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진수(1979)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군>
74 조성환 · 75 김한수 · 77 이승엽 [[감독#s-1.1|
{{{#white }}}
]] · 78 세리자와
79 박정배 · 82 권명철 · 89 고토 · # 조웅천
# 김동한 · # 박흥식 · # 조인성 · # 가득염
<2군>
# 김지용 · 71 이도형 · 72 조경택 · 76 이정훈
80 김진수 · 84 김상진 · 88 정진호 · 91 이영수
<재활/잔류군>
86 강석천
<트레이닝>
1군 천종민 · 조광희 · 유종수
2군 87 이광우
{{{#ffffff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군입대선수등록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김진수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ffffff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47번}}}
김경환
(1993~1997)
김진수
(1998~2003)
강민호
(2005~2017)
{{{#ffffff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2번}}}
이계성
(2001~2005)
김진수
(2006~2006.5.16.)
이승준
(2006.5.17.~2006)
{{{#fff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33번}}}
이승준
(2005~2006.5.16.)
김진수
(2006.5.17.~2006)
채상병
(2007~2009.7.15.)
{{{#fff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12번}}}
강인권
(2002~2006)
김진수
(2007~2009)
박민석
(2011)
{{{#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80번}}}
김태형
(2002~2011)
김진수
(2012~)
현역

파일:23김진수코치.png
두산 베어스 No.80
김진수
金昣秀 | Kim Jin-Soo
출생1979년 4월 19일 (45세)
부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양정초 - 개성중 - 경남고 - 대불대
신체180cm, 90kg, O형
포지션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 입단1998년 고졸우선지명 (롯데)
소속팀롯데 자이언츠 (1998~2006)
두산 베어스 (2006~2009)
지도자상무 피닉스 야구단 배터리코치 (2010~2011)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코치 (2012~2014)[1]
두산 베어스 1군 배터리코치 (2014)[2]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코치 (2015~2017)
두산 베어스 잔류군 코치 (2018~2021)[3]
두산 베어스 1군 배터리코치 (2021)[4]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코치 (2021)[5]
두산 베어스 1군 배터리코치 (2022)[6]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코치 (2022~)[7]
병역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4~2005)
파일:두산 베어스 홈 심볼.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두산 베어스 2군 배터리 코치.


2. 선수 경력[편집]



파일:external/sports.donga.com/20399741.1.jp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1999~2009).svg 두산 베어스 선수시절

롯데 자이언츠의 고졸우선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지만 상무에서 제대한 후에도 기회를 잡지 못해 2006년 시즌 중 이승준, 최경환을 상대로 최준석과 함께 두산 베어스에 트레이드되었다.

당시 두산의 포수자원이 부족했던 탓에 홍성흔의 백업 멤버로 영입되었고, 2007년에는 홍성흔이 부진하며 군에서 전역한 채상병과 함께 출전 기회를 꽤 얻었다. 그러나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결국 2008년 홍성흔이 지명타자로 완전히 전향한 후 최승환이 영입되며 3옵션 포수로 밀렸다. 그리고 2009년 용덕한이 전역하며 팀의 4번째 포수까지 밀렸다. 채상병이 7월 삼성 라이온즈로 가서 이젠 팀의 3번째 포수가 되었다.

여담으로 2009년 6월 17일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9회말에 끝내기 안타를 쳤다. 참고로 상대 투수는 한기주.


3. 지도자 경력[편집]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readtop_2012_635974_1349244962742657.jpg
2군 배터리 코치가 된 김진수 코치,
오른쪽은 상무에서 함께했던 삼성 포수 이지영.

2009 시즌을 마치고 자신이 복무했던 상무 피닉스 야구단의 코치 제안을 받아 2010년 1월에 은퇴를 선언하고,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2012년부터는 두산 베어스의 배터리 코치를 맡는다고 한다.

그렇게 2군에서 지내던 중 2014년 6월 24일자로 강성우 배터리코치와 자리를 맞바꿨다. 아직 보도자료는 없지만 최근 투수진의 부진 때문에 1,2군 코치를 맞바꾸는 인사이동을 감행한 것으로 보인다.

2014 시즌 후 강인권이 두산 1군 배터리코치로 오면서 다시 2군 배터리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 자칭 명포수가 오면서 밀리는게 아닌가 했지만 조경택이 재활코치로 갔다.

2018 시즌에는 재활/잔류군 배터리코치를 맡는다. 1군 배터리코치는 조인성이, 2군 배터리코치는 조경택이 맡는다.

2021년 6월 15일 김지훈 코치와 보직을 맞바꿔서 오랜만에 1군 배터리코치로 올라왔다. 그러다가 2022년 6월 1일 다시 조경택과 보직을 바꿔 2군 배터리코치로 내려갔다.


4.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출루율장타율
1998롯데3.000000000001.000.000
19991군 기록 없음
2000
200122.211401023026.286.316
20021군 기록 없음
2003
2004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5
연도소속팀경기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삼진출루율장타율
2006롯데 / 두산17.278510032123.350.333
2007두산45.1567100011114.174.178
20085.000000000001.000.000
200930.2588100130414.343.290
KBO 통산
(6시즌)
122.20324310692939.260.246

5. 관련 문서[편집]


[1] ~6월 24일[2] 6월 25일~[3] ~6월 14일[4] 6월 15일~10월 25일[5] 10월 26일~[6] ~5월 31일[7] 6월 1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15:44:01에 나무위키 김진수(197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