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마크 저커버그
(2004~ )



메타 창업주
마크 저커버그
Mark Zuckerberg
파일:mark-zuckerberg-to.jpg
본명마크 엘리엇 저커버그[1]
(Mark Elliot Zuckerberg)
출생1984년 5월 14일 (40세)
뉴욕주 화이트플레인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거주지캘리포니아 주 팔로 알토
종교무종교 (무신론) → 불명
신장171cm (5'7")
학력아즐리 고등학교 (전학 / 1998-2000)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 (졸업 / 2000-2002)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 / 학사과정 중퇴 / 2002-2004)

하버드 대학교 (명예학사) (2017)
직업기업인, 자선사업가
현직메타 (CEO / 2004년~ )
메타 (이사회 의장 / 2012년~ )
재산1,084억 달러 (한화 약 146조 1,500억원)[2]
연봉2,711만 달러 (한화 약 367억원)[3] (2022년)
가족아버지 에드워드 저커버그(Edward Zukerberg)
어머니 카렌 켐프너(Karen Kempner)
배우자 프리실라 챈(Priscilla Chan) (2012년~현재)
장녀 맥시마 챈 저커버그(Maxima Chan Zuckerberg) (2015년생)
차녀 어거스트 챈 저커버그(August Chan Zuckerberg) (2017년생)
삼녀 아우렐리아 챈 저커버그(Aurelia Chan Zuckerberg) (2023년생)
서명
파일:마크 저커버그 서명.svg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생애
3. 논란
4. 여담



1. 개요[편집]



"초등학교 6학년 때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기 시작한 이유는 여동생과 놀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의 창업주이다. 현재는 페이스북을 필두로 인스타그램, 왓츠앱, 메타 퀘스트 등을 개발·운영하는 지주사 메타의 대표이사다.


2. 생애[편집]


1984년 유대계 미국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드워드 저커버그는 치과의사였고 어머니 캐런 캠프너는 정신과 의사였다. 어려서부터 컴퓨터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11살 때 병원 컴퓨터에 환자 도착을 알리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정도의 영재였다. 고등학교에 다닐 때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입사 제의가 들어올 정도. 2002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한 뒤 보드게임, 인터넷 인터폰, 맞춤 AI DJ, 여대생들의 외모를 1:1 매치로 평가하는 페이스매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소개팅 기반의 커넥션 웹인 윙클보스 형제의 하버드 커넥션에 개발자로 참여한 뒤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서비스를 독자적으로 개발하는데, 그것이 바로 페이스북이다. 런칭 6개월만에 하버드 대학교를 중퇴하고 전업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전 세계를 대상으로 확장시킨다.

마크 저커버그가 탄생시킨 페이스북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매체와 사회, 정치 등 21세기 현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시대적 패러다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0년대에 혜성처럼 등장한 페이스북은 북미권에서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저커버그는 타임지 올해의 인물에 선정된 바 있다.[4]


3. 논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마크 저커버그/논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파일:external/img.hani.co.kr/133749436094_20120521.jpg



















파일:c83cc25af825d1181543f6a3a34b786a3b80e7d3.jpg

파일:9f9.jpg
냠냠, 이 사랑스러운 식사에 대해 인간 대법원에 감사한다.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PEP20170202085401034_P2_20170210172001759.jpg
링크

너는 우리에게, 페이스북의 저커버그나 칭송하고 날씨처럼 변덕스러운 위키로 나를 괴롭히는 쓰레기나 갖다줬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3:01:22에 나무위키 마크 저커버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커버그'라고 읽는 사람이 많은데, '저커버그' /ˈzʌkərbɜːrɡ/가 맞는 표기다. 여기서 Zuck-의 발음은 luck과 같다.[2] 2023년 9월 포브스 기준 세계 부자 순위 8위. 메타의 지분 13.6%를 보유한 최대주주다.[3] 2022년 프록시 보고서 기준.# 특이하게 기본급여가 1달러에다 주식보상은 아예 없다. 복리후생 명목으로만 수령받았기 때문에 급여와 주식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는다. 그 중에서 경호비 명목으로만 2,483만 달러를 수령했다.[4] 세계화, 인간관계의 통합, 광고 시장 확장 등의 긍정적 평가, 가짜뉴스 양산, 짙은 상업성, 고객 데이터 유출, 타인과의 비교 조장과 이로 인한 현대인의 우울증 심화 등이 주요 부정적 평가 요소로 평가 받는다.[5] 함께 페이스북 경영을 했으나 2011년 8월 4일부로 페이스북을 떠나 자신만의 회사를 창업하기로 했다고 한다. 하버드를 중퇴한 동생과 달리 하버드 졸업장도 갖고 있다.[6] 베트남 화교 출신으로 광둥어를 할줄 안다고 한다.[7] 워렌 버핏, 빌 게이츠 등도 같은 방식으로 상속세를 탈루해왔다.[8] 단, 이 부분은 논란의 여지는 있다. 워렌 버핏의 경우는 전 재산의 99%를 자신의 재단이 아닌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에 기부하기로 했고, 빌 게이츠 또한 자식들에게는 전 재산의 0.02%만 물려주겠다고 선언하였고,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은 세계에서 기부액이 제일 많을 뿐만 아니라 상당히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선단체며 마크 저커버그가 어떻게 할 것인지는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한다.[9] 이런 면에선 스티브 잡스와 공통점이 있다고 보면 된다.[10] 이런 식으로 기자들이 몰려있어서 긴장할 수 밖에 없었다.[11] 햇빛이 얼굴을 타게 하는 것과는 별개로 자외선 자체가 1급 발암 물질이기 때문에 미국의 학교에서는 체육 활동을 위해 선크림 지참이 필수이다. 미국의 햇빛 강도는 한국과 비할 수가 없을 정도로 강력하기 때문. 얼굴이 타는 것을 싫어해서인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인지는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12] 형용사 안의 Face, Zucker, Wiki는 고유 명사이므로 대문자로 표기한다. 각각 페이스북 (Facebook), 마크 저커버그 (Mark Zuckerberg), 위키백과 (Wikipedia)를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