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총학생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려대학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종캠퍼스의 총학생회에 대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총학생회 문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총학생회번 문단을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총학생회# 부분을
, 고려대생들의 학생운동에 대한 내용은 고려대학교/학생운동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압제를 불살라라 民族高大여

고려대학교 총학생회[1]


1. 개요
2. 구성
2.1. 의결기구
2.1.1. 학생총회
2.1.2. 학생총투표
2.1.3. 전체학생대표자회의
2.1.3.1.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산하 위원회
2.1.4. 중앙운영위원회
2.1.4.1.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인권침해사건대책위원회
2.1.5. 중앙비상대책위원회
2.2. 집행기구
2.2.1. 총학생회장단
2.2.2. 중앙집행위원회
2.3. 산하기구
2.4. 특별기구
2.4.1. 민주학생기념사업회(총복학생협의회)
2.4.2. 생활도서관
2.4.3. 소수자인권위원회
2.4.4. 애기능생활도서관
2.4.5. 여학생위원회
2.4.6. 응원단
2.4.7. 장애인권위원회
2.4.8. 체육국
2.4.9. 편입생위원회
2.4.10. 학생복지위원회
3. 언론기구
3.1. 학교 소속 언론기구
3.2. 자치언론협의회
4. 역대 학생회 일람
4.1. 초대 총학생회 (1960년-1961년)
4.2. 제2대 총학생회 (1961년-1962년)
4.3. 제3대 총학생회 (1962년-1963년)
4.4. 제4대 총학생회 (1963년-1964년)
4.5. 제5대 총학생회 (1964년-1965년)
4.6. 제6대 총학생회 (1965년-1966년) [2]
4.7. 제7대 총학생회 (1966년-1967년)
4.8. 제8대 총학생회 (1967년-1968년)
4.9. 제9대 총학생회 (1968년-1969년)
4.10. 제10대 총학생회 (1969년-1970년) [3]
4.11. 제11대 총학생회 (1970년-1971년)
4.12. 제12대 총학생회 (1971년-1972년)
4.13. 제13대 총학생회 (1972년-1973년)
4.14. 제14대 총학생회 (1973년-1974년)
4.15. 제15대 총학생회 (1974년-1975년)
4.16. 제16대 총학생회 (1980년) [4][5]
4.17. 제17대 총학생회 (1984년) [6]
4.18. 제18대 총학생회 (1985년)
4.19. 제19대 총학생회 (1986년)
4.20. 제20대 총학생회 (1987년)
4.21. 제21대 총학생회 (1988년)
4.22. 제22대 총학생회 (1989년)
4.23. 제23대 총학생회 (1990년)
4.24. 제24대 총학생회 (1991년)
4.25. 제25대 총학생회 (1992년)
4.26. 제26대 총학생회 (1993년)
4.27. 제27대 총학생회 (1994년)
4.28. 제28대 총학생회 (1995년)
4.29. 제29대 총학생회 (1996년)
4.30. 제30대 총학생회 <좌파! 젊은 당신의 실천미학> (1997년)[7]
4.31. 제31대 총학생회 <직접행동> (1998년)
4.32. 제32대 총학생회 <맥박> (1999년)
4.33. 제33대 총학생회 <꼬뮤나로드> (2000년)
4.34. 제34대 총학생회 <다른 미래> (2001년)
4.35. 제35대 총학생회 <최초를 꿈꾸는 사람들> (2001년 11월~2002년 11월 29일)
4.36. 제36대 총학생회 (2002년 11월 30일~2003년 11월 27일)
4.37. 제37대 총학생회 (2003년 11월 28일~2004년 11월 29일)
4.38. 제38대 총학생회 <강한나라 강한고대> (2004년 11월 30일~2005년 11월 26일)
4.39.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권한대행 (2005년 11월 27일~2006년 4월 11일)[8]
4.40. 제39대 총학생회 <리얼리스트> (2006년 4월 12일~2006년 11월 28일)
4.41. 제40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06년 11월 29일~2007년 11월 30일)
4.42. 제41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2008> (2007년 12월 1일~2008년 12월 5일)
4.43. 제42대 총학생회 <젊은고대, 깨어나다!> (2008년 12월 6일~2009년 12월 12일)
4.44. 제43대 총학생회 <2010소통시대> (2009년 12월 13일~2010년 12월 14일)
4.45. 제44대 총학생회 <후마니타스> (2010년 12월 13일~2011년 12월 14일)
4.46. 제45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11년 12월 15일~2012년 12월 14일)
4.47. 제46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12년 12월 15일~2013년 12월 8일)
4.48. 제47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13년 12월 9일~2014년 11월 11일)
4.49. 제47대 총학생회 <지음> (2014년 12월 15일~2015년 12월 6일)
4.50. 제48대 총학생회 <별:자리> (2015년 12월 7일~2016년 12월 11일)
4.51. 제49대 총학생회 <이음줄> (2016년 12월 12일~2017년 12월 21일[9])
4.52. 제50대 총학생회 (2017년 12월 22일~2018년 12월 21일)
4.53. 제51대 총학생회 (2018년 12월 22일~2019년 12월 20일)
4.54. 중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2019년 12월 21일~2021년 12월 21일)
4.55. 제52대 총학생회 <버팀돌> (2021년 12월 22일~2022년 5월 1일) [10]
4.56. 중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2022년 5월 26일~12월 21일) [11]
4.57. 제53대 총학생회 <새솔> (2022년 12월 22일~ )


1. 개요[편집]


고려대학교 총학생회는 서울캠퍼스의 학부과정생들[12]을 전원 회원으로 두는 단체다. 이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총학생회는 모든 학부생들을 포괄하는 단체이나 일반적으로는 총학생회장단과 중앙집행위원회의 집행위원들만을 일컫는다.

참고로 일반대학원생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약칭 '원총')[13]를, 특수·전문대학원생들은 각 대학원별로 학생회를 구성하고 있다.


2. 구성[편집]


총학생회 구성
의결기구집행기구산하기구특별기구
학생총회총학생회장단단과대학·독립학부 학생회
학생총투표중앙집행위원회학부·과·반 학생회
전체학생대표자회의동아리연합회
중앙운영위원회(중앙비상대책위원회)


2.1. 의결기구[편집]


고려대학교의 학생자치와 관련하여 의결기구에 대해서 설명하는 항목이다. 총학생회칙에서는 학생자치의 의결기구들의 운영에 있어서의 민주성, 공정성, 효율성의 세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회칙에 따르면 고려대학교 총학생회장이 상위 세 의결기구(학생총회,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중앙운영위원회)의 의장이 된다.

2.1.1. 학생총회[편집]


가장 높은 수준의 의결기구(최고의결기구)로 총학생회 회원 전부를 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총학생회 회원 전부라 함은 징계나 특별한 사정으로 인하여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회원 자격을 상실한 재학생을 제외한 고려대학교의 학생 전부를 의미한다. 당연히 2만 명에 달하는 학생들이 전부 의결권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공개 토론의 형식으로 이뤄지지는 않으며 대체로 국민투표처럼 투표의 형식으로 이뤄진다. 고려대학교 학생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강제성과 권위, 정당성을 갖는 의결기구이지만 그만큼 개회하기가 어렵고 고려대학교 학생사회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는 안건에 대해서만 개회된다. 학생총회가 열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춰야 한다.
  • 전체학생대표자회의에서의 소집 요구
  •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의 재적 대의원 1/3 이상의 연서를 받은 소집 요구
  •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회원 600명 이상의 연서를 받은 소집 요구
  • 총학생회장단 탄핵안 부의

2.1.2. 학생총투표[편집]


학생총회와 똑같은 효력을 가진다.

