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2024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
5위6위1위
[[1984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위5위
19871988198919901991
3위3위7위6위4위
19921993199419951996
1위
{{{#ffffff 준PO}}}
{{{#ffffff PO}}}
[[199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6위6위2위
5위
19971998199920002001
8위8위2위
4위
8위
20022003200420052006
8위8위8위5위7위
20072008200920102011
7위3위
4위
4위
3위
20122013201420152016
4위
5위7위8위8위
20172018201920202021
3위
7위10위7위8위
20222023202420252026
8위7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스토브리그스프링캠프시범경기
3~4월5월6월
7월8월9월


◀ 2023 시즌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2025 시즌 ▶
||
파일:롯데2024투혼투지.jpg
투혼투지
순위승률승차
8 / 100.4389.5
경기수
66 / 14428236
2024년도 롯데 자이언츠 홈 경기 누적 관중수
577,081
구장경기평균 관중 수순위
사직 야구장35/6516,4882/10
문수 야구장0/60
합계34/7116,488

1. 시즌 전
1.1. 팀 분위기 및 전망
1.1.1. 투수진
1.1.2. 야수진
1.2. 스토브리그
1.3. 스프링캠프
1.4. 시범경기
2. 페넌트 레이스
2.1. 전적
2.1.1. 월별 전적
2.1.2. 상대팀 별 전적
2.1.3. 요일별 전적
2.1.4. 구장별 전적
2.2. 기록
2.2.1. 팀 기록
2.2.2. 팀 달성 기록
2.2.3. 개인 달성 기록
2.2.4. 개인 첫 기록
2.2.5. 오프시즌 수상자 기록
2.3. 페넌트레이스 진행 중 변동사항
2.3.1. 군 전역, 입대
2.3.2. 트레이드
2.3.3. 방출 선수 영입
2.3.4. 정식선수 등록
2.3.5. 등번호 변경
2.3.6. 시즌 중 부상자 명단
3. 퓨처스리그
4. 2025 KBO 신인 드래프트
4.1. 신인선수 명단
5. 시즌 최종 및 마감, 총평
5.1. 페넌트레이스 총평
5.1.1. 전반기
5.1.2. 후반기
5.2. 포지션별 총평
5.2.1. 투수진
5.2.2. 야수진
5.3. 오프시즌 해결과제
6. 둘러보기



1. 시즌 전[편집]



1.1. 팀 분위기 및 전망[편집]


결국 앞선 시즌에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여 기어코 7A7887이라는 비밀번호를 쓰게되며, 6년연속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하였다. 또한, 다른 부산 연고의 스포츠 구단은 좋은 모습을 보였고, 같이 오랫동안 우승을 하지 못하였던 LG 트윈스 마저 우승을 차지하였기에 올해는 좋은 성적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롯데 자이언츠 구단도 변화의 필요성을 느꼈는지 감독으로 초보 감독을 주로 뽑던것과 달리 앞서 두산 베어스에서 8년동안 재임 중 7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을 기록한 김태형 감독을 선임했다. 또한, 성민규 단장은 해임되고 박준혁 전 운영팀장이 새로 단장으로 부임하며 현장의 코치진 개편프런트 개혁도 함께 진행되었다. 따라서 앞전 시즌에서 약점으로 지목된 코칭스태프의 개편이 팀 성적으로 연결될수 있을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될것으로 보인다.

투수진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후술하겠지만 먼저 선발진에서는 이제는 나이가 걸림돌이 되어버린 윌커슨이 나이를 거스르는 역투를 펼쳐주어야 하고, 반즈가 22시즌 전반기와 23시즌 후반기의 모습을 합친 모습을 보여주어야 롯데의 원투펀치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박세웅과 나균안이 로테이션을 거르지 않고 좋은 성적을 내준다면, 5선발이 불안하더라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불펜진에서는 구승민과 김원중이 FA가 되는 시즌이므로, FA로이드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하고, 불펜의 믿을맨 김상수가 쏠쏠하게 활약해주고, 최준용이 21시즌의 모습을 보인다면 탄탄한 필승조를 구축할 것이다. 여기에 구위가 한층 더 좋아진 최이준과 위기 관리 능력이 뛰어난 전미르가 가세하고, 우강훈이 사이드암 투수로서 크게 성장한다면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타자쪽을 살펴보면, 역시나 후술하겠지만 무엇보다 안치홍이 빠진, 빈약한 타선임에도 if가 많은 롯데 타선이기에, 작년 시즌 없다시피한 외국인 거포였기에 레이예스가 그 자리만 채워줘도 안치홍의 빈자리를 커버해 줄 수 있어 보이고, 또한 전준우가 4번 타자 자리를 잘 지키며 타선의 중심을 맞추고, 여기에 윤동희, 고승민, 나승엽, 김민석이 최고의 활약을, 그리고 유강남과 노진혁, 김민성이 하위타선에서 존재감을 뿜어낸다면 역시나 기대해 볼 만하다. "윤고나김"의 활약에 따라 롯데의 올 시즌 성적이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1]

