, 1090~1160)라는 슬라브 계통의 인물로, 1130년부터 시작되었다. 1329년에 공국으로 승격되었고, 두세 분파로 이어져오다 1701년에 슈베린, 슈트렐리츠 두 분파로 재편되었다. 1815년 빈 회의 결정에 따라 두 공국은 함께 대공국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북독일 연방을 거쳐 독일 제국에 가입했다.

1918년 독일 제국이 붕괴하면서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은 바이마르 공화국의 한 주(Freistaat)로 바뀌었고, 1933년에 나치 치하에서 메클렌부르크로 합쳐질 때까지 지속되었다.


3. 왕사(王史)[편집]




대공국 승격 이후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가는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의 두 아들들이 자녀를 두지 못하거나, 아들을 두지 못하여 2001년 단절되었다. 다른 방계 친족들도 있었지만 하나같이 자녀가 없거나, 딸만 있었다. 빌헬미나 여왕의 남편인 헨드리크 공도 이 공가 출신인데(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의 막내아들), 만약 빌헬미나 여왕이 아들을 두었다면 그 아들인 네덜란드 국왕의 남계 후손이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가의 수장을 겸하게 됐을 듯. 아무튼 2001년 이후로는 슈트렐리츠 계통만이 메클렌부르크 대공가를 대표한다.

2022년 독일 쿠데타 모의의 주도자 하인리히 13세의 모친 페오도라(1918~2019)도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의 손녀이다. (전체 8남 3녀 중 7남이자 빌헬미나 여왕의 부군 헨드릭 공(하인리히)의 바로 윗 형인 아돌프 프리드리히의 외동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22:19:59에 나무위키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보드리텐(Obodriten) 가문이라고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