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마산병원

덤프버전 :




국군마산병원
國軍馬山病院
Armed Force Masan Hospital
파일:attachment/medcmd.jpg
부대훈
약칭마산병원
별칭
창설1954년
해체2009년
초대 병원장예) 대령 000(군의00기)
해체 전 병원장예) 대령 000(군의00기)
상급부대국군의무사령부
위치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죽헌로 72 (임곡리)


1. 개요
2. 상세
3. 진료 과목
4. 근무 환경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군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국군마산병원. 1954년에 창설하였으나 2009년 해체되었으며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임곡리에 위치했던 국군병원이었다.


2. 상세[편집]


한때 '마산국군통합병원'이라고 부르던 곳으로 지역 내에서는 아직도 마통이라고 일컫는다. 국군 창설 당시부터 있었던 시설로 유래는 19세기말(!) 러시아 조계지를 빼앗아 일본 국유지화한 월영리-가포리 일대에 주둔했던 일본 육군의 군병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이 일본 육군 마산병원을 포함, 가포리 일대가 일본의 행정력이 미치던 영역(본토+식민지) 내 가장 큰 결핵요양시설이었다.

해방 이후에는 일본군의 군사시설을 국군이 접수하였고 1954년 국군의무사령부가 바로 여기에서 창설되었다. 6.25 당시에는 낙동강 전선의 최전방 야전병원 기능을 수행했고 이후에도 후방 군 의료시설 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곳이었다. 이후 1990년대 말 국군마산병원 부지를 아파트로 개발하는 '월영마을 사업'으로 인해 진전면 임곡리로 이전하였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중환자는 후방인 마통으로 수송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마산역에 병원차[1]가 뜨는 날에는 이 곳에서 근무하는 공익근무요원들이 헬게이트가 열렸다는 말이 있다.

월영마을 연못공원에 적혀있는 아래의 글에서도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파일:마산국군병원 기념비.jpg

3. 진료 과목[편집]


  • 내과
  • 신경과
  • 정신건강의학과
  • 피부과
  • 외과
  • 흉부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비뇨기과
  • 마취통증의학과
  • 영상의학과
  • 임상병리과
  • 치과


4. 근무 환경[편집]


눈이 오지 않는 곳이기 때문에 육군 장병들에게는 파라다이스나 다름없다(...) --다만 제39보병사단은 후방이라 널널할거라는 인식과 다르게 인근의 해군식 제식으로 빡세게 굴린다.

해체 당시 복무 중이던 기간장병은 일부 잔류관리인력을 제외하고 타 부대로 전출되었다고 한다. 그 잔류관리인력들은 '국군부산병원 마산잔류대'로 전원 재배치되어 병원 터를 지키다가, 2012년 1월 1일부터 타 부대(39사단으로 추정되나 확인 바람)가 경계근무를 맡게되어 전원 국군부산병원 본부근무대로 이전하게 되었다. (그렇게 빽태클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5. 여담[편집]


  • 부대 해체 후 2009년부터 터로만 자리잡고 있던 이 부지를 천주교 마산교구가 매입하여 마산병원 부지에 교구청을 짓는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30:10에 나무위키 국군마산병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무궁화호 침대차를 개조한 물건. 침대차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창문의 폭 등 세부 부분에서 다르다. 국군의무사령부 항목 하단의 '국군병원열차대' 부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