1.1.1. 투수진[편집]


선발 자원은 재계약을 체결한 지난 시즌의 외인 투수 2명과 아시안게임을 다녀온 두 국내 에이스 박세웅과 나균안까지 4선발로 구성되었다.[2] 여기에 이민석과 이승헌은 비록 육성선수로 전환되었지만 2군에서 선발을 준비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면 5선발 자리로 들어갈 수 있다. 어쩌면 아직 보직이 정해지지 않은 전미르가 1+1 형식으로 선발로 자리를 잡을 수도 있어 보인다. 마침 전미르의 투구 스타일도 출루 억제보다는 위기 관리 능력이 뛰어나 경기 운영을 잘 하는 편에 속한다.

프라이머리 셋업맨은 올해도 역시나 구승민이 담당한다. 세컨더리 셋업맨은 지난시즌 완벽한 부활을 신고한 김상수, 그리고 점수차가 적게 나는 상황이거나 동점인 상황에서 등판하는 추격조에는 스프링캠프 MVP를 수상한 최이준이 합류하며, 박진형과 최준용 중 1명이 더 합류한다. 여기에 좌타자 원 포인트 릴리프는 임준섭이, 그리고 아직 보직을 정하지 않겠다고 김태형 감독이 인터뷰를 통해 밝힌 전미르가 스윙맨으로 계투진에 합류한다.

마무리 자리는 2023 시즌 30세이브를 달성하고, 2024시즌 투수 조장을 맡은 김원중이 올해도 어김없이 지킬것으로 보인다. 롯데 구단 최초로 순수 100세이브를 달성한 말이 필요 없는 마무리 투수로 2024 시즌에도 특별한 일이 있지 않는 한 롯데의 뒷문을 막을 것으로 예상된다.[3]

1.1.2. 야수진[편집]


포수에서는 4년 80억으로 롯데에 합류했던 유강남이 주전으로 계속해서 뛴다. 2023 시즌 전반기에는 최악의 모습을 보여주며 먹튀 소리를 들었지만 후반기 다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2024 시즌에도 2023 시즌 후반기와 같은 모습이라면 충분히 주전으로 활약할것으로 보인다. 또한 백업으로는 MLB급 도루저지를 보여준 손성빈이 자리하며, 지난 5년 간의 타격 부진에서 드디어 타격에 눈을 뜨기 시작한 정보근은 부상 여파로 4월 중순쯤 복귀할 예정이다.

상무에서 제대하고 2024 시즌부터 합류하는 나승엽과 정훈이 후보군에 올라있었으며 스프링캠프를 통해 나승엽이 주전 경쟁에서 앞서가게 되었다.# 그리고 백업으로 정훈이 자리잡았으며, 상대 선발에 따라 플래툰이 적용될 수도 있다.

안치홍이 4+2년 72억으로 한화로 이적하여서 백업 중에 한 명이 새로 주전을 차지할것으로 보였으나, 김민수와 1:1 트레이드로 친정팀 롯데에 내야수 김민성이 돌아오며 주전 2루수로 김민성이 나갈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스프링캠프 중 이뤄진 연습경기를 모두 끝낸후 김태형 감독이 “지금으로서는 박승욱이 가장 안정적이다. 일단은 2루수는 박승욱, 유격수는 노진혁”이라고 밝히며 당초의 예상과 달리 박승욱이 주전을 가져가게 되었다.# 향후 김민석 복귀시 고승민이 2루 주전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백업으로는 오선진최항이 있다. 만약 이 둘을 2차 드래프트로 데려오지 않았다면 한동희와 김민석의 부상으로 인해 2루 자원으로 분류되던 김민성과 고승민이 각각 3루와 좌익수 주전으로 이동하게 되며 단숨에 2루수 뎁스 자체가 박승욱 외에는 없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이할 뻔했다.

