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대한민국 해군본부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설명과 타국의 사례에 대한 내용은 해군주임원사 문서
해군주임원사번 문단을
해군주임원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fd,#330000><width=20%><color=#373a3c> 초대
박용철 ||<width=20%> 2대
김기환 ||<width=20%> 3대
원석조 ||<width=20%> 4대
강해수 ||<width=20%> 5대
조이준 ||
|| 6대
김용만 || 7대
문희동 || 8대
민춘기 || 9대
김정환 || 10대
이희욱 ||
|| 11대
문태호 || 12대
유영근 || 13대
문영호 || 14대
김석범 || 15대
장영석 ||
|| 16대
한일호 || 17대
김천용 || 18대
안광오 || 19대
정도일 || 20대
고선희 ||
|| 21대
엄하일 || || || || ||
||<-5> ||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大韓民國 海軍主任元士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Republic of Korea Navy
[1]
파일:엄하일 해군원사.jpg
원사[2] 엄하일 (제21대)
취임일2023년 4월 21일
임관해군 부사관후보생 128기
관사계룡대 공관

1. 개요
2. 상세
3. 역대 해군주임원사
4. 관련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대한민국 해군부사관 및 병의 대표로서 해군참모총장을 보좌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해군본부주임원사이다.


2. 상세[편집]


1967년 11월 01일 박용철 상사가 초대 주임상사로 취임한 이후 1994년 현 부사관 계급체계가 정립되며 직책 명칭을 ‘해군주임원사’로 변경했다.

해군주임원사는 국군 부사관 의전서열 3위이다.[3] 의전소장급 예우를 받는다.

해군주임원사 임명은 해군참모총장이 직접 임명한다.

미 해군과 달리 계급장은 일반 원사와 동일하나, 휘장을 패용하는 것은 미 해군과 같다. 관련 블로그


3. 역대 해군주임원사[편집]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fd,#330000><width=20%><color=#373a3c> 초대
박용철 ||<width=20%> 2대
김기환 ||<width=20%> 3대
원석조 ||<width=20%> 4대
강해수 ||<width=20%> 5대
조이준 ||
|| 6대
김용만 || 7대
문희동 || 8대
민춘기 || 9대
김정환 || 10대
이희욱 ||
|| 11대
문태호 || 12대
유영근 || 13대
문영호 || 14대
김석범 || 15대
장영석 ||
|| 16대
한일호 || 17대
김천용 || 18대
안광오 || 19대
정도일 || 20대
고선희 ||
|| 21대
엄하일 || || || || ||
||<-5> ||




역대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역대사진이름계급임관재임기간기타
초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박용철상사[4]1967. 11. 01. ~ 1969. 11. 06.
2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김기환상사[5]1969. 11. 07. ~ 1973. 04. 10.
3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원석조상사[6]1973. 04. 11. ~ 1975. 02. 20.
4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강해수상사[7]1975. 02. 21. ~ 1978. 04. 14.
5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조이준상사[8]1978. 04. 15. ~ 1980. 11. 20.
6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김용만상사[9]1980. 11. 21. ~ 1989. 02. 21.
7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문희동상사[10]1989. 02. 22. ~ 1989. 09. 10.
8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민춘기상사[11]1989. 09. 11. ~ 1991. 10. 06.
9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김정환일상[12]1991. 10. 07. ~ 1993. 08. 24.
10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이희욱원사[13]1993. 08. 25. ~ 1997. 04. 17.
11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문태호원사[14]1997. 04. 18. ~ 2001. 09. 14.
12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유영근원사[15]해군부후 15기2001. 09. 15. ~ 2005. 11. 29.
13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문영호원사[16]해군부후 24기[17]2005. 11. 29. ~ 2007. 03. 08.
14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김석범원사[18]2007. 03. 09. ~ 2011. 02. 09.
15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장영석원사[19]2011. 02. 10. ~ 2011. 12. 14.
16대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한일호원사[20]해군부후 79기2011. 12. 14. ~ 2013. 11. 27.
17대파일:external/www.gnnews.co.kr/img_210300_1.jpg김천용원사[21]해군부후 84기[22]2013. 11. 28. ~ 2016. 12. 20.[23]
18대파일:안광오 원사.png안광오원사[24]해군부후 100기[25]2016. 12. 21. ~ 2020. 01. 06.
19대파일:정도일 원사.png정도일원사[26]해군부후 121기[27]2020. 01. 07. ~ 2022. 06. 22.[28]
20대파일:20대 주임원사 고선희.jpg고선희원사[29]해군부후 141기2022. 06. 23. ~ 2023. 04. 20.
21대파일:엄하일 해군원사.jpg엄하일원사[30]해군부후 128기2023. 04. 21. ~ 현재



4. 관련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 주임원사 파일:원사 계급장.svg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합참주임원사육군주임원사해군주임원사
해병대주임원사
공군주임원사
※ 둘러보기: 대한민국 참모총장 · 대한민국 참모차장 · 대한민국 주임원사



[1] 영문 직책명은 미 해군에서 유래.[2] 무장원사[3] 부사관 서열 1위는 합참주임원사 2위는 육군주임원사이다.[4] 행정[5] 갑판[6] 음탐[7] 갑판[8] 갑판[9] 병기[10] 갑판[11] 보수[12] 보수[13] 내연[14] 내연[15] 내연[16] 전탐[17] 전탐부사관이었으며 해군본부 주임원사 직전 보직은 해군대학 주임원사였다.[18] 조타[19] 병기[20] 조타[21] 음탐[22] 음탐부사관[23] 1983년 임관했다. 음탐부사관으로 잠수함에서 근무했다. 아버지인 김병옥 옹은 육군 소속으로 한국전쟁베트남전에 참전했다.# 2013년 11월 27일에 취임하였지만 2016년 12월 23일에 이임하였다.[24] 음탐[25] 음탐부사관[26] 정통[27] 통신부사관[28] 향로봉함 통신장, 해군기초군사교육단 훈련교관, 문무대왕함 통신장, 해군정보통신학교 교관, 정보체계관리단 주임원사를 역임했다.[29] 사통[30] 무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해군주임원사
해군주임원사
문서의 r10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2:44:23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