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구(대전 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동구(대전광역시) 문서
동구(대전광역시)번 문단을
동구(대전광역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동구(대전광역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동구 (대전)
동구 일원
東區
Dong
||
파일:국회선거구 동구(대전).svg
선거인 수225,442명 (2020)
상위 행정구역대전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구 전역
판암1동, 판암2동, 가양1동, 가양2동, 효동, 중앙동, 신인동, 용운동, 자양동, 용전동, 성남동, 홍도동, 삼성동, 대청동, 산내동, 대동
이전 선거구동구 갑, 동구 을
신설년도2000년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장철민




1. 개요[편집]


13대부터 15대까지 동구는 갑/을로 선거구가 나뉘어졌다가 16대부터 단일 선거구가 되었다. 이 동네는 원도심 지역이라 신도심이고 젊은층 인구가 많은 유성구서구와 달리 주민들의 연령층이 전체적으로 높아 보수 성향이 강한 편에 속하고, 그래서 17대 총선과 21대 총선을 제외하면 보수정당 후보가 이겼다.

현역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장철민 의원이다.

종로구가 서울특별시의 총선결과를 먼저 공개하는 선거구로 '대한민국 정치 1번지'로 언급되듯이 이 선거구는 '대전 정치 1번지' 혹은 '충청도 정치 1번지'로 언급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김현
ta-hash-start=w-ac8c181160dc99385bec51be806dc707[[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대전시 동구 갑
윤성한대전시 동구 을
제14대남재두
ta-hash-start=w-0278edddd8a644613430170b1e9ad89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동구 갑
송천영

동구 을
제15대김칠환
ta-hash-start=w-63f2376b07a18fdca7e3553b052e2eab[[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동구 갑
이양희동구 을
제16대이양희
ta-hash-start=w-9c3cfdc8a01e0b6d22a4cec0ab80440a[[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동구
제17대선병렬
ta-hash-start=w-5a48316dcefbfd05ab7a7d98a5e9ec13[[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임영호
ta-hash-start=w-d742f6d82d31615ed9aa4d351d1c0d6d[[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이장우
ta-hash-start=w-5300ef422e613b74fbf759d293aaab6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장철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1. 동구 甲/乙 (13~15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대전시 동구 갑
원동, 인동, 효동, 신흥동, 판암동, 용운동, 대1동, 대2동,
자양동, 신안동, 소제동, 정동, 중동, 추동, 세천동, 산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남재두(南在斗)23,577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4.79%낙선
2한영교(韓永敎)6,8854위

ta-hash-start=w-09604c68bfa72e9930b00c967e64747e[[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0.16%낙선
3송좌빈(宋佐彬)8,7743위

ta-hash-start=w-432d533fa8d38230276f5e485d508b6b[[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2.94%낙선
4김현(金炫)26,1821위

ta-hash-start=w-f5d523734ce2ac76ad9215bd0f87c376[[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8.64%당선
5송재호(宋宰浩)8436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24%낙선
6최옥종(崔玉鍾)2887위

파일:우리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0.42%낙선
7오세철(吳世喆)1,2095위

무소속

1.78%낙선
선거인 수86,961투표율
78.60%
투표수68,343
무효표수585

대전시 동구 을
가양1동, 가양2동, 용전동, 성남1동,
성남2동, 홍도동, 삼성1동, 삼성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병득(趙炳得)15,5473위
17.07%낙선
2송천영(宋千永)23,9132위
26.25%낙선
3신동국(申東國)6,6954위
7.35%낙선
4윤성한(尹星漢)37,5941위
41.27%당선
5오원진(吳元鎭)1,8576위
2.03%낙선
6박완규(朴完奎)3,8625위
4.24%낙선
7이석환(李錫煥)1,6077위
1.76%낙선
선거인 수125,032투표율
73.50%
투표 수91,892
무효표 수817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원동, 인동, 효동, 신흥동, 판암동, 용운동, 대1동, 대2동,
자양동, 신안동, 소제동, 정동, 중동, 추동, 세천동, 산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남재두(南在斗)37,8601위
48.87%당선
2김현(金炫)18,0032위
23.24%낙선
3이대형(李大衡)16,9363위
21.86%낙선
4송재호(宋宰浩)4,6614위
[include(틀:무소속)]6.01%낙선
선거인 수110,228투표율
71.15%
투표 수78,430
무효표 수970

동구 을
가양1동, 가양2동, 용전동, 성남1동,
성남2동, 홍도동, 삼성1동, 삼성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성한(尹星漢)16,6672위
28.46%낙선
2송천영(宋千永)26,1951위
44.73%당선
3오윤배(吳允培)10,7203위
18.30%낙선
4김석기(金錫基)1,1935위
2.03%낙선
5김성옥(金聲玉)3987위
0.67%낙선
6이선권(李善權)9416위
1.60%낙선
7정구국(鄭求國)2,4364위
4.16%낙선
선거인 수87,697투표율
67.56%
투표 수59,246
무효표 수696