2023 시즌 종료 후 미국에서 타격 레슨을 받고 부활을 꿈꾸는 한동희가 6월 상무 합격 시 입대 전까지 3루수를 맡을것으로 보여 2루수 주전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한동희가 시범경기 타격 도중 내복사근 파열을 당하여 최소 1달 이상의 재활을 거쳐야 하기에 사실상 제대로 된 활약을 펼치기 어렵게 되며, 김민성이 주전으로 나선다. 3루 백업 뎁스 역시도 처참해질 뻔했으나, 다행히도 2차 드래프트로 오선진최항을 영입하면서 내야 뎁스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이학주도 3루 백업으로 자리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부터 2026년까지 4년 총액 50억의 FA 계약으로 롯데에 합류한 노진혁이 올해도 주전 유격수를 맡게 되었다. 롯데의 타선이 안치홍의 이탈로 약해졌고, 한동희 역시 부상과 군입대로 인해 더욱 약화되었기에, 노진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4] 유격수 역시도 2, 3루와 마찬가지로 처참한 뎁스를 보여줄 뻔했으나,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영입한 오선진, 그리고 기존 자원인 이학주와 이주찬으로 백업자원을 충당했다.#

안권수가 일본으로 돌아가며 좌익수 자리가 비었고, 레이예스를 중견수로 기용하게 되면서# 작년 중견수 주전 김민석이 좌익수로 이동하게 되었다. 백업으로는 황성빈, 장두성고승민, 7월에 제대하는 추재현이 있으며 전준우 또한 좌익수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김민석이 부상을 당하며 복귀 전까지는 고승민이 주전 좌익수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고승민의 시범경기 타율이 심상치 않아[5], 어쩌면 주전 좌익수로 고정될 수도 있어 보인다. 김민석이 복귀할 때 고승민의 타격감이 매우 좋다면, 고승민의 경우 2루수로 출전 가능하기에, 2루 주전으로 출전할 가능성도 있다. 시범경기 기간동안 정훈 역시 좌익수로 출전해 좌익수의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중견수로는 윤동희가 자리잡는다. 윤동희는 지난 시즌 우익수 자리에서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시범경기동안 갑자기 레이예스와 포지션을 변경한 이후 중견수 자리에서 좋은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고, 윤동희의 국가대표 차출 이후에도 레이예스가 계속해서 우익수로 나오면서 중견수로 개막전에 출전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백업으로는 황성빈, 장두성과 7월에 제대하는 추재현이 있다.

외국인 타자로 코너 외야수인 빅터 레이예스를 영입하며 빅터 레이예스가 우익수 주전으로 나선다. 원래는 중견수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였으나 윤동희가 시범경기동안 중견수로 나오면서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레이예스는 이 이후 윤동희가 국가대표에 차출이 되었음에도 계속해서 우익수로 나오며 우익수 주전으로 자리잡았다. 백업으로는 황성빈, 장두성과 2차 스프링캠프에 합류한 신인 이선우가 활용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또한 7월에 제대하는 추재현도 있다.

전준우는 올해도 결국 롯데와 재계약을 통해 롯데에 남게 되면서 풀타임 지명타자를 소화하게 되었다. 주전 외야수들의 체력안배차 간간히 좌익수로도 출전할 것으로 보인다.