2.1.3. 전체학생대표자회의[편집]


흔히 줄여서 '전학대회'라고 부르는 회의로, 장시간에 걸쳐 진행되기로 악명이 높다. 길 경우에는 오후 한 시에 시작해서 새벽에 끝나기도. 전학대회에서 의결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학생 대표자 자격의 대의원들인데, 여기서 학생 대표자라 함은 각 과/반 학생회장, 단과대학 학생회장, 동아리연합회 회장, 동아리연합회 분과장을 의미한다. 전학대회는 보통 학기에 1번 정도 개회되며 총학생회의 출범을 인준한다든가 특별기구들의 재심의를 하는 등의 역할을 맡는다. 학생총회보다 한 단계 낮은 수준의 의결기구이긴 하지만 사실상 학생총회는 개회될 일이 거의 없는 지라 사실상 최고의결기구라고 봐도 무방하다. 학생회칙의 개정 같은 것도 전체학생대표자회의를 통해서 진행된다. 입법부와 같은 역할을 맡는다고 보면 좋을 듯하다.

2.1.3.1.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산하 위원회[편집]

  • 전원위원회
  • 상임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결산특별위원회

2.1.4. 중앙운영위원회[편집]


흔히 줄여서 '중운위'라고 부르는 회의이다. 각 단과대학/독립학부 학생회장들과 동아리연합회 회장, 애기능동아리연합회 회장이 모여서 중요한 안건들을 의결하고 전학대회에서 의결할 안건들을 미리 심의하기도 한다. 예컨대 각 과/반 학생회가 신청하고 운영하는 예산 내역은 먼저 중운위의 예비 심사를 거친 이후에 전학대회로 상정되어 최종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전체 고려대학교 차원에서의 의결기구로서는 가장 낮은 수준의 의결기구이기는 하지만 매주 열리는 정기 회의로 인해서 가장 많은 안건을 처리하는 기구이기도 하다. 사실상 중운위에서 평소의 안건들을 의결하면 중앙집행위원회가 실행하고 크고 중요한 안건들이 모여서 전학대회로 올라가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2.1.4.1.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인권침해사건대책위원회[편집]

고려대학교에서는 회칙에 의거하여 중앙운영위원회 산하에 특별위원회를 두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안건에 대해 심의 및 연구를 맡길 수 있게 되어있다. 이것은 위에서도 살펴본 3가지 운영의 원칙 중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권침해사건이 중앙운영위원회에 신고되면 인권침해사건대책위원회가 구성되어 활동한다.

2.1.5. 중앙비상대책위원회[편집]


총학생회장단 선거가 무산될 때나, 총학생회장단 두 명 모두가 사퇴하고 해당 총학생회장단의 잔여 임기가 180일이 넘지 않을 때나, 총학생회장단이 탄핵되고 해당 총학생회장단의 잔여 임기가 180일이 넘지 않을 때에 소집된다. 중앙비상대책위원회는 중앙운영위원회와 마찬가지로 각 단과대 학생회장들과 각 동아리연합회의 회장들로 구성된다. 총학생회장단의 궐위 기간 동안 중운위의 업무를 대신하며, 임시 중앙집행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


2.2. 집행기구[편집]


의결기구에서 의결된 내용을 집행하는 기구이다.

2.2.1. 총학생회장단[편집]


총학생회장단도 회칙상 집행기구이다.

2.2.2. 중앙집행위원회[편집]


대부분의 학우들이 '총학생회' 라 부르는 총학생회 집행부가 바로 이 중앙집행위원회를 의미한다. 줄여서 '중집'이라고 부르며, 중앙집행위원장을 '중집장'이라고 부른다. 다만 중앙집행위원회의 구성, 즉 어떤 국들로 중앙집행위원회를 구성할 것인지는 총학생회장단의 자율에 달려 있다.


2.3. 산하기구[편집]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산하기구
단과대학·독립학부 학생회[14]
간호대학 학생회경영대학 학생회공과대학 학생회국제대학 학생회디자인조형학부 학생회문과대학 학생회
미디어학부 학생회보건과학대학 학생회사범대학 학생회생명과학대학 학생회스마트모빌리티학부 학생회심리학부 학생회[15]
의과대학 학생회이과대학 학생회자유전공학부 학생회정경대학 학생회정보대학 학생회정보보호학부 학생회[16]
학부·과·반 학생회
경영대학[17]경영A반 학생회경영B반 학생회경영C반 학생회경영D반 학생회경영E반 학생회
공과대학건축사회환경공학부/호연반 학생회건축학과/호림반 학생회기계공학부/무적반 학생회반도체공학과 학생회산업경영공학부/최적반 학생회
신소재공학부/정열반 학생회융합에너지공학과 학생회전기전자공학부/열혈반 학생회화공생명공학과/지야반 학생회
국제대학국제학부 학생회글로벌한국융합학부 학생회
문과대학[18][19]국어국문학과/반 학생회노어노문학과/반 학생회독어독문학과/반 학생회불어불문학과/반 학생회사학과/동·서양사반 학생회[20]
사회학과/악칠반 학생회서어서문학과/반 학생회언어학과/반 학생회영어영문학과/반 학생회일어일문학과/반 학생회
중어중문학과/반 학생회철학과/반 학생회한국사학과/대동반 학생회한문학과/반 학생회
보건과학대학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학생회바이오의공학부 학생회보건정책관리학부 학생회보건환경융합과학부 학생회
사범대학가정교육과 학생회교육학과 학생회국어교육과 학생회수학교육과 학생회역사교육과 학생회
영어교육과 학생회지리교육과 학생회체육교육과 학생회
생명과학대학생명공학부 학생회생명과학부 학생회식품공학과 학생회식품자원경제학과 학생회환경생태공학부 학생회
의과대학의예과 학생회
이과대학물리학과 학생회수학과 학생회지구환경과학과 학생회화학과 학생회
자유전공학부자유전공A반 학생회자유전공B반 학생회자유전공C반 학생회자유전공D반 학생회
정경대학정치외교학과/정경1반 학생회경제학과/정경포효반 학생회행정학과/정경5반 학생회통계학과/정경6반 학생회
정보대학컴퓨터학과1반 학생회컴퓨터학과2반 학생회컴퓨터학과3반 학생회컴퓨터학과4반 학생회데이터과학과 학생회
정보보호학부사이버국방학과 학생회스마트보안학과 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동아리연합회기악예술분과사회분과생활문화분과언어분과연행예술분과
인문·과학분과[21]전시창작분과종교분과체육분과
애기능동아리연합회문화체육분과사회종교분과연행예술분과학술연구분과


2.4. 특별기구[편집]


흔히 줄여서 아니 네 글자짜리 단어를 줄여 '특기구'라고 부른다. 고려대학교의 특별기구와 같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는 특별기구들이 다루는 사안의 중요도로 인해 독자성이 강조되며, 매년 바뀌는 총학생회와는 다르게 지속적으로 다뤄야 할 전문적인 의제들을 중심으로 주로 형성된다.