2.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원동, 인동, 효동, 신흥동, 판암1동, 판암2동, 용운동, 대1동, 대2동,
자양동, 신안동, 소제동, 정동, 중동, 추동, 세천동, 산내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남재두(南在斗)18,1932위
28.66%낙선
2선병렬(宣炳烈)6,8853위
10.84%낙선
3김덕경(金德經)5,3504위
8.42%낙선
4김칠환(金七煥)31,4461위
49.54%당선
5이찬구(李讚九)4266위
0.67%낙선
6오태진(吳泰鎭)1,1695위
[include(틀:무소속)]1.84%낙선
선거인 수104,042투표율
62.52%
투표 수65,046
무효표 수1,577

동구 을
가양1동, 가양2동, 용전동, 성남1동,
성남2동, 홍도동, 삼성1동, 삼성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송천영(宋千永)11,0322위
22.91%낙선
2윤성환(尹星漢)4,9964위
10.37%낙선
3강구철(姜求哲)5,3243위
11.06%당선
4이양희(李良熙)24,0081위
49.87%당선
5김성옥(金聲玉)1409위
0.29%낙선
6김선림(金善林)1,2657위
2.62%낙선
7오윤배(吳允培)3736위
0.77%낙선
8이선권(李善權)1604위
0.33%낙선
9정구국(鄭求國)8368위
1.73%낙선
선거인 수79,833투표율
61.43%
투표 수49,042
무효표 수908


2.2. 동구 (16대~)[편집]



2.2.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칠환(金七煥)20,8403위
22.05%낙선
2송천영(宋千永)29,4542위
31.16%낙선
3이양희(李良熙)37,4071위
39.58%당선
4송재호(宋宰浩)1,7415위
1.84%낙선
5정구국(鄭求國)5,0715위
5.37%낙선
선거인 수182,963투표율
52.27%
투표수95,636
무효표수1,123
급속한 인구 감소로 인해 13대부터 15대까지 동구 갑/을로 나뉘어졌던 선거구가 단일 선거구로 환원되었다. 15대 동구 갑/을 국회의원은 모두 자민련 소속이었는데, 을 지역구의 이양희 의원이 자민련 공천을 받게 되자 갑 지역구의 김칠환 의원이 반발하여 한나라당에 입당했고, 새천년민주당에서는 12, 14대 의원을 지낸 송천영 전 의원이 출마했다. 3당 후보 간의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었지만 결과는 자민련 이양희 후보의 낙승으로 끝났다.

2.2.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칠환(金七煥)17,9313위
17.73%낙선
2송천영(宋瑬永)4,9374위
4.88%낙선
3선병렬(宣炳烈)44,2051위
43.72%당선
4임영호(林榮鎬)34,0412위
33.67%낙선
선거인 수181,578투표율
56.42%
투표 수102,452
무효표 수1,338

2.2.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선병렬(宣炳烈)21,0272위
24.99%낙선
2윤석만(尹錫萬)18,1023위
21.51%낙선
3임영호(林榮鎬)41,8891위
49.79%당선
4이병구(李秉九)2,1494위
2.55%낙선
6신기영(申基英)9545위
1.13%낙선
선거인 수191,688투표율
43.88%
투표 수84.719
무효표 수598


2.2.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장우(李莊雨)36,7801위
34.97%당선
2강래구(姜來求)35,0692위
33.34%낙선
3임영호(林榮鎬)30,8213위
29.30%낙선
6송유영(宋瑬永)2,4924위
2.36%낙선
선거인 수202,491투표율
52.34%
투표 수105,987
무효표 수825

새누리당,민주통합당,자유선진당 3후보간의 3파전이 펼쳐졌고, 불과 1,711표 차이로 승패가 갈랐다. 참고로 3위와 2위 사이의 격차로 5천여표 차이로 역대급 접전을 이뤘다고 봐도 무방하다.

강래구 후보는 용운동,대동,용전동,홍도동에서 임영호 후보는 중앙동에서 이장우 후보는 부재자투표와 나머지 동 전체에서 이겼다.

2.2.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장우(李莊雨)47,5141위
44.05%당선
2강래구(姜來求)40,3022위
37.36%낙선
3선병렬(宣炳烈)18,4433위
17.10%낙선
5이대식(李大植)사퇴
6정구국(鄭求國)1,5894위
1.47%낙선
선거인 수196,330투표율
55.98%
투표 수109,898
무효표 수2,050


이번에는 야권의 분열 속에 더 큰 격차로 이장우 후보가 강래구 후보를 꺾었다.

이장우 후보는 효동과 관외사전투표를 제외한 전 동에서 이겼으며, 강래구 후보는 효동에서만 이겼다.

여담으로 이 때 낙선한 강래구 후보는 이로부터 7년 뒤인 2023년, 더불어민주당 돈봉투 사건에 연루되게 된다.