1.2. 스토브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롯데 자이언츠/2024년/스토브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스프링캠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롯데 자이언츠/2024년/스프링캠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시범경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롯데 자이언츠/2024년/시범경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페넌트 레이스[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2024 시즌 순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4 시즌 순위표
순위경기승률승차연속
1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0.000--
2파일:kt wiz 엠블럼.svg
----0.000--
3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0.000--
4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0.000--
5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0.000--
6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0.000--
7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0.000--
8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0.000--
9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0.000--
10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0.000--
순위 출처: KBO 공식 웹사이트
2024 한국시리즈 우승
2024 한국시리즈 진출
2024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2024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 진출
2024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2024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2.1. 전적[편집]


범주
짙은 회색압도적우세(≥.800)
청색절대우세(.650≤승률<.800)
하늘색우세(.550≤승률<.650)
녹색백중세(.450≤승률<.550)
오렌지색열세(.350≤승률<.450)
적색절대열세(.200< 승률<.350)
갈색압살(≤.200)


2.1.1. 월별 전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롯데 자이언츠/2024년/월별 전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월별 성적
승 - 무 - 패순위승차승패마진승률
3~4월
절대열세
8 - 1 - 2110 / 1012.0-130.276
5월
우세
13 - 1 - 103 / 1011.5+30.565
6월
/ 10
7월
/ 10
8월
/ 10
9월
/ 10
2024년 5월 31일 팀순위 기준



2.1.2. 상대팀 별 전적[편집]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팀별 상대 전적
상대 팀전적승률잔여경기승패마진비고[6]
LG1 - 0 - 50.16710-4압살
kt3 - 1 - 10.75011+2절대우세
SSG3 - 0 - 40.4299-1열세
NC3 - 0 - 60.3337-3절대열세
두산3 - 1 - 20.6009+2우세
KIA5 - 0 - 30.6258+2우세
삼성4 - 0 - 40.50080백중세
한화3 - 0 - 40.4299-1열세
키움3 - 0 - 60.3337-3절대열세
28 - 2 - 350.44479-7
순위 : 8 / 10득점 - 실점 (득실차) : 253-292(-39)게임차 : 8.5
2024년 6월 13일 팀순위 기준



2.1.3. 요일별 전적[편집]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요일별 전적
요일승 - 무 - 패승률승패마진
월요일
휴식일
0 - 0 - 00
화요일
절대열세
3 - 0 - 70.300-4
수요일
열세
4 - 0 - 60.400-2
목요일
우세
7 - 0 - 40.636+3
금요일
백중세
6 - 0 - 50.545+1
토요일
절대열세
3 - 0 - 70.300-4
일요일
백중세
5 - 2 - 60.455-1
28 - 2 - 350.444-7
순위: 8 / 10게임차 : 8.5
2024년 6월 13일 팀순위 기준



2.1.4. 구장별 전적[편집]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은 경기장,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은 경기장, 초록 글씨는 동률인 경우다.

롯데 자이언츠 2024년 구장별 전적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사직
우세
20승 1무 16패0.556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울산
경기전
0승 0무 0패0.000
우세
20승 1무 16패0.556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잠실
절대열세
1승 0무 2패0.333
파일:kt wiz 엠블럼.svg수원
백중세
1승 0무 1패0.500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문학
압살
0승 0무 2패0.000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창원
압살
0승 0무 3패0.00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잠실
백중세
1승 1무 1패0.500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광주
열세
2승 0무 3패0.400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대구
압도
2승 0무 0패1.0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대전
절대열세
1승 0무 4패0.200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고척
압살
0승 0무 3패0.000
원정
절대열세
8승 1무 19패0.296
최종성적28승 2무 35패0.444
2024년 6월 13일 팀순위 기준




2.2. 기록[편집]



2.2.1. 팀 기록[편집]


2024년 정규시즌 롯데 자이언츠 타격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타율0.2755/10득점권타율0.2737/10
출루율0.33910/10장타율0.4095/10
2루타1122/103루타201/10
홈런4610/10타점2859/10
도루575/10BABIP0.3311/10
타격 WAR6.4510/10OPS0.7488/10
2024년 정규시즌 롯데 자이언츠 투수 기록
기록수치순위기록수치순위
ERA4.967/10QS262/10
선발 ERA4.938/10불펜 ERA5.007/10
WHIP1.526/10탈삼진4528/10
세이브146/10홀드238/10
이닝546.110/10블론세이브97/10
선발승269/10구원승99/10
2024년 6월 9일 경기 후 기준

2.2.2. 팀 달성 기록[편집]



2.2.3. 개인 달성 기록[편집]



2.2.4. 개인 첫 기록[편집]



2.2.5. 오프시즌 수상자 기록[편집]




2.3. 페넌트레이스 진행 중 변동사항[편집]




2.3.1. 군 전역, 입대[편집]