2.4.1. 민주학생기념사업회(총복학생협의회)[편집]


총복학생협의회 시절에는 줄여서 '총복협'. 웬 복학생협의회냐며 어리둥절할 수도 있겠으나 이전 독재정권 시절에 '녹화사업' 등으로 끌려간 선배들이 군대에서 복학하면 학교에 다시 적응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 특별기구였다. 지금은 녹화사업 등의 강제징집이 사라져서 그 기능이 변화했다. 지금은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열사들이나 선배들을 기리고 알리는 활동들을 주관하고 있다.

2019년에 총복학생협의회에서 민주학생기념사업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2.4.2. 생활도서관[편집]


맡는 주요 기능은 고려대학교 학생사회의 주요 사업과 관련한 정보와 기록들을 아카이빙하는 것. 서울대학교 자치도서관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생활도서관 자체는 또 독립적으로 도서관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만 특별기구로서는 기록과 보관을 주 업무로 한다. 학생회관 2층에 자리잡고 있다.

2.4.3. 소수자인권위원회[편집]


2016년 소수자인권위원회 준비모임을 거쳐 2017년 탄생한 특별기구로 여러 단체가 운영 단위로 참가하고 있다. 난교파티 사건 당시 다음 레디즘 카페와 같이 가해자를 옹호하는 연서에 서명한 바 있다.

2.4.4. 애기능생활도서관[편집]


생활도서관도 비슷한 업무를 수행하나 위치가 애기능학생회관 2층이다.

2.4.5. 여학생위원회[편집]


고려대학교 여학생위원회 페이스북[22]
인스타그램
트위터

줄여서 '여위'. 페미니즘 진영에서도 많이 헷갈려 '여성위원회'로 불리기도 한다. 옛날 총여학생회를 대신하여 만들어진 특별기구이다. 세종캠퍼스에서는 아직도 총여학생회가 남아있는 반면[23] 서울캠퍼스에서는 여학생위원회라는 특별기구의 형태로 여학우들의 권익 신장을 도모하고 여권 보호 및 페미니즘 담론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계기로 2021년 8월부터 초토화된 복지 체계에 관심을 촉구하는 방향의 담론을 전개 중이다.

페미니즘 소모임 '난교파티' 관련으로 잡음이 있었다. #

2.4.6. 응원단[편집]


고려대학교의 응원과 석탑대동제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입실렌티를 담당하는 특별기구이다.
  • 동작부(단장단)
  • 음악부(엘리제)
  • 기수부(Young Tigers: YT)

2.4.7. 장애인권위원회[편집]


고려대학교 장애인권위원회(KUDA) 페이스북
장애인 학우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별기구이다. 비장애인, 장애인 학우를 가리지 않고 모집한다. 고려대학교의 열악한 장애인 복지(특히 이동권 부분)에 대해 지적하고 학교에게 시정을 요구하는 활동들을 주로 추진하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 활동과 행사들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장애인권위원회 및 학생사회의 지속적인 요구로 고려대학교 서관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기도 하였다. 고대신문 보도

고연전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학생들을 위해 배리어프리석을 마련하는 활동도 매년 진행한다. 2018년부터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고연전 속기 서비스도 진행됐다. 페이스북 참조. 해당 활동이 씨리얼 C-real 채널에 소개된 적이 있다 스브스뉴스에도 소개되었다

그 외엔 매년 배리어프리 영화를 고려대학교 성우동아리 온보이싱과 함께 만들고 영화제(상영회)를 갖는다. 이전에는 한국영화에 대한 화면해설만 첨부했으나, 2018년부터 본격적인 배리어프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앞으로 매년 추진할 계획이라 한다. 이 사업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2018년엔 배리어프리 영화 상영회에 유튜버 김스카이와 굴러라 구르님 등도 참여하여 놀라움을 줬다. 관련 영상 고대신문 보도

2.4.8. 체육국[편집]


기존에는 중앙집행위원회 산하 국서였으나 담당하는 업무의 특성상 체육교육과 학생들로만 이루어지게 되었고 타 중집위 국서들과는 융합되지 못하고 따로 업무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2016년부터 체육국은 중앙집행위원회에서 특별기구로 전환하게 되었다.

2.4.9. 편입생위원회[편집]


줄여서 '편위'. 소외되기 쉬운 편입생의 학교 적응을 돕는 특별기구. 편입생 새로배움터(편터)를 새터 대신 운영한다.
2022년 4월 전학대회 정기회의에서 정족수 부족으로 제명 결정이 다음 전학대회 정기회의로 연기되어 편입생위원회 감사위원회가 설치된 상태로, 동년 5월 29일 특별기구 인준 8년만에 자발적 해산을 선언하였다. 고대신문 보도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 후 10월 전학대회 정기회의에서 제명안건이 부결되었다.

2.4.10. 학생복지위원회[편집]


줄여서 '학복위'. 학생들의 복지와 관련된 사업을 주로 담당한다. 예컨대 추석 때 고향에 내려가는 학우들을 위한 귀향 버스 사업이라든가 비싸서 개인이나 단체가 구매를 못 하는 물건들을 빌려주는 대여사업, 민주광장과 노벨의 A자 게시판 등등. 특히 학복위에서 매 12월 출판하는 다이어리의 경우 학사일정이 적혀 있어 유용하다고 한다.


3. 언론기구[편집]


고려대학교 학생사회와 관련한 다양한 소식들을 전하고 견제하는 역할을 맡는 언론기구들로 총학생회의 소속은 아니지만 총학생회 업무 등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실제로 이들 기구 중에서는 총학생회에 대한 중간 여론평가들을 진행하는 등 실제 사회에서 언론이 맡는 비판과 견제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들도 존재한다.

3.1. 학교 소속 언론기구[편집]



  • 고대신문사
  • 고려대학교 영자신문사 The Granite Tower[24]
  • 고려대학교 교육방송국(KUBS: Korea University Broadcasting Station)[25]
  • 고려대학교 TV방송국(KTN: Korea university Television Network)[26][27]
  • SPORTS KU[28]

3.2. 자치언론협의회[편집]


줄여서 '자언협'. 학교 소속이 아니다보니 학생들이 납부하는 교지대 중에서 15%를 배분 받아[29] 자치언론협의회에 소속된 언론 기구들이 나눠 갖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고려대학교 교지 고대문화 편집위원회
  • 고려대학교 여성주의교지 석순 편집위원회
  • 고려대학교 교육TV방송국(KUTV: Korea University TeleVision system)[30]
  •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사 The HOANS[31]
  • 쥐뿔(폐간)
  • 거의 격월간 몰라도 되는데[32]
  • 퀴어 가이드[33]
  • 영화집단 .Avi[34]


4. 역대 학생회 일람[편집]



4.1. 초대 총학생회 (1960년-1961년)[편집]


총학생회장유진홍 (상과58 · 남)[35][36][37]


