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남권 광역전철/역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동남권 광역전철

1. 1980년대
2. 1990년대
3. 2000년대
4. 2010년대
5. 2020년대


대한민국 동남권 광역전철의 노선 및 역의 개통 및 변동 등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다.


1. 1980년대[편집]


일자노선변동사항역 수 변동비고
1985년 7월 19일1호선범내골 ~ 범어사 개통[1]전체: 0 → 16
1호선: 0 → 16
1986년 12월 9일1호선범어사 ~ 노포동 개통[2]전체: 16 → 17
1호선: 16 → 17
1987년 5월 15일1호선중앙동 ~ 범내골 개통[3]전체: 17 → 23
1호선: 17 → 23
1988년 5월 19일1호선토성동 ~ 중앙동 개통[4]전체: 23 → 26
1호선: 23 → 26


2. 1990년대[편집]


일자노선변동사항역 수 변동비고
1990년 2월 28일1호선서대신동 ~ 토성동 개통[5]전체: 26 → 28
1호선: 26 → 28
1994년 6월 23일1호선신평 ~ 서대신동 개통[6]전체: 28 → 34
1호선: 28 → 34
1999년 5월 31일1호선초량 → 초량동 역명 변경
1999년 6월 30일2호선서면 ~ 호포 개통[7]전체: 34 → 54
2호선: 0 → 21


3. 2000년대[편집]


일자노선변동사항역 수 변동비고
2001년 8월 8일2호선금련산 ~ 서면 개통[8]전체: 54 → 63
2호선: 21 → 30
2002년 1월 16일2호선광안 ~ 금련산 개통[9]전체: 63 → 64
2호선: 30 → 31
2002년 8월 29일2호선장산 ~ 광안 개통[10]전체: 64 → 72
2호선: 31 → 39
2005년 11월 28일3호선수영 ~ 대저 개통[11]전체: 72 → 86
3호선: 0 → 17
2008년 1월 10일2호선호포 ~ 양산 개통[12]전체: 86 → 88
2호선: 39 → 41
2009년 10월 1일2호선부산대양산캠퍼스 개통전체: 88 → 89
2호선: 41 → 42


4. 2010년대[편집]


일자노선변동사항역 수 변동비고
2010년 2월 24일1호선노포동역 외 16역 역명 변경[13]
2011년 3월 30일4호선미남 ~ 안평 개통전체: 89 → 103
4호선: 0 → 14
2011년 9월 16일부산김해경전철사상 ~ 가야대 개통전체: 103 → 124
부산김해경전철: 0 → 21
2015년 9월 24일2호선증산 개통전체: 124 → 125
2호선: 42 → 43
2016년 12월 30일동해선부전 ~ 일광 개통전체: 125 → 139
동해선: 0 → 14
2호선시립미술관 → 벡스코 역명 변경
2017년 4월 20일1호선다대포해수욕장 ~ 신평 개통전체: 139 → 145
1호선: 34 → 40


5. 2020년대[편집]


일자노선변동사항역 수 변동비고
2020년 3월 28일동해선부산원동 개통전체: 145 → 146
동해선: 14 → 15
2021년 1월 17일4호선동부산대학 → 윗반송 역명 변경
2021년 12월 30일동해선일광 ~ 태화강 개통전체: 146 → 154
동해선: 15 → 2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5:10:55에 나무위키 동남권 광역전철/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