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획증후군

덤프버전 :

구획증후군
Compartment Syndrome
이명칸증후군
국제질병분류기호
(ICD-10)
M62.2[1], T79.6[2]
의학주제표목
(MeSH)
D003161
관련 증상무맥, 창백, 환부 통증, 마비
관련 질병피부근육염, 대퇴 골절, 경골비골골절, 원위 요골척골골절, 감염성 근육염, 동상. 병리적 골절, 자간증, 자간전증, 혈우병, 팔죽지 골절

1. 개요
2. 증상 및 원인
3. 진단과 검사
4. 치료와 예방
5. 경과와 합병증
6. 사례



1. 개요[편집]


Compartment syndrome /

이나 다리의 근막이나 뼈사이막 등으로 나누어진 부분들을 구획(compartment)이라고 한다. 이 구획의 내부 압력이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그 구획 내에 있는 모든 근육, 관절 등의 조직의 혈액과 림프순환이 느려지며 병적 증상이 발생하며, 이를 구획증후군 또는 칸증후군이라고 부른다. 급성과 만성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2. 증상 및 원인[편집]


다양한 이유로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염증으로 인해 삼출이 일어나거나, 그로 인해 부종이 발생해 구획 내에 조직액이 차오르는 경우, 외상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구획 내에 혈액이나 조직액이 차오르면 내부 압력이 증가한다. 이러면 압력이 증가한 칸 내부로의 림프와 혈액 흐름이 멈추어 괴사를 일으킬 수 있다.

말초동맥폐색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그 증상은 다음과 같다.


3. 진단과 검사[편집]




4. 치료와 예방[편집]


근육의 괴사를 막기 위해 위급한 경우 각각의 구획을 나누고 있는 단단한 근막을 근막절개술(fasciotomy)로 잘라내어, 안에 꽉 찬 액체를 빼내 내부 압력을 낮춰야 한다. 혈관이 파열된 경우 혈관의 재건 역시 같이 실시한다. 정형외과에서는 응급으로 간주되는 질환이기에 최대한 빨리 시행해야 한다. 안 그러면 영향을 받은 영역의 조직이 괴사되어 최악의 경우 괴사 부위 전체를 절단해야 할 수 있다. 무거운 것에 깔린 사고를 당한 사람들 중 몇몇은 깔린 부위를 절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다.

5. 경과와 합병증[편집]




6. 사례[편집]


배우 문근영이 급성 구획증후군을 앓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26:08에 나무위키 구획증후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외상이 없는 경우.[2] 외상으로 인해 생긴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