4.2. 제2대 총학생회 (1961년-1962년)[편집]


총학생회장김유진 (경제59 · 남)[38]


4.3. 제3대 총학생회 (1962년-1963년)[편집]


총학생회장류재호 (법학60 · 남)


4.4. 제4대 총학생회 (1963년-1964년)[편집]


총학생회장구자신 (경제61 · 남)[39]


4.5. 제5대 총학생회 (1964년-1965년)[편집]


총학생회장류유길 (상과61 · 남)


4.6. 제6대 총학생회 (1965년-1966년) [40][편집]


총학생회장서상욱 (정치외교63 · 남)


4.7. 제7대 총학생회 (1966년-1967년)[편집]


총학생회장조동세 (상과64 · 남)[41]


4.8. 제8대 총학생회 (1967년-1968년)[편집]


총학생회장이철식 (물리65 · 남)


4.9. 제9대 총학생회 (1968년-1969년)[편집]


총학생회장조춘구 (경제66 · 남)


4.10. 제10대 총학생회 (1969년-1970년) [42][편집]


총학생회장김용덕 (사회67 · 남)


4.11. 제11대 총학생회 (1970년-1971년)[편집]


총학생회장서정규 (경영68 · 남)


4.12. 제12대 총학생회 (1971년-1972년)[편집]


총학생회장김동규 (축산69 · 남)


4.13. 제13대 총학생회 (1972년-1973년)[편집]


총학생회장박득순 (법학70 · 남)


4.14. 제14대 총학생회 (1973년-1974년)[편집]


총학생회장정세균 (법학71 · 남)


4.15. 제15대 총학생회 (1974년-1975년)[편집]


총학생회장이윤세 (통계72 · 남)


4.16. 제16대 총학생회 (1980년) [43][44][편집]


총학생회장신계륜 (행정73 · 남)


4.17. 제17대 총학생회 (1984년) [45][편집]


압제를 불살라라 민족고대여![46][47]
총학생회장김영춘 (영어영문81 · 남)부총학생회장허인회 (정치외교82 · 남)


4.18. 제18대 총학생회 (1985년)[편집]


압제를 불살라라 민족고대여![48]
총학생회장허인회 (정치외교82 · 남)부총학생회장이성봉 (행정82 · 남)


4.19. 제19대 총학생회 (1986년)[편집]


반도의 아픔으로 서자! 민족고대여!![49]
총학생회장김윤태 (사회83 · 남)부총학생회장문귀식 (경제83 · 남)


4.20. 제20대 총학생회 (1987년)[편집]


애국의 충정으로 포효하라 성년 민족고대여![50]
총학생회장이인영 (국어국문84 · 남)부총학생회장최훈 (국어교육84 · 남)


4.21. 제21대 총학생회 (1988년)[편집]


구국의 투혼으로 단결하라 민족고대여![51]
총학생회장오영식 (법학85 · 남)부총학생회장여택수 (사회85 · 남)


4.22. 제22대 총학생회 (1989년)[편집]


개량과 반동의 어둠을 뚫고 타올라라 민중의 불꽃이여 전진하라 민족고대여![52]
총학생회장이영남 (무역84 · 남)부총학생회장이보환 (재료공86 · 남)


4.23. 제23대 총학생회 (1990년)[편집]


총학생회장윤진호 (산공85 · 남)부총학생회장안병일 (사회87 · 남)


4.24. 제24대 총학생회 (1991년)[편집]


그대, 침묵하는 맹호여! 깨어서라! 일어서라! 단결의 불바람으로 살아 반미구국, 민중승리 새조국을 선포하라! 길다
총학생회장최홍재 (신방87 · 남)부총학생회장이동은 (농경제88 · 남)


4.25. 제25대 총학생회 (1992년)[편집]


긴호흡 강한걸음, 민중민주주의 학생회.
총학생회장허영 (사회89 · 남)부총학생회장허화영 (산자89 · 남)


4.26. 제26대 총학생회 (1993년)[편집]


총학생회장신창현 (언어89 · 남)부총학생회장김종대 (산자90 · 남)


4.27. 제27대 총학생회 (1994년)[편집]


총학생회장정재관 (정치외교91 · 남)부총학생회장정우성 (전기공91 · 남)


4.28. 제28대 총학생회 (1995년)[편집]


사람사랑으로 세상보다 넓은 고대의 하늘을 엽니다.[53]
총학생회장정태흥 (법학91 · 남)부총학생회장김성회 (지구환경91 · 남)


4.29. 제29대 총학생회 (1996년)[편집]


사람사랑으로 세상보다 넓은 고대의 하늘을 엽니다.[54]
총학생회장이종철 (정치외교92 · 남)부총학생회장윤호준 (식품공92 · 남)


4.30. 제30대 총학생회 <좌파! 젊은 당신의 실천미학> (1997년)[55][편집]


〈좌파! 젊은 당신의 실천미학〉[56]
총학생회장지현찬 (서어서문93 · 남)부총학생회장강신현 (재료공93 · 남)


4.31. 제31대 총학생회 <직접행동> (1998년)[편집]


〈직접행동〉[57]
총학생회장김지욱 (경영91 · 남)부총학생회장이한별 (영어영문93 · 남)


4.32. 제32대 총학생회 <맥박> (1999년)[편집]


〈맥박〉[58]
총학생회장이강헌 (산업공학95 · 남)부총학생회장송범근 (교육95 · 남)


4.33. 제33대 총학생회 <꼬뮤나로드> (2000년)[편집]


행복한 오늘을 위한 싸움 〈꼬뮤나로드〉[59]
총학생회장정동희 (기계95 · 남)부총학생회장이길수 (법학96 · 남)


4.34. 제34대 총학생회 <다른 미래> (2001년)[편집]


〈다른 미래〉[60]
총학생회장김지은 (법학96 · 여)[61]부총학생회장정우성 (국어국문97 · 남)


4.35. 제35대 총학생회 <최초를 꿈꾸는 사람들> (2001년 11월~2002년 11월 29일)[편집]


〈최초를 꿈꾸는 사람들〉[62]
총학생회장손창일 (법학95 · 남)부총학생회장팽성철 (건축98 · 남)

고려대학교에서 최초로 비운동권을 표방한 선본이 당선되었다.


