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버스 수성2

덤프버전 :

||


파일:우창수성2뉴비.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2(본선)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시지종점)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동(오성아파트)
종점행첫차05:35기점행첫차06:00
막차22:32막차22:57
배차간격1일 8회
운수사명우창여객인가대수통합 1대
노선시지(종점) - 신매초교 - 고산2동 행정복지센터 - 가천동 - _고모역 - 팔현마을 - 고모역_- 연호역[A]
_※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잘 확인하고 승차해야 한다._

【가지노선 접기/펼치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2(연호동 방면)
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1동(시지종점)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동(연호동)
종점행첫차09:20기점행첫차09:52
막차18:51막차19:23
배차간격1일 3회
운수사명우창여객인가대수통합 1대
노선시지종점 - 신매초교 - 고산2동 행정복지센터 - 가천동 - _고모역 - 팔현마을 - 고모역_ - 연호역[A] - 연호동
_※ 기울인 글씨에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잘 확인하고 승차해야 한다._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2(이천동 방면)
기점대구광역시 수성구 고산1동(시지종점)종점대구광역시 수성구 이천동(이천동)
종점행첫차07:36기점행첫차08:13
막차17:07막차17:44
배차간격1일 3회
운수사명우창여객인가대수통합 1대
노선시지종점 - 신매초교 - 고산2동 행정복지센터 - 가천동 - _고모역 - 팔현마을 - 고모역_ - 연호역[A] - 이천동
_※ 기울인 글씨에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잘 확인하고 승차해야 한다._
[A] A B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본선, 연호 경유, 이천 경유)


3. 역사[편집]


  • 2012년 2월 개편 때 849(-1)번의 '매여동 - 고모동, 팔현마을' 가지노선을 분리하여 만든 노선이다. 관련 게시물 운행대수와 시간표는 849번 시간표를 그대로 사용했다.

  • 2012년 7월 16일부터 연호네거리(오성아파트)에서 이천동연호동 안쪽을 각각 하루 3회 운행한다. 이 노선이 849(-1)번에서 분리되면서 버스 안내 노선도에서 괴랄하게 그려져 있던 849(-1)번 버스 안내도[1]#도 이제 알아볼 수 있게 되었다.

  • 혁신도시 의료연구개발특구 경유 및 노선 분할이 결정되어 2017년 10월 23일에 '방공포병학교 - 만촌네거리 - 효목네거리 - 용계삼거리' 구간을 단축하고 '용계삼거리 - 반야월저탄장 - 대구그린파워 - 매여동저탄장' 구간을 동구5번으로 분리했다. 대구광역시 공지사항 이로써 수성2번과 849(-1)번 본선은 사실상 어떠한 연관도 없는 노선이 됐다.


4. 특징[편집]


  • 시간대에 따라 연호네거리에서 이천동이나 연호동까지 연장운행한다.
  • 여담으로, 수성구 지선버스들 중에서 유일하게 지산범물지구, 두산동,[2] 황금동, 범어동으로 가지 않는다.
  • 연호역부터 범안대교하단까지는 범안로를 운행하지만 자동차전용도로인 본선이 아닌 본선 옆 측도 구간을 운행한다. 그래서 수성3번과 달리 고모요금소를 경유하지 않는다.

4.1. 시간표[편집]



시지(출발)팔현마을연호네거리(이천/연호)연호네거리팔현마을시지(도착)
05:3505:5506:00-06:0006:0506:25
06:3506:5507:00-07:0007:0607:26
07:3607:5808:0408:13 이천08:2208:2808:53
09:2009:4209:4809:52 연호09:5610:0110:26
10:4611:0811:1311:22 이천11:3111:3612:01
12:2112:4312:4812:52 연호12:5613:0113:26
13:4614:0814:13-14:1314:1814:43
14:5315:1515:20-15:2015:2515:50
16:0016:2216:27-16:2716:3216:57
17:0717:2917:3517:44 이천17:5317:5918:24
18:5119:1319:1919:23 연호19:2719:3319:58
20:1820:4020:45-20:4520:5021:15
21:2521:4721:52-21:5221:5722:22
22:3222:5222:57----


4.2. 일평균 승차량[편집]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2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95명268명264명262명76명109명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 펼치기 · 접기 ]

401가창2달성2달성5
성서2성서3수성2칠곡3
팔공1
{{{-2 비고 * 2023년도 기준 9개 노선 68대(승인 절차 진행 전임.) * 부정기노선는 목록에서 제외 *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
* 현재 9개 노선 중 6개 노선이 저상투입 실사완료(저상운행가능). 401번, 팔공1번, 성서2번은 조사 진행 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08:31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수성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정류소 이름은 오성아파트(종점 방면), 고모동입구(기점 방면)[1] 기존 849(-1)번 안내도는 본선과 분리 노선을 같이 그리려다 보니 H모양의 노선도가 그려져 있었다.[2] 수성1(-1)번, 수성3(-1)번의 경우 한샘교회 정류장이 두산동 소재이고, 수성4번의 경우 범물동 방향의 SK리더스뷰, 들안길초등학교 정류장이 두산동 소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