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해시·삼척시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동해시·삼척시.svg
선거인 수163,586명 (2016)
상위 행정구역강원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해시 전역
천곡동, 송정동, 북삼동, 북평동, 삼화동, 부곡동, 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망상동

삼척시 전역
교동, 남양동, 성내동, 정라동, 도계읍, 원덕읍, 근덕면, 하장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동해시, 삼척시
이후 선거구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국회의원
ta-hash-start=w-6b916c78bf10d2b686efd44acb1cb96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철규



1. 개요[편집]


동해시삼척시는 각각 독립 선거구를 유지하다가 16대 총선때 합구했다. 강원권에서 보수세가 제일 센 곳이기도 하다. 다른 모든 지역은 민주당계 정당이 한번이라도 깃발을 꽂은 적이 있지만 이곳만큼은 워낙 보수세가 강해서 민주당계 정당이 단 한번도 깃발을 꽂은 적이 없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역대 동해시, 삼척시의 국회의원
대수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홍희표
무소속

1988년 5월 30일 ~ 1989년 3월 14일동해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9년 4월 15일 ~ 1992년 5월 29일
김일동
ta-hash-start=w-73dd2e5d59ee0b29b52058d4393b170f[[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삼척시·삼척군
제14대김효영
ta-hash-start=w-01f7842b1844f0634c8f132d7e368951[[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동해시
김정남
무소속

삼척시·삼척군
제15대최연희
ta-hash-start=w-feafb280b99f47d2e75d6008f73c15a3[[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동해시
장을병

삼척시
제16대최연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동해시·삼척시
제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이이재
ta-hash-start=w-f511186b08b671a4ad5a1deaae96e31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이철규
무소속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ta-hash-start=w-83392146c1a8d53f517ad8329ccf3afe[[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2.1. 동해시, 삼척시·삼척군/삼척시 (13~15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
동해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형배(金炯培)14,7942위
[include(틀:민주정의당)]31.60%낙선
2이관형(李官炯)7,0573위
[include(틀:통일민주당)]15.07%낙선
3지일웅(池一雄)4,3615위
[include(틀:평화민주당)]9.31%낙선
4이홍섭(李洪燮)5,4354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11.61%낙선
5홍희표(洪熙杓)15,1661위
[include(틀:무소속)]32.39%당선
선거인 수57,226투표율
82.50%
투표 수47,214
무효표 수401

삼척시·삼척군
삼척시, 삼척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정남(金正男)26,520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6.49%낙선
2김일동(金日東)29,2531위

ta-hash-start=w-9d0231d43ebb66349e1bd614cba89796[[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28%당선
3조복형(趙福衡)1,2673위

ta-hash-start=w-887433a50673fa4cf734b14ba787c8b9[[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2.22%낙선
선거인 수69,751투표율
82.89%
투표 수57,820
무효표 수780

2.1.2. 1989년 재보궐선거 (동해시)[편집]


동해시
동해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희표(洪熙杓)25,688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80%당선
2김숙원(金叔元)2,5434위
5.72%낙선
3이관형(李官炯)12,0492위
27.11%낙선
4이홍섭(李洪燮)-사퇴[1]
-
5지일웅(池一雄)4,1653위
9.37%낙선
선거인 수57,211투표율
79.07%
투표 수45,234
무효표 수789

2.1.3.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
동해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희표(洪熙杓)16,1172위
34.61%낙선
2지일웅(池一雄)8,2303위
17.67%낙선
3김효영(金孝榮)21,5541위
46.28%당선
4조대형(趙大衡)6624위
1.42%낙선
선거인 수60,975투표율
77.18%
투표 수47,060
무효표 수497

삼척시·삼척군
삼척시, 삼척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동(金日東)16,1172위
33.75%낙선
2김재철(金在徹)5,9133위
11.20%낙선
3심재정(沈在廷)6806위
1.28%낙선
4김정남(金正男)20,0761위
38.04%당선
5엄영석(嚴永錫)5,6814위
10.76%낙선
6정웅교(鄭雄敎)2,6135위
4.95%낙선
선거인 수65,057투표율
82.15%
투표 수53,443
무효표 수667

2.1.4.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
동해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연희(崔鉛熙)24,1461위
50.26%당선
2홍을표(洪乙杓)2,5254위
5.25%낙선
3지일웅(池一雄)6,8163위
14.18%낙선
4홍희표(洪熙杓)14,5472위
30.28%낙선
선거인 수68,549투표율
71.73%
투표 수49,173
무효표 수1,961