2024 시즌 중 군 전역선수 명단
선수명포지션복무 구분전역일
하혜성투수현역2024.4.30.
엄장윤포수현역2024.6.11
추재현외야수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2024.7.15
2024 시즌 중 군 입대선수 명단
선수명포지션복무 구분입대일
한동희내야수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2024.6.10
이진하투수
이태연투수

2.3.2. 트레이드[편집]


2024 시즌 중 트레이드 선수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선수 포지션 원소속팀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우강훈투수손호영내야수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2024.3.30

2.3.3. 방출 선수 영입[편집]



2024 시즌 방출선수 영입 명단
선수명이전 소속팀포지션투타
이인한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고양위너스로고(2018~).png 파일:가평 웨일스 엠블럼.png우투우타외야수


2.3.4. 정식선수 등록[편집]


2024 시즌 소속 선수 추가 등록 명단
포지션선수명등록 일자
포수백두산2024.5.1.
투수현도훈2024.5.5.
투수이민석2024.5.15.


2.3.5. 등번호 변경[편집]


2024 시즌 등번호 변경 명단
포지션선수명등번호 변경변경 일자
포수백두산102 -> 552024.5.1.
투수정성종56 -> 182024.6.13.
투수최준용18 -> 562024.6.13.

2.3.6. 시즌 중 부상자 명단[편집]



2024 시즌 부상자 명단
포지션선수명부상 기간부상 부위공시일
외야수황성빈15일햄스트링2024-04-29
내야수김민성10일무릎 슬개건염2024-05-03
내야수손호영15일햄스트링2024-05-04
내야수정훈15일엉덩이 햄스트링 건염2024-05-17
외야수전준우30일좌측 종아리 힘줄부위 미세 손상2024-05-17
내야수한동희30일햄스트링2024-05-19
외야수장두성30일좌측 비복근(종아리) 미세 손상2024-05-22
내야수이학주15일옆구리 근육 미세 손상2024-06-07


3. 퓨처스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롯데 자이언츠/2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퓨쳐스리그
2024 캐치프레이즈
파일:롯데2024투혼투지.jpg
투혼투지
퓨처스리그 성적
순위승차승률
4 / 62212411.00.459
3 - 4월 성적51130.278
5월 성적14090.609
6월 성적3020.600
최근 경기6.8 토요일 11:00 [익산]VS KT
다음 경기6.12 수요일 13:00 [상동]VS 상무
2024년 6월 11일 팀순위 기준, 2군 공식 홈페이지



4. 2025 KBO 신인 드래프트[편집]



4.1. 신인선수 명단[편집]


2025 신인 드래프트 지명자 명단
순위지명자출신학교포지션투구-타석계약금비고
1라운드
전체 4순위
2라운드
전체 14순위
3라운드
전체 24순위
4라운드
전체 34순위
6라운드
전체 54순위
7라운드
전체 64순위
8라운드
전체 74순위
9라운드
전체 84순위
10라운드
전체 94순위
11라운드
전체 104순위

5. 시즌 최종 및 마감, 총평[편집]



5.1. 페넌트레이스 총평[편집]



5.1.1. 전반기[편집]



5.1.2. 후반기[편집]



5.2. 포지션별 총평[편집]



5.2.1. 투수진[편집]



5.2.2. 야수진[편집]



5.3. 오프시즌 해결과제[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구단별 2024 시즌
||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1] 실제로도 윤고나김이 있던 시범경기에서는 3승 1패를 거두었지만, 국대 차출 이후 4연패를 당하며 이들이 얼마나 롯데 타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주었다.[2] 다만 나균안이 가정 폭력 + 불륜 의혹으로 인해 조사 결과에 따라 선수 생명에 영향이 갈 가능성도 있어서 최악의 경우 정규 선발이 3명으로 줄어드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3] 이제 김원중도 30대로 접어들었으며 내년이면 31세가 되고 FA가 되기 때문에 김원중의 후계자도 발굴할 필요가 있다.[4] 5~6번 타자로서 직전시즌 4~5월달의 모습을 유지해주어야 한다.[5] 3/10 SSG전 4타수 4안타 1볼넷 5출루[6] 상대전적 동률시, 득실마진도 같이 기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20:49:03에 나무위키 롯데 자이언츠/2024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