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타국의 사례에 대한 내용은 해병대주임원사 문서
해병대주임원사번 문단을
해병대주임원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원사 계급장.png
[[대한민국 국군|{{{#ffffff
대한민국 국군의}}}]] [[계룡대|{{{#ffffff 각 군 본부}}}]] [[주임원사|{{{#ffffff 현직 주임원사}}}]]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3><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000000,#e5e5e5 합참주임원사}}}]]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대한민국 육군|[[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30]]]] [[어윤용]] || ||<width=33%> [[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000000,#e5e5e5 {{{-1 육군주임원사}}}}}}]] ||<width=33%>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000000,#e5e5e5 {{{-1 해군주임원사}}}}}}]] ||<width=33%> [[대한민국 공군주임원사|{{{#000000,#e5e5e5 {{{-1 공군주임원사}}}}}}]]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대한민국 육군|[[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30]]]] [[강필수]] ||<bgcolor=#ffffff,#191919> [[대한민국 해군|[[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width=30]]]] [[정도일]] ||<bgcolor=#ffffff,#191919> [[대한민국 공군|[[파일:대한민국 공군기.svg|width=30]]]] [[이원희(제26대 공군주임원사)|이원희]] ||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주임원사|
{{{#000000,#e5e5e5 {{{-1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주임원사}}}}}}
]] || [[지상작전사령부|
{{{#000000,#e5e5e5 {{{-1 지상작전사령부 주임원사}}}}}}
]] || [[제2작전사령부|
{{{#000000,#e5e5e5 {{{-1 제2작전사령부 주임원사}}}}}}
]] || ||<bgcolor=#ffffff,#191919><height=43> [[대한민국 육군|[[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30]]]] [[김주식]] ||<bgcolor=#ffffff,#191919> [[대한민국 육군|[[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30]]]] [[김상운(군인)|김상운]] ||<bgcolor=#ffffff,#191919> [[대한민국 육군|[[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30]]]] [[김기정(원사)|김기정]] || ||<-3>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000000,#e5e5e5 해병대주임원사}}}]] || ||<-3><bgcolor=#ffffff,#191919><height=43> [[대한민국 해병대|[[파일:대한민국 해병대기.png|width=30]]]] [[양병장]] ||




파일:해병대사령부.pn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fd,#330000><width=20%><color=#373a3c> 초대
윤길용 ||<width=20%> 2대
박병화 ||<width=20%> 3대
이우섭 ||<width=20%> 4대
김원호 ||<width=20%> 5대
변인철 ||
|| 6대
노석조 || 7대
김두혁 || 8대
김창현 || 9대
이춘옥 || 10대
조기락 ||
|| 11대
김무덕 || 12대
김강흥 || 13대
김태숙 || 14대
황병호 || 15대
이태우 ||
|| 16대
서정도 || 17대
곽광섭 || 18대
송연근 || 19대
현대인 || 20대
서인호 ||
|| 21대
정용문 || 22대
박종옥 || 23대
박규철 || 24대
이정삼 || 25대
이경웅 ||
|| 26대
전종익 || 27대
양병장 || || || ||
||<-5><bgcolor=#cc101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
大韓民國 海兵隊主任元士
Sergeant Major of the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파일:이제룡 해병 원사.jpg
원사 이제룡 (제28대)
취임일2022년 2월 25일
임관해병 부사관후보생 193기
관사덕산대 공관

1. 개요
2. 상세
3. 역대 해병대주임원사
4. 관련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대한민국 해병대부사관 및 병의 대표로서 해병대사령관을 보좌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해병대사령부주임원사이다.


2. 상세[편집]


1957년 윤길용 주임상사가 초대 해병대 주임원사로 취임한 이후 지금까지 유지되고있다.

해병대주임원사는 국군 부사관 의전서열 8위이다.[1] 의전준장급에 준하는 예우를 받는다.

해병대주임원사 임명은 해병대사령관이 직접 임명한다.


3. 역대 해병대주임원사[편집]