4.36. 제36대 총학생회 <Promise with> (2002년 11월 30일~2003년 11월 27일)[편집]


〈Promise with〉[63]
총학생회장박재익 (산업공학98 · 남)부총학생회장김성광 (한국사99 · 남)


4.37. 제37대 총학생회 <Happy Together> (2003년 11월 28일~2004년 11월 29일)[편집]


〈Happy Together〉[64]
총학생회장유지훈 (국문00 · 남)부총학생회장박주은 (국어교육01 · 여)


4.38. 제38대 총학생회 <강한나라 강한고대> (2004년 11월 30일~2005년 11월 26일)[편집]


〈강한나라 강한고대〉
총학생회장유병문 (산업시스템정보공학02 · 남)부총학생회장안형진 (법학02 · 여)


4.39.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권한대행 (2005년 11월 27일~2006년 4월 11일)[65][편집]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비상대책위원장(궐위)[66]중앙선거관리위원장신재석 (행정03 · 남)[67]


4.40. 제39대 총학생회 <리얼리스트> (2006년 4월 12일~2006년 11월 28일)[편집]


〈리얼리스트〉
총학생회장이유미 (독어독문02 · 여)부총학생회장이희태 (정치외교03 · 남)


4.41. 제40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06년 11월 29일~2007년 11월 30일)[편집]


〈고대공감대〉
총학생회장박상하 (재료공학04 · 남)부총학생회장박성민 (경영00 · 남)


4.42. 제41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2008> (2007년 12월 1일~2008년 12월 5일)[편집]


〈고대공감대2008〉
총학생회장정수환 (전기전자전파05 · 남)부총학생회장박종찬 (식품자원경제00 · 남)


4.43. 제42대 총학생회 <젊은고대, 깨어나다!> (2008년 12월 6일~2009년 12월 12일)[편집]


〈젊은고대, 깨어나다!〉
총학생회장정태호 (행정05 · 남)부총학생회장박재균 (물리05 · 남)


4.44. 제43대 총학생회 <2010소통시대> (2009년 12월 13일~2010년 12월 14일)[편집]


〈2010소통시대〉
총학생회장전지원 (경제06 · 여)부총학생회장이송 (전기전자전파05 · 남)


4.45. 제44대 총학생회 <후마니타스> (2010년 12월 13일~2011년 12월 14일)[편집]


2만의 주인선언! 〈후마니타스〉
총학생회장조우리 (사회환경시스템공학06 · 남)부총학생회장유지영 (정치외교06 · 여)


4.46. 제45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11년 12월 15일~2012년 12월 14일)[편집]


고대생을 위한 고대만들기 〈고대공감대〉
총학생회장박종찬 (식품자원경제00 · 남)부총학생회장정연기 (기계06 · 남)


4.47. 제46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12년 12월 15일~2013년 12월 8일)[편집]


제46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2년 12월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박종찬 (식품자원경제00 · 남)
투표율44.07% ( 8,260명 / 18,744명 )
선본명총학생회, 더 리얼하게
〈The Real〉
발로 뛰는 변화의 힘
<실천가능>
고대생을 위한 고대만들기
〈고대공감대〉
지지선본 없음무효
득표수2,533표1,771표3,444표500표19표
득표율30.67%21.44%41.69%6.05%

고대생을 위한 고대만들기 〈고대공감대〉
총학생회장황순영 (정치외교10 · 남)부총학생회장배정호 (생명공학07 · 남)

2013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고대공감대황순영 (정치외교10 · 남)배정호 (생명공학07 · 남)
간호대학청춘the하기박종혁 (간호09 · 남)이선일 (간호11 · 남)
경영대학PADO정혁 (경영07 · 남)김재환 (경영07 · 남)
공과대학공대공감대정우진 (산업경영공학11 · 남)최종운 (기계공학11 · 남)
국제학부하태균 (국제07 · 남)오민석 (국제12 · 남)
동아리연합회동감동행 2013홍해린 (조형미술09 · 여)이기범 (지리교육11 · 남)
조형학부美소안이경 (조형10 · 여)윤가희 (산업디자인11 · 여)
문과대학너와 나의 하이킥한승범 (사회09 · 남)강동헌 (? · ?)
미디어학부미라클권오윤 (미디어학부11 · 남)여현구 (미디어학부12 · 남)
법과대학법대본색이동철 (법학05 · 남)김보수 (법학07 · 남)
보건과학대학보과드림윤석원 (? · ?)
사범대학The Real박석규 (역사교육10 · 남)김선범 (역사교육10 · 남)
생명과학대학생동박희웅 (생명과학10 · 남)김경민 (환경생태공학11 · 여)
애기능동아리연합회이승우 (생명공학11 · 남)이지현 (전기전자전파09 · 여)
의과대학의대를 넘는 의대구봉모 (의학10 · 남)강민구 (의예11 · 남)
이과대학변별력이샛별 (수학11 · 여)
자유전공학부서재원 (자유전공12 · 남)이동선 (자유전공12 · 남)
정경대학호안FM김경진 (경제10 · 여)
정보보호학부박**최**
정보통신대학IRIS홍진우 (컴퓨터통신11 · 남)이호준 (컴퓨터통신12 · 남)


4.48. 제47대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2013년 12월 9일~2014년 11월 11일)[편집]


발로 뛰는 총학생회 〈고대공감대〉
총학생회장최종운 (기계공학11 · 남)
(선거무효)
부총학생회장이나영 (국제10 · 여)
(선거무효)

2014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고대공감대최종운 (기계공학11 · 남)
(궐위)
이나영 (국제10 · 여)
(궐위)
[68]
간호대학아우름박언주 (간호12 · 여)김민경 (간호12 · 여)
경영대학ENTER이성민 (경영10 · 남)이수호 (경영13 · 남)
공과대학공대공감대+서재우 (산업경영12 · 남)정성욱 (신소재12 · 남)
국제학부Oh Yeah!남정환 (국제09 · 남)박종한 (국제11 · 남)
동아리연합회놀자, 즐기자, 생각하자강훈구 (자유전공09 · 남)유진 (환경생태공학11 · 여)
디자인조형학부美소윤가희 (디자인조형11 · 여)조준흠 (디자인조형11 · 남)
문과대학청춘찾기민예지 (철학11 · 여)김화윤 (심리10 · 여)
미디어학부꼼지락김서연 (미디어12 · 여)유종헌 (미디어13 · 남)
법과대학네덜란드 소년김시영 (법학00 · 남)고병곤 (법학01 · 남)
보건과학대학보과드림서연주 (치기공11 · 여)신보현 (보건정책관리13 · 남)
사범대학사인사색이대열 (역사교육10 · 남)전수빈 (역사교육11 · 여)
생명과학대학생명대에 꿈을 그리다백승한 (환경생태공학11 · 남)김예림 (식품공학12 · 여)
애기능동아리연합회애동방정식고민제 (기계10 · 남)임지혁 (생명과학06 · 남)
의과대학최재영 (의학11 · 남)김정욱 (의학13 · 남)[69]
이과대학메아리권기경 (물리12 · 남)
자유전공학부비상박세훈 (자유전공13 · 남)김윤지 (자유전공13 · 여)
정경대학단비안보영 (통계11 · 여)
정보보호학부강**정**
정보통신대학하이라이트이호준 (정보통신11 · 남)안장우 (정보통신12 · 남)


4.49. 제47대 총학생회 <지음> (2014년 12월 15일~2015년 12월 6일)[편집]


제47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4년 12월 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성민 (경영10 · 남)
투표율41.66% ( 7,889명 / 18,937명 )
선본명새로운 생각, 새로운 학생회
〈지음〉
나의 자리, 너의 의미
〈그리다KU〉
지지선본 없음무효
득표수3,366표3,133표1,377표17표
득표율42.67%39.77%10.49%

새로운 생각, 새로운 학생회 〈지음〉
총학생회장서재우 (산업경영12 · 남)부총학생회장강민구 (의학11 · 남)

