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득점

덤프버전 :

1. 사전적 의미
2. 스포츠 용어
2.1.1. 득점 관련 역대 기록



1. 사전적 의미[편집]




시험이나 경기 따위에서 점수를 얻음. 또는 그 점수. 반대 용어는 실점이다.

아케이드 게임에서의 득점은 스코어 항목에 설명되어 있다.


2. 스포츠 용어[편집]


역시 해당 경기 내에서 점수를 올린 것을 의미한다.

한 번의 득점으로 1점씩 추가되는 게 보통이나[1] 한 번에 여러 득점을 올리는 스포츠도 있다. 농구의 경우 기본적으로 2득점이며 3점 슛이나 자유투(1~2점) 등의 다른 득점 수단이 존재하고, 미식축구에는 터치다운이라는 어렵지만 그만큼 큰 득점을 가져오는 방법도 있다. 한편 테니스는 게임 스코어와 세트 스코어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득점 시 15-30-40으로 점수를 추가한다.[2]

야구에서는 한 선수가 한 번에 여러 점수를 얻는 경우를 타점이라고 따로 지칭한다. 야구에서의 득점의 의미는 후술.


2.1. 야구 용어[편집]



야구에서 사전적 의미의 득점에 대한 규칙울 알고 싶다면 해당 문서 참고

야구의 기본 기록 중 하나.

안타나 볼넷 등으로 출루하였거나 루상에 교체된 주자가 본루를 밟음으로써 기록되는 공격측의 점수. 출루한 주자가 대주자로 교체된 후 대주자가 홈을 밟은 경우 대주자의 득점으로 본다. 다만 스리아웃이 되는 과정을 이용해서 홈을 밟은 경우, 그리고 제 3아웃이, 타자가 1루에 도달하기 이전의 아웃이거나 포스아웃일 때는 아웃이 성립되기 이 전에 홈을 밟아도 득점이 인정되지 않는다. 홈을 밟기 전 1, 2, 3루 가운데 어느 한 곳 이상을 밟지 않고 왔다면 규칙에 의해 밟지 않은 루로 돌아가야 하며 이 경우 득점은 무효가 된다.

홈으로 돌아오는 것이 관건이므로 출루율[3][4]과 주루능력이 득점을 올릴 수 있는 요인. KBO 리그에서는 타이틀로 선정되는 8가지 스탯 중 하나이지만 다른 스탯에 비해서는 중요도가 떨어진다. 말이 득점이지 득점 관계율과는 매우 차이 난다. 득점이라는 게 자신이 얼마나 기여 했는지와는 상관없이 몇 번 홈 밟았냐 이거라서 상대 실책이나 후속타 불발 같은 건 당연하게도 깡그리 무시된다.

홈런을 치면 한 타석에서 타점과 득점이 동시에 올라간다.


2.1.1. 득점 관련 역대 기록[편집]


구분선수명개수연도
개인 통산 1위리키 헨더슨22951979~2003년
단일 시즌 개인 최다빌리 해밀턴1921894년[5]

구분선수명개수연도
개인 통산 1위오 사다하루19671959~1980년
단일 시즌 개인 최다고즈루 마코토1431950년
연속 경기오가사와라 미치히로17경기2001년 8월 5일 ~ 2001년 8월 27일
1경기 개인 최다치바 시게루
쓰카모토 히로요시
이시이 다쿠로
나카무라 노리히로
61948년
1949년
1999년
2000년

구분선수명개수연도
개인 통산 1위최정13572005 ~
단일 시즌 개인 최다서건창1352014년
1경기 개인 최다나성범62014년

  • MLB 득점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 MLB 현역득점 순위

  • NPB 득점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 KBO 득점 순위 (굵은 글자는 현역)
순위선수명득점 개수
1최정1368
2이승엽1355[6]
3손아섭1316
4양준혁1299
5박용택1259
6최형우1224
7박한이1211
8이용규1179
9전준호1171
10김현수1129[7]
11장성호1108
12이종범1100[8]
13정근우1072
14황재균1062[9]
15장종훈1043
16정성훈1040
17김주찬1025
18김태균1024[10]
19송지만1019
20박재홍101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7:13:50에 나무위키 득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축구배구의 경우 무조건 1득점씩 이루어진다.[2] 단, 타이 브레이크에서는 1득점씩 추가된다.[3] 대체로 안타. 실제로 한국프로야구 2014시즌 최다안타 기록자인 서건창이 그해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4] 하지만 '안타를 많이 쳤느냐'보다 '얼마나 많이 출루를 하느냐' 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무조건 안타 수가 많다고 해서 출루율이 높은 것은 아니다. 출루율은 타수에 기록되지 않는 타석까지 계산과정에 포함하는 만큼, 안타/타수로 계산하는 타율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안타는 잘 때려내지만 그렇지 않은 타석에서 대부분 아웃으로 물러나는 타자보다, 리키 헨더슨처럼 나쁜 공을 골라내 볼넷으로 출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선수가 비율성적에서 더 강세를 보인다. 그 선수가 안타를 몇 개 때렸느냐는 것은, 위의 타석과 타수, 그리고 사사구로 인한 출루를 전혀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안타를 많이 치는 타자는 출루능력과 출루율이 뛰어나다라는 말은 반드시 성립되지 않는다.[5] 라이브볼 시대 이후 기록은 1921년 베이브 루스의 177득점.[6] NPB 394득점.[7] MLB 56득점.[8] NPB 174득점.[9] MLB 2득점.[10] NPB 75득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