파일:해병대사령부.pn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fd,#330000><width=20%><color=#373a3c> 초대
윤길용 ||<width=20%> 2대
박병화 ||<width=20%> 3대
이우섭 ||<width=20%> 4대
김원호 ||<width=20%> 5대
변인철 ||
|| 6대
노석조 || 7대
김두혁 || 8대
김창현 || 9대
이춘옥 || 10대
조기락 ||
|| 11대
김무덕 || 12대
김강흥 || 13대
김태숙 || 14대
황병호 || 15대
이태우 ||
|| 16대
서정도 || 17대
곽광섭 || 18대
송연근 || 19대
현대인 || 20대
서인호 ||
|| 21대
정용문 || 22대
박종옥 || 23대
박규철 || 24대
이정삼 || 25대
이경웅 ||
|| 26대
전종익 || 27대
양병장 || || || ||
||<-5><bgcolor=#cc101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대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역대사진이름계급임관재임기간기타
초대파일:1대 윤길용.jpg윤길용해군신병 10기1957. 02. 23. ~ 1961. 07. 24.[2]
2대파일:2대 박병화.jpg박병화해군신병 10기1964. 07. 20. ~ 1968. 03. 07.[3]
3대파일:3대 이우섭.jpg이우섭해군신병 7기1968. 03. 08. ~ 1972. 03. 12.[4]
4대파일:4대 김원호.jpg김원호해군신병 7기1972. 03. 13. ~ 1973. 05. 30.[5]
5대파일:5대 변인철.jpg변인철해병신병 1기1973. 05. 31. ~ 1973. 10. 09.[6]
6대파일:6대 노석조.jpg노석조해병신병 7기1973. 10. 10. ~ 1975. 03. 14.[7]
7대파일:7대 김두혁.jpg김두혁해병신병 4기1975. 03. 15. ~ 1976. 09. 19.[8]
8대파일:8대 김창현.jpg김창현해병신병 14기1976. 09. 20. ~ 1978. 05. 21.[9]
9대파일:9대 이춘옥.jpg이춘옥해병신병 14기1978. 05. 22. ~ 1979. 04. 10.[10]
10대파일:10대 조기락.jpg조기락해병신병 61기1979. 04. 11. ~ 1980. 05. 31.[11]
11대파일:11대 김무덕.jpg김무덕해병학교대 2기1980. 06. 01. ~ 1981. 05. 31.[12]
12대파일:12대 김강홍.jpg김강흥해병학교대 3기1981. 06. 01. ~ 1989. 07. 31.[13]
13대파일:13대 김태숙.jpg김태숙해병학교대 18기1989. 08. 01. ~ 1992. 12. 10.[14][15]
14대파일:14대 황병호.jpg황병호해병학교대 33기1992. 12. 11. ~ 1996. 01. 10.[16]
15대파일:15대 이태우.jpg이태우원사해병학교대 38기1996. 01. 11. ~ 1998. 07. 22.[17]
16대파일:16대 서정도.jpg서정도원사해병단기 6기1998. 07. 23. ~ 2000. 06. 29.[18]
17대파일:17대 곽광섭.jpg곽광섭원사해병단기 20기2000. 06. 30. ~ 2003. 09. 01.[19][20]
18대파일:18대 송연근.jpg송연근원사해병학교대 79기2003. 09. 02. ~ 2006. 06. 26.[21]
19대파일:19대 현대인.jpg현대인원사해병학교대 99기2006. 06. 27. ~ 2008. 06. 18.[22]
20대파일:20대 서인호.jpg서인호원사해병하후 110기2008. 06. 19. ~ 2010. 07. 28.[23]
21대파일:21대 정용문.jpg정용문원사해병하후 126기2010. 07. 29. ~ 2011. 12. 25.[24]
22대파일:22대 박정옥.jpg박정옥원사해병하후 135기2011. 12. 26. ~ 2013. 10. 30.[25]
23대파일:23대 박규철.jpg박규철원사해병하후 151기2013. 10. 31. ~ 2014. 07. 31.[26]
24대파일:24대 이정삼.jpg이정삼원사해병하후 169기2014. 08. 12. ~ 2015. 04. 29.[27]
25대파일:25대 이경웅.jpg이경웅원사해병하후 154기2015. 04. 30. ~ 2017. 09. 20.[28]
26대파일:26대 전종익.jpg전종익원사해병하후 167기2017. 09. 21. ~ 2019. 12. 30.[29]
27대파일:양병장 원사.jpg양병장원사해병부후 180기2019. 12. 31. ~ 2022. 02. 25.
28대파일:이제룡 해병 원사.jpg이제룡원사해병부후 193기2022. 02. 25. ~ 현재



4. 관련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의 주임원사 파일:원사 계급장.png
파일:army_mark_2.png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합참주임원사대한민국 육군주임원사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
{{{#ffffff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
}}}
]]
대한민국 공군주임원사
※ 둘러보기: 대한민국 참모총장 · 대한민국 참모차장 · 대한민국 주임원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8:10:26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해병대주임원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사관 서열 1위는 합참주임원사[2] 1948년 5월 27일 / 입대[3] 1948년 5월 27일 / 입대[4] 1947년 5월 15일 / 입대[5] 1947년 5월 15일 / 입대[6] 1949년 4월 5일 / 입대[7] 1951년 4월 1일 / 입대[8] 1950년 8월 30일 / 입대[9] 1952년 1월 17일 / 입대[10] 1952년 1월 17일 / 입대[11] 1956년 9월 10일 / 입대[12] 1956년 9월 10일 / 입대[13] 1957년 3월 4일 / 입대[14] 1958년 4월 7일 / 입대[15] 1991년 1월 14일 국군병영생활규정을 제정 공포하여 제3조 4항에 최초로 하사관을 간부라고 규정[16] 1961년 3월 6일 / 입대[17] 1963년 6월 3일 / 입대[18] 1963년 11월 4일 / 입대[19] 1967년 3월 6일 / 입대[20] 2000년 12월 26일 법률 제9002호에 따라 하사관을 부사관으로 공포, 2001년 3월 27일 하사관을 부사관으로 명칭하고 부사관의날로 제정[21] 1970년 6월 1일 / 입대[22] 1972년 11월 6일 / 입대[23] 1974년 6월 10일 / 입대[24] 1976년 12월 16일 / 입대[25] 1978년 6월 26일 / 입대[26] 1981년 7월 15일 / 입대[27] 1984년 4월 12일 / 입대[28] 1981년 8월 13일 / 입대[29] 1983년 12월 8일 / 입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