2015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지음서재우 (산업경영12 · 남)강민구 (의학11 · 남)
간호대학AT윤슬기 (간호13 · 여)김진솔 (간호13 · 여)
경영대학울림김승한 (경영11 · 남)홍성우 (경영12 · 남)
공과대학공일공김태현 (신소재13 · 남)임용환 (신소재14 · 남)
국제학부벗(BUD)최연흠 (국제13 · 남)김회인 (국제14 · 여)
동아리연합회모람김근우 (생명과학13 · 남)오은영 (가정교육13 · 여)
디자인조형학부창작조준흠 (디자인조형11 · 남)이영현 (디자인조형12 · 남)
문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미디어학부PLAY유종헌 (미디어13 · 남)민혜진 (미디어14 · 여)
법과대학불멸이충호 (법학98 · 남)(궐위)
보건과학대학보과드림김병기 (바이오의공11 · 남)정은진 (바이오의과13 · 여)
사범대학SEEnergy박래현 (역사교육12 · 남)서세영 (가정교육13 · 여)
사이버국방학과신**박**
생명과학대학FOREVER신영균 (생명과학13 · 남)(궐위)
애기능동아리연합회조현호 (?11 · 남)박민정 (신소재13 · 여)
의과대학고!:퀄이수교 (의학12 · 남)하원상 (의학13 · 남)
이과대학너와 나의 이과대학곽두원 (지구환경13 · 남)이연학 (수학13 · 남)
자유전공학부전율송우근 (자유전공12 · 남)신용호 (자유전공13 · 남)
정경대학비긴어게인설동연 (정치외교12 · 남)
정보대학본(本)전명우 (컴퓨터12 · 남)전용석 (컴퓨터14 · 남)[70]
정보통신대학BASIS황수환 (컴퓨터통신11 · 남)이승윤 (컴퓨터통신12 · 남)
2015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축제준비위원회하지연 (미디어13 · 여)
등록금심의위원회 대응 특별위원회이수교 (의학12 · 남)
학생자치특별위원회고준우 (사회14 · 남)
인북스 도서협동조합 특별위원회송원준 (언어09 · 남)


4.50. 제48대 총학생회 <별:자리> (2015년 12월 7일~2016년 12월 11일)[편집]


제48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5년 12월 5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강민구 (의학11 · 남)
투표율40.39% ( 8,081명 / 18,862명 )
선본명다음 세상의 첫 번째 학생회
〈고:온〉
빛나는 당신, 이어진 우리
〈별:자리〉
지지선본 없음무효
득표수3,264표3,938표848표34표
득표율40.39%48.73%10.49%

빛나는 당신, 이어진 우리 〈별:자리〉
총학생회장박세훈 (자유전공13 · 남)부총학생회장안소현 (수학교육13 · 여)

2016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별:자리박세훈 (자유전공13 · 남)안소현 (수학교육13 · 여)
간호대학다온한가윤 (간호14 · 여)조인경 (간호14 · 여)
경영대학Eyecon김동현 (경영12 · 남)김태구 (경영12 · 남)
공과대학공유김병환 (산업경영14 · 남)이건정 (신소재14 · 남)
국제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71]
동아리연합회모람오은영 (가정교육13 · 여)이예원 (바이오의공13 · 여)
디자인조형학부창작지은실 (디자인조형14 · 여)손욱결 (디자인조형15 · 여)
문과대학실로,녹두김상혁 (사회13 · 남)
채희주 (국어국문14 · 여)
(궐위)[72] [73]
미디어학부사이다문현 (미디어14 · 남)엄세원 (미디어15 · 여)[74]
법과대학불멸정호섭 (법학07 · 남)(궐위)
보건과학대학소개송주황 (보건정책관리11 · 남)이창현 (보건환경융합과학14 · 남)
사범대학Beyoutiful신창섭 (지리교육14 · 남)최재이 (교육14 · 남)
사이버국방학과사이최**구**
생명과학대학공생최동천 (생명과학13 · 남)이정민 (생명공학13 · 여)
애기능동아리연합회스펀지박민정 (신소재13 · 여)길민준 (생명공학14 · 남)
의과대학퍼즐하원상 (의학13 · 남)이세미 (의학12 · 여)
이과대학니어바이이서호 (지구환경14 · 남)전탁경 (물리14 · 남)
자유전공학부자전心복금태 (자유전공14 · 남)이선욱 (자유전공15 · 남)
정경대학아로새김박희석 (경제13 · 남)
(제명)
김현민 (정치외교14 · 남)[75]
정보대학본(本)김현우 (컴퓨터14 · 남)최승훈 (컴퓨터15 · 남)
정보통신대학Resis이승윤 (컴퓨터통신12 · 남)
(궐위)
(궐위)[76] [77]
2016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축제준비위원회최지수 (미디어14 · 여)
등록금문제특별위원회이승준 (심리11 · 남)
자치문제특별위원회강민현 (건축14 · 남)
소수자인권위원회 준비모임고준우 (사회14 · 남)


4.51. 제49대 총학생회 <이음줄> (2016년 12월 12일~2017년 12월 21일[78])[편집]


제49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6년 12월 9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서호 (지구환경14 · 남)
투표율35.03% ( 6,823명 / 19,474명 )
선본명우리의 소리를 더 큰 울림으로 〈이음줄〉
항목찬성반대기권무효
득표수4,855표1,109표503표355표
득표율71.16%16.25%7.37%

우리의 소리를 더 큰 울림으로 〈이음줄〉
총학생회장이승준 (심리11 · 남)부총학생회장김보혁 (정치외교14 · 남)

2017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이음줄이승준 (심리11 · 남)김보혁 (정치외교14 · 남)
간호대학Mate이우현 (간호14 · 여)김예진 (간호15 · 여)
경영대학Hub김태구 (경영12 · 남)박세영 (경영15 · 여)
공과대학Enter민선홍 (신소재13 · 남)김인환 (기계13 · 남)
국제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79]
동아리연합회동반강서현 (국어국문15 · 여)조성환 (생명과학15 · 남)
디자인조형학부동화(動畵)
비상(飛上)
손욱결 (디자인조형15 · 여)
김유빈 (디자인조형15 · 여)
오현지 (디자인조형16 · 여)
류희정 (디자인조형16 · 여)
[80]
문과대학하이라이트김민경 (사학13 · 여)구준영 (서어서문15 · 남)[81]
미디어학부COMM:ON허윤 (미디어15 · 여)윤동민 (미디어16 · 남)
보건과학대학All 人 One홍지수 (보건정책관리15 · 여)서지현 (바이오시스템의과학15 · 여)[82]
사범대학人SIGHT김동현 (국어교육15 · 남)김하늘 (교육15 · 여)
사이버국방학과이레정**우**[83]
생명과학대학반달조영표 (식품자원경제14 · 남)김동현 (생명과학15 · 남)
애기능동아리연합회애벌來길민준 (생명공학14 · 남)
김유정 (전기전자15 · 여)
(궐위)[84]
의과대학드림전영 (의학14 · 남)이진택 (의예16 · 남)
이과대학EFFECT송호준 (지구환경15 · 남)박강현 (지구환경15 · 남)[85]
자유전공학부자우림강민혁 (자유전공16 · 남)고병준 (자유전공16 · 남)[86]
정경대학새록새록유시영 (경제14 · 여)[87]
정보대학공정(共情)최승훈 (컴퓨터15 · 남)채병주 (컴퓨터16 · 남)
2017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88]
명칭위원장비고
등록금문제특별위원회박영재 (한국사15 · 남)
자치문제특별위원회강민현 (건축14 · 남)


