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온조왕다루왕기루왕개루왕
다루의 모후기루의 모후개루의 모후초고, 고이의 모후
초고왕구수왕고이왕책계왕
구수의 모후사반의 모후책계의 모후보과부인
분서왕비류왕근초고왕근구수왕
계의 모후차비왕후 진씨아이부인
침류왕진사왕아신왕전지왕
왕후 진씨진손의 모후왕후 해씨팔수부인
구이신왕비유왕개로왕문주왕
왕후개로의 모후대후왕후 해씨
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
왕후 진씨비지의 딸왕대비창의 모후
위덕왕혜왕법왕무왕
아좌의 모후선의 모후왕후왕후 사택씨
무왕의자왕풍왕
선화공주은고부인왕후 오오씨





백제 제21대 왕후
大后 | 대후
출생
(음력)
미상
백제
사망
(음력)
475년 음력 9월
백제
능묘미상
재위기간제21대 어륙
455년 9월 ~ 475년 9월 (20년)
[ 펼치기 · 접기 ]

미상
주군개로왕
자녀왕자[1], 공주[2]

[1] 475년 한성 함락 때 사망했다.[2] 472년 북위에 사신으로 파견된 부여례의 부인.
1. 개요
2. 기타




1. 개요[편집]


백제 제 21대 국왕인 개로왕의 부인. 국내 기록에는 없고, 일본서기에 주석으로 인용된 백제기에서 개로왕의 부인인 대후(大后)가 살해당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20년(476) 겨울 고려(高麗)의 왕이 군사를 크게 일으켜 백제(百濟)를 쳐서 없앴다. 이 때 조금 남은 무리들이 있어 倉下에 모여 있었는데 군량이 다하자 매우 근심하여 울었다. 이에 고려(高麗)의 장수들이 왕에게 “백제(百濟)는 마음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신들은 그들을 볼 때마다 모르는 사이에 착각하게 됩니다. 다시 덩굴처럼 살아날까 두려우니, 쫓아가 없애기를 청합니다”고 하였다. 왕은 “안된다. 과인이 듣기에 백제국(百濟國)은 일본국(日本國)의 관가(官家)가 되었는데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고 한다. 또 그 왕이 들어가 천황을 섬긴 것은 사방의 이웃들이 다 아는 바이다”라 하였으므로 드디어 그만두었다.【『백제기)百濟記)』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개로왕(蓋鹵王) 을묘년(乙卯年: 475년) 겨울 박(狛)의 대군(大軍)이 와서 대성(大城)을 7일 낮밤을 공격하였다. 왕성(王城)이 항복하여 함락되니 위례(尉禮)를 잃었다. 국왕(國王)과 대후(大后), 왕자 등이 모두 적의 손에 죽었다”】.

일본서기 권14 大泊瀨幼武天皇 雄略天皇



2. 기타[편집]


461년 부여곤지를 따라 일본으로 간 개로왕의 부인과 동일인인지는 알 수 없다. 만일 둘이 동일 인물이라면 무령왕은 대후의 아들일 수 있으나, 무령왕의 출자에 대해서는 개로왕설과 곤지설로 나뉜 상태라 확실하지 않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4:34:34에 나무위키 대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