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산 버스 814

덤프버전 :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14번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81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8104.png
기점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대구대정문)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진밭골주차장)
종점행첫차05:36기점행첫차[평일, 공휴일] 05:30 / [토요일] 05:34
막차[평일] 22:30 / [토요일] 22:20 / [공휴일] 22:11막차[평일, 토요일] 22:18 / [공휴일] 22:20
평일배차8분주말배차11분
운수사명경북교통, 세진교통, 대화교통인가대수29대[1][2]
노선대구대종점 - 하양초교 - 경일대호산대 - 안심역 - 반야월시장 - (용계역 →/← 강변동서마을) - 망우당공원 - 동구청 - 동대구역 - 법원 - 황금네거리 - TBC - 대구광역시경찰청 - 진밭골주차장

중간 출발 정류소
범물2동 방면우방강촌마을, 각산태영데시앙평일, 토요일, 송정삼거리
대구대 방면동구청, 법원, TBC


2. 개요[편집]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대구대학교(8)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4동 동대구역(1)을 거쳐 수성구 범물2동 진밭골주차장(4)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이자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6.06km. 전체 정류장 목록, 노선도


3. 역사[편집]


【당시 경유 구간】
【망우당공원 ~ 효목네거리 ~ 동구시장입구 ~ 동부정류장 ~ 고속터미널 ~ 동대구역 ~ 파티마병원 ~ 공고네거리 ~ 동신초교 ~ 신천역 ~ 청구네거리 ~ 신천시장 ~ 수성태영데시앙 ~ 수성네거리 ~ 범어역 ~ 수성구청 ~ 만촌역(만촌육교) ~ 우방청솔맨션 ~ 동도중학교, 정화여고입구 ~ 국립대구박물관 ~ 경북고교정문 ~ 캐슬골드파크 ~ 성동초교 ~ 황금네거리】

수성네거리 좌회전 신호 문제 때문에 대구대학교에서 범물두성타운으로 갈 때 수성네거리에서 수성시장으로 내려와 궁전맨션으로 돌아서 범어역으로 갔고, 대구대학교로 갈 때에는 범어역에서 수성네거리로 직진하여 신천시장으로 들어갔다. 따라서 궁전맨션과 황금네거리 사이는 굉장히 굴곡이 심했다. 당시 노선은 현재의 통합 814번과 달리 기종점만 같고, 범어역 갔다가 만촌역 갔다가 경고정문에서 황금네거리로 내려오는, 왔다갔다하는 선형 때문에 엄청나게 돌아서 가는 노선이었다. 1998년 신설 초기에는 814번은 10대가 25분 간격, 814-1번은 11대가 19분 간격으로 운행했다.[5]













4. 특징[편집]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14번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81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16,801명-
2015년16,277명▽ 524
2016년16,127명▽ 150
2017년15,784명▽ 343
2018년13,981명▽ 1,803
2019년14,282명△ 301
2020년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9,586명[25]▽ 4,696
2022년12,599명△ 3,013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8권역
(경산)
급행5518-1708814818 · 818-1
808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309449509609649
719840909939980
849-1100 · 100-1399990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32:45에 나무위키 대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북교통 14대 / 세진교통 12대 / 대화교통 3대[2] 토요일 26대 / 공휴일 23대 운행[3] 공고네거리 ~ 동산병원[4] 범어네거리 ~ 범물동[5] 1980년대 고정배차 시절 33번 노선은 한일운수에서, 85번 노선은 국일여객, 세한여객에서 운행했다.[6] 욱수동 - 남부정류장 - 범어역 - 어린이회관(현 어린이세상) - 대구광역시경찰청 - 범물두성타운. 949번이 운행했던 구간 중 '범어역 - 범물두성타운' 구간이 814-1번과 동일했으며, 이 노선은 고모역과 가천동을 풀 타임으로 운행했다.[7] 일명 13번 도로라고 불리는 구 13번 버스가 다녔던 길로, 망우당네거리와 아양교역을 연결하는 길이다. 대구일마이스터고교, 효동초교 구간이다.[8] 당시 양 방향으로 동촌 구길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2006년 개편 전까지 618번은 반야월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만 동촌 구길을 편도 경유했기 때문이다.[9] 당시 849번은 순환형 노선이 아니었다.[10] 사실상 경북교통의 1등 주력 노선이다.[11] 818번의 휴차로 인해 518-1번도 이용률이 조금 올라갔다.[12] 보통은 4~7위 사이에 있는 노선이다.[13] 808번은 금호행만 화랑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배차간격 문제가 있고, 북구3번은 배차간격은 물론 율하지구 경유로 인해 소요시간에서도 문제가 있다.[14] 대구대학교 쪽으로 가장 먼저 저상버스를 들어온 노선은 840번이며, 경산버스에서 투입했다.[15] 2015년 개편 때 수성4번이 신설되면서 두 개로 늘었으나, 2016년 3월 21일 자로 수성4번이 용지역으로 변경되어 다시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16] 경산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의무화된 곳이 아니다.[17] 급행5번 경북교통 기사 교대도 각산네거리에서 실시한다. 경북교통의 차고지는 각산네거리 남쪽에 있다. 급행5번 세진교통 기사 교대는 814번과 달리 은하타운에서 실시한다.[18] 724번에 들어갔던 블루시티 2대는 2017년 2월 12일에 모두 수성3-1번으로 차돌리기가 이루졌으며, 2018년 2월에는 564번의 블루시티도 수성3-1번으로 차돌리기가 이뤄졌다. 세진교통 다음으로 블루시티를 도입한 달구벌버스 역시 2019년 4월에 블루시티가 모두 지선으로 이동했다.[19] 818번과 55, 555번은 각각 경산, 영천 시내버스이다.[20] 해당 503번의 블루시티는 2021년 7월 31일 달서1번으로 이동하였다.[21] 2021년 현재 간선 노선의 블루시티는 대명교통650번만 유일하게 남았다.[22] 대구대 종착 노선들은 모두 대구대학교 종점에서 장기정차하지만, 급행5번만 유일하게 주로 하양에서 가스를 충전하지 않는다. 다만 급행5번 경북교통, 세진교통 일부 차량들도 용천리CNG충전소에서 가스를 충전하기도 한다.[23] 하지만 범물동은 단기 회차지 인지라 특별한 상황 아닌 이상 용천리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24] 509번, 708번, 814번, 840번, 939번[25]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26] 대구대 방면은 강변동서마을 정류소를 이용해야 한다.[27] 그랜드호텔 정류소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