4.52. 제50대 총학생회 <ABLE> (2017년 12월 22일~2018년 12월 21일)[편집]


제50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7년 12월 8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승준 (심리11 · 남)
투표율37.43% ( 7,353명 / 19,646명 )
선본명가능성을 넘어 결과를 만들다 〈ABLE〉
항목찬성반대기권무효
득표수5,458표1,411표471표12표
득표율74.23%19.19%6.41%

가능성을 넘어 결과를 만들다 〈ABLE〉
총학생회장김태구 (경영12 · 남)부총학생회장홍지수 (보건정책관리15 · 여)

2018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ABLE김태구 (경영12 · 남)홍지수 (보건정책관리15 · 여)
간호대학항성유영준 (간호16 · 남)박유진 (간호16 · 여)
경영대학이룸하지웅 (경영14 · 남)박준현 (경영16 · 남)
공과대학공대다움김선호 (전기전자15 · 남)김지원 (기계15 · 남)
국제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89][90]
동아리연합회모자람오승진 (수학16 · 남)
차승준 (16 · 남)
(궐위)[91]
디자인조형학부김지윤 (디자인조형16 · 여)오민정 (디자인조형16 · 여)
문과대학서로소리이재열 (언어16 · 남)
조성원 (국어국문16 · 여)
(궐위)[92][93]
미디어학부팔레트이수연 (미디어16 · 여)양희원 (미디어17 · 남)
보건과학대학스케치김우현 (바이오의공12 · 남)조인성 (보건정책관리15 · 여)
사범대학사이사이최치원 (교육16 · 여)[94][95]
생명과학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96]
애기능동아리연합회순애보이유한 (물리15 · 남)김지영 (생명과학13 · 여)[97]
의과대학ZOOM:人권준혁 (의학15 · 남)신주윤 (의예17 · 남)
이과대학[ ][98]정새온 (물리16 · 남)하민욱 (지구환경17 · 남)[99]
자유전공학부누리:온백지연 (자유전공16 · 여)선혜원 (자유전공16 · 남)
정경대학다움윤정인 (정치외교15 · 여)
김태양 (정치외교16 · 남)
(궐위)[100]
정보대학날개이건우 (컴퓨터16 · 남)이상엽 (컴퓨터17 · 남)
정보보호학부조운임**장**[101]
명칭위원장비고
등록금문제특별위원회김가영 (생명과학13 · 여)
공간문제특별위원회박영재 (한국사15 · 남)
자치법제위원회준비특별위원회(공석)


4.53. 제51대 총학생회 <SYNERGY> (2018년 12월 22일~2019년 12월 20일)[편집]


제51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8년 12월 7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홍지수 (보건정책관리15 · 여)
투표율36.20% ( 7,249명 / 20,024명 )
선본명당신의 곁에서 함께 만드는 변화 〈SYNERGY〉
항목찬성반대기권무효
득표수4,617표1,979표616표37표
득표율64.02%27.44%8.54%

당신의 곁에서 함께 만드는 변화 〈SYNERGY〉
총학생회장김가영 (생명과학13 · 여)부총학생회장이진우 (사회16 · 남)

2019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SYNERGY김가영 (생명과학13 · 여)이진우 (사회16 · 남)[102]
간호대학유태성 (간호18 · 남)양인아 (간호18 · 여)[103]
경영대학WAVE박준현 (경영16 · 남)조용준 (경영17 · 남)
공과대학CO:DE강나연 (신소재17 · 여)[104]
국제학부DISPLAY이인성 (국제15 · 남)오윤성 (국제15 · 남)[105]
동아리연합회보람황준철 (서어서문11 · 남)주보연 (경영17 · 여)
디자인조형학부소범수 (디자인조형17 · 남)김지수 (디자인조형18 · 여)[106]
문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07]
미디어학부온 에어서예원 (미디어17 · 여)신세희 (미디어18 · 여)
보건과학대학HashTag김동환 (바이오시스템의과학16 · 남)김보민 (바이오의공16 · 여)
사범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08]
생명과학대학다:생백범창 (식품공학16 · 남)이승현 (환경생태공학17 · 여)[109]
애기능동아리연합회애랑박리수 (식품공학16 · 여)김민지 (간호16 · 여)
의과대학KURE이진택 (의학16 · 남)김하윤 (의예18 · 여)
이과대학E=qual[110]김병구 (화학15 · 남)이서린 (물리18 · 여)[111]
자유전공학부자존심정재진 (자유전공17 · 남)[112]
정경대학발화정종락 (정치외교17 · 남)[113][114]
정보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15]
정보보호학부장**김**[116]
2019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등록금문제특별위원회이상형 (경제17 · 남)
입실렌티 특별위원회신세희 (미디어18 · 여)
학생참여예산제도 특별위원회이상형 (경제17 · 남)
2019 고려대학교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산하 특별위원회
고려대학교 회계비리 대응 특별위원회이진우 (사회16 · 남)


4.54. 중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2019년 12월 21일~2021년 12월 21일)[편집]


제52대 총학생회 선거 결과 (2019년 12월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김가영 (생명과학13 · 여)
투표율22.18%[117]
선본명부름에 답하는 우리의 날갯짓
〈RE:플라이〉
바로, 지금 당신의 학생회
〈바로〉
지지선본 없음무효
득표수투표 성립 요건 미달로 인한 선거 무산
득표율

제52대 총학생회 재선거 결과 (2020년 4월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김준석 (지구환경과학18 · 남)
투표율33.81% ( 7,042명 / 20,826명 )[118]
선본명당신의 시점에서 우리의 시선으로 〈시선〉
항목찬성반대기권무효
득표수4,779표1,226표1,038표1표
득표율67.85%17.41%14.74%
경고 3회 부여로 인한 후보자의 자격 박탈로 당선인 없음

2020 고려대학교 중앙비상대책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19] [120]
간호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21]
경영대학LiNK이지우 (경영16 · 남)김두영 (경영17 · 남)
공과대학ENGINE류형주 (건축사회환경18 · 남)전상훈 (신소재18 · 남)
국제학부SCENE정희웅 (국제18 · 남)강현주 (국제19 · 여)
동아리연합회너울우정민 (건축사회환경18 · 여)박세휘 (교육14 · 남)
디자인조형학부하랑김지수 (디자인조형18 · 여)김민서 (디자인조형19 · 여)[122]
문과대학문득조율 (언어18 · 남)김가진 (사학19 · 여)[123]
미디어학부STANDBY신세희 (미디어18 · 여)김미로 (미디어19 · 여)[124]
보건과학대학올림최영주 (바이오의공15 · 남)이윤주 (보건정책관리18 · 여)
사범대학에브릿지백종호 (영어교육18 · 남)이연희 (가정교육18 · 여)[125]
생명과학대학일품김현재 (환경생태공학18 · 남)주수민 (식품자원경제18 · 여)[126]
애기능동아리연합회한걸음김찬희 (보건환경융합과학18 · 남)
강민경 (보건정책관리18 · 여)
(궐위)[127][128]
의과대학FOCUS김민수 (의학17 · 남)강인서 (의예19 · 남)
이과대학IFF김준석 (지구환경과학18 · 남)김현진 (물리18 · 여)
자유전공학부시놉:SIS오유빈 (자유전공18 · 여)이진수 (자유전공18 · 남)
정경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29]
정보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0]
정보보호학부파랑정**김**