삼척시
삼척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현선(辛賢善)11,2452위
23.91%낙선
2박병준(朴炳俊)7326위
1.55%낙선
3장을병(張乙炳)14,9571위
31.80%당선
4김정남(金正男)6,1434위
13.06%낙선
5김재철(金在徹)5,8345위
12.40%낙선
6이주해(李周海)8,1113위
17.24%낙선
선거인 수61,960투표율
78.44%
투표 수48,600
무효표 수1,578

2.2. 동해시·삼척시 (16~20대)[편집]



2.2.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삼척시
동해시 일원[동해], 삼척시 일원[삼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연희(崔鉛熙)50,6501위
58.64%당선
2장을병(張乙炳)33,6912위
39.01%낙선
4김유현(金有炫)2,0313위
2.35%낙선
선거인 수134,794투표율
65.21%
투표 수87,903
무효표 수1,531


2.2.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삼척시
동해시 일원[동해], 삼척시 일원[삼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연희(崔鉛熙)43,1991위
55.60%당선
3안호성(安浩星)28,8922위
37.19%낙선
4곽병렬(郭炳烈)6954위
0.89%낙선
5김진주(金鎭周)4,9043위
6.31%낙선
선거인 수132,757투표율
59.44%
투표 수78,916
무효표 수1,226


2.2.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삼척시
동해시, 삼척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호연(韓晧淵)7,2733위
10.43%낙선
2정인억(鄭寅億)27,5182위
39.48%낙선
6정문기(鄭文基)2,1834위
3.13%낙선
7최연희(崔鉛熙)32,7291위
46.95%당선
선거인 수130,815투표율
54.17%
투표 수70,863
무효표 수1,160

현직 국회의원인 최연희는 당시 성추행 사건을 저질러 한나라당에서 내쫓긴 인사였는데, 당연히 한나라당에 들어갈 수는 없으니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지역구 관리를 잘했는지 결국 당선이 되었고 이 때문에 말이 많이 나왔다.

2.2.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삼척시
동해시 일원[동해], 삼척시 일원[삼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이재(李利在)33,8451위
44.83%당선
4박응천(朴應千)6,5804위
8.71%낙선
6이용석(李勇錫)4856위
0.64%낙선
7최연희(崔鉛熙)21,1712위
28.04%낙선
8이화영(李華泳)7,8043위
10.33%낙선
9김형순(金炯淳)5,6055위
7.42%낙선
선거인 수134,751투표율
56.70%
투표 수76,408
무효표 수918

현직 의원인 최연희는 무소속이긴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새누리당 의원이었는데, 성추행 사건의 여파가 커서 복당을 할 수가 없어서 무소속으로 나왔으며, 새누리당은 소장파 당직자인 이이재를 공천했고 결국 이이재 후보가 당선되었다.

한편 민주통합당은 중랑구 갑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이화영을 공천했으나 비리에 연루되자 스스로 공천을 반납하고 무소속으로 나왔는데, 결과적으로 이이재 당선인과 최연희 의원에게 모두 패해 10% 남짓밖에 못 받고 낙선하고 만다. 이후 이화영은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여 이 지역구가 아닌 용인시 병(20대)과 용인시 갑(21대)의 문을 두드렸으나 계속 공천을 못 받았다. 그리고 쌍방울그룹과의 유착 의혹으로 인해 구속되기까지 이른다.

2.2.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해시·삼척시
동해시 일원[동해], 삼척시 일원[삼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성덕(朴聖悳)26,2642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33.35%낙선
2박응천(朴應千)14,2503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18.09%낙선
5이철규(李喆圭)38,2251위
48.54%당선
선거인 수135,441투표율
59.17%
투표 수80,134
무효표 수1,395

현직 의원인 이이재는 비박이란 이유로 일찌감치 컷오프 되었고 새누리당은 박성덕 후보를 공천했다. 그러자 새누리당 공천에서 떨어진 이철규 前 경기지방경찰청장이 이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나왔고 결국 이철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1] 선거 이틀 전 통일민주당 측의 매수로 인해 사퇴.[동해] A B C D 천곡동, 송정동, 북삼동, 북평동, 삼화동, 부곡동, 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망상동[삼척] A B C D 교동, 남양동, 성내동, 정라동, 도계읍, 원덕읍, 근덕면, 하장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