2.2.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철민(張喆敏)61,3451위
51.01%당선
2이장우(李莊雨)57,1942위
47.56%낙선
7송인경(宋寅庚)1,7093위
1.42%낙선
선거인 수193,872투표율
62.82%
투표 수121,792
무효표 수1,544

21대 총선 대전 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장철민이장우
득표수
(득표율)
61,345
(51.01%)
57,194
(47.56%)
+4,151
(△3.45)
62.82%
중앙동42.76%55.53%▼12.7759.70
신인동49.89%48.85%△1.0466.86
효동54.53%44.23%△10.3061.21
판암1동51.15%47.52%△3.6362.77
판암2동47.45%50.84%▼3.3963.07
용운동48.66%50.06%▼1.4061.39
대동48.58%50.20%▼1.6261.89
자양동50.15%48.41%△1.7457.48
가양1동46.97%51.94%▼4.9760.75
가양2동50.28%48.31%△1.9757.27
용전동51.91%46.54%△5.3754.82
성남동[1]49.39%49.39%-63.56
홍도동49.52%48.85%△0.6758.02
삼성동48.17%50.48%▼2.3161.54
대청동34.32%64.12%29.8065.05
산내동51.47%47.15%△4.3260.40
후보장철민이장우격차
거소·선상투표50.14%44.67%△5.47
관외사전투표63.37%34.75%△28.62
국외부재자투표72.22%26.67%45.55
미래통합당에선 현역인 이장우가 출마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홍영표 의원 보좌관 출신의 장철민 후보가 출마했다. 이로서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의 야당 중진 의원 vs 여당 정치 신인의 맞대결이 되었다. 대전 원도심이라는 이 지역구의 특성상 대전에서 중구대덕구와 함께 보수적인 곳이라서 이장우가 이길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지난 총선 때 이장우가 야권 분열로 당선되었다는 점과 대선, 지선에서 동대전 지역도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했다는 점은 불안 요소였다.

출구조사에선 이장우 후보의 우세로 나왔다. 개표 과정은 격전지답게 치열하게 펼쳐졌으나 개표 후반부로 갈수록 장철민 후보가 앞서나갔다. 결국 최종 개표 결과 출구조사와 달리 장철민이 이장우를 득표율 3.45% 차이로 이겨 16년 만에 민주당계 정당이 동구를 탈환했다. 이로서 대전 최초 1980년대생 의원이 탄생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장철민 후보는 효동, 판암1동, 가양2동, 용전동, 산내동, 홍도동, 신인동, 자양동에서 이겼다. 이장우 후보는 중앙동, 판암2동, 용운동, 대동, 가양1동, 삼성동, 대청동에서 이겼다. 그나마도 접전이었다. 성남동은 장철민, 이장우 모두 동일한 표를 얻었다.

동별 본 투표에서 장철민이 근소하게 앞설 때 사전투표함이 열렸고 거소 및 선상투표, 국외 부재자 투표, 관외 사전투표를 모두 장철민이 이기면서 당선된다.

아무래도 총선판을 뒤흔들었던 차명진 막말 파동의 영향이 컸던 듯 하다. 특히 동구 판암동, 자양동, 용전동 등은 젊은 세대가 꽤 많이 살다보니 표심이 많이 흔들린 모양. 실제로 선거기간 중 이장우 후보가 여론조사를 근소하게나마 꾸준히 앞섰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물론 이장우 후보 역시 김태흠, 김진태와 함께 19~20대 국회에서 친박 하드탱커(...)의 한 축이였던데다가[2] 옆 지역구정용기와 함께 20대 국회 기간에 종북몰이, 프로막말러의 상징으로 꼽혀온 사람이라 타격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장우 후보의 토론 태도 역시 도마에 올랐다. 상대 후보의 발언 하나하나에 젊은이가 되도 않는 소리를 한다는 식으로 비하하며 딴지를 거는 식의 토론태도를 선거기간 내내 유지했는데 이런 태도 역시 동구민들에게 비호감을 단단히 샀었다.[3]

여담으로 낙선한 이장우 후보는 2년 뒤 대전광역시장에 당선된다.

2.2.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전 동구 일원[대전동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대전동구] A B C D E F G 판암1동, 판암2동, 가양1동, 가양2동, 효동, 중앙동, 신인동, 용운동, 자양동, 용전동, 성남동, 홍도동, 삼성동, 대청동, 산내동, 대동.[1] 장철민, 이장우 후보의 표 수가 같다. 3205: 3205 [2] 공교롭게도 이 셋 모두 2년 뒤 광역단체장이 된다.[3] 참고로 동구지역은 대전대, 대전보건대, 한남대, 우송대 등 크고 작은 대학교와 원룸촌이 꽤나 많이 존재한다. 이런 지역에 출마해놓고 대놓고 저런 말을 했으니 결과는 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