제52대 총학생회 2차 재선거 결과 (2020년 11월 27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지우 (경영16 · 남)
투표율25.21%[131]
선본명지금 이 순간 나에게 필요한 총학생회 〈모멘트〉
항목찬성반대기권무효
득표수투표 성립 요건 미달로 인한 선거 무산
득표율

제52대 총학생회 3차 재선거 결과 (2021년 3월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조** (정보보호 · 남)
선본명(입후보자 없음)
입후보자 없음에 따른 선거 무산

2021 고려대학교 중앙비상대책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2] [133]
간호대학정유리 (간호19 · 여)이민성 (간호19 · 남)
경영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4]
공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5]
국제학부LINK김수비 (국제20 · 여)김다인 (국제20 · 여)[136]
동아리연합회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7]
디자인조형학부최예린 (디자인조형19 · 여)이채림 (디자인조형19 · 여)
문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8]
미디어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39]
보건과학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40]
사범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41]
생명과학대학단:비전희주 (식품공학18 · 여)오재운 (식품자원경제20 · 남)[142]
심리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43]
애기능동아리연합회플라이김찬희 (보건환경융합과학18 · 남)황신영 (전기전자공학19 · 여)[144][145]
의과대학이음김하윤 (의학18 · 여)박재찬 (의예20 · 남)
이과대학이:로운배철민 (지구환경과학17 · 남)김주현 (지구환경과학17 · 남)
자유전공학부길라잡이정서연 (자유전공19 · 여)이지훈 (자유전공19 · 남)[146]
정경대학보다김규진 (정치외교19 · 남)유진희 (통계20 · 여)
정보대학정, 들다이윤지 (컴퓨터20 · 여)최용욱 (컴퓨터19 · 남)
정보보호학부조**심**[147]
2021 고려대학교 중앙비상대책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등록금문제대응특별위원회신세희 (미디어18 · 여)


4.55. 제52대 총학생회 <버팀돌> (2021년 12월 22일~2022년 5월 1일) [148][편집]


제52대 총학생회 4차 재선거 결과 (2021년 11월 26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조** (정보보호 · 남)
투표율34.23% ( 6,165명 / 18,009명 )
선본명다시 세워질 석탑, 그 아래의 버팀돌 〈버팀돌〉
항목찬성반대기권무효
득표수5,514표358표432표0표
득표율87.47%5.68%6.85%

다시 세워질 석탑, 그 아래의 버팀돌 〈버팀돌〉
총학생회장이규상 (보건환경융합과학16 · 남)부총학생회장이홍민 (사회17 · 남)[149]

2022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버팀돌이규상 (보건환경융합과학16 · 남)이홍민 (사회17 · 남)[150] [151]
간호대학기대박부건 (간호19 · 남)유채린 (간호20 · 여)[152]
경영대학지평선최동인 (경영21 · 남)오윤진 (경영20 · 여)[153]
공과대학VIEW박성근 (화생공17 · 남)소형준 (신소재17 · 남)[154]
국제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55]
동아리연합회다듬이용재 (경영19 · 남)김지민 (영문20 · 여)
디자인조형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56]
문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57]
미디어학부Reborn이선우 (미디어20 · 여)최주희 (미디어20 · 여)
보건과학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58]
사범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59]
생명과학대학Sense김지은 (식공19 · 여)전혜은 (생공19 · 여)[160]
심리학부비하인드김형섭 (심리21 · 남)윤효빈 (심리21 · 여)
애기능동아리연합회RE-BUILD양세연 (전기전자공학19 · 여)서예인 (보건정책관리20 · 여)[161]
의과대학모음송형훈 (의학19 · 남)강지민 (의예21 · 여)
이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62]
자유전공학부시스:템김윤태 (자유전공20 · 남)[163]
정경대학F5:새로고침이정은 (정치외교19 · 여)황용빈 (행정20 · 남)
정보대학Bridge장지윤 (컴퓨터21 · 남)김재훈 (데이터과학21 · 남)
정보보호학부박**이**
2022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등록금공동대응특별위원회이용재 (경영19 · 남)
제8회 지방선거대응위원회박영준 (자전20 · 남)
2022 고려대학교 전체학생대표자회의 산하 감사위원회
편입생위원회 감사위원회이용재 (경영19 · 남)


4.56. 중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2022년 5월 26일~12월 21일) [164][편집]


제53대 총학생회 보궐선거 결과 (2022년 5월 26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최동인 (경영21 · 남)
선본명(입후보자 없음)
입후보자 없음에 따른 선거 무산

2022 고려대학교 중앙비상대책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65] [166]
간호대학기대박부건 (간호19 · 남)유채린 (간호20 · 여)[167]
경영대학지평선최동인 (경영21 · 남)
오윤진 (경영20 · 여)
(궐위)[168] [169]
공과대학VIEW박성근 (화생공17 · 남)소형준 (신소재17 · 남)[170] [171]
국제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72]
동아리연합회다듬이용재 (경영19 · 남)
김지민 (영문20 · 여)
(궐위)[173]
디자인조형학부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74]
문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75]
미디어학부Reborn이선우 (미디어20 · 여)최주희 (미디어20 · 여)
보건과학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76]
사범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77]
생명과학대학Sense김지은 (식공19 · 여)전혜은 (생공19 · 여)[178]
심리학부비하인드김형섭 (심리21 · 남)윤효빈 (심리21 · 여)
애기능동아리연합회RE-BUILD양세연 (전기전자공학19 · 여)서예인 (보건정책관리20 · 여)[179]
의과대학모음송형훈 (의학19 · 남)강지민 (의예21 · 여)
이과대학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180]
자유전공학부시스:템김윤태 (자유전공20 · 남)[181]
정경대학F5:새로고침이정은 (정치외교19 · 여)황용빈 (행정20 · 남)[182]
정보대학Bridge장지윤 (컴퓨터21 · 남)김재훈 (데이터21 · 남)
정보보호학부박**이**
2022 고려대학교 중앙비상대책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제21대 총장선거 대응위원회박영준 (자전20 · 남)
2022 정기고연전 특별위원회김찬희 (보건환경융합과학18 · 남)


4.57. 제53대 총학생회 <새솔> (2022년 12월 22일~ )[편집]


제53대 총학생회 재선거 결과 (2022년 12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장지윤 (컴퓨터21 · 남)
투표율34.82% ( 6285명/18047명 )
선본명새로 난 소나무의 솔처럼 푸르게
〈새솔〉
학생이 만드는 오늘, 학교를 바꾸는 오늘
〈오늘〉
지지선본 없음무효
득표수3658표1708표919표0표
득표율58.2%27.2%14.6%

새로 난 소나무의 솔처럼 푸