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농업기술센터

덤프버전 :

||



1. 개요
2. 부속 시설
3. 조직도 및 부서별 역할
4. 농업인상담소별 관할 지역
5. 연혁
6.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산하 농업기술센터이다.


2. 부속 시설[편집]




3. 조직도 및 부서별 역할[편집]



4. 농업인상담소별 관할 지역[편집]


동서부상담소다사읍 · 하빈면 · 가창면
남부상담소현풍읍 · 유가읍 · 구지면
센터 직할(중부지역)화원읍 · 옥포읍 · 논공읍

동서부지역상담소측 지역은 모두 달성군월경지 지역이다. 다사읍하빈면월경지이고 가창면실질월경지이다.

5. 연혁[편집]


1958.03.25 : 경상북도 달성군 농사교도소 설치(서구 내당동)
1962.03.21 : 경상북도 달성군 농촌지도소로 개칭
1964.04.01 : 지구지소 6개소(공산[1], 가창, 다사, 월배[2], 현풍, 유가)
1975.01.01 : 1면 1지소설치(12개소)
1989.04.07 : 농촌지도소 직제개편으로 지소를 본소에 통합
1990.01.01 : 2과 12계 설치
1992.10.05 : 9개 읍·면 상담소 설치
1993.10.26 : 2과 8계 설치
1998.08.31 : 농업기술센터로 개칭
1998.10.01 : 1담당관 6담당 9읍면 상담지도사 배치
2000.07.28 : 달성군 옥포면[3] 교향리로 현청사로 이전
2003.03.31 : 1기술담당관 4담당 9읍면 상담지도사 배치
2004.12.26 : 1기술담당관 7담당 6읍면 상담지도사 배치
2006.07.07 : 1기술담당관 7담당 3지구 상담소 배치
2007.03.02 : 직제개편으로 농업행정업무와 통합2과 10담당 3지구상담소
2011.09.05 : 부서명칭변경(농축산과→농업정책과)(기술지원과→농촌지도과)
2013.06.01 : 직제개편으로 농업행정업무와 분리 (1과 7담당 3지구상담소)
2015.07.01 : 1과장 7담당 2상담소지도사 배치

6. 이용가능한 대중교통[편집]



6.1. 광역전철[편집]




6.2. 시내버스[편집]


버스정류장교향리앞 / 교향리건너
간선
600 · 623 · 655
지선
달성2[4]
급행
급행4
농어촌(고령)60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30:31에 나무위키 달성군농업기술센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으로 편입[2] 현재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지구로 편입[3]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예정] 2028년 개통[4] 노이리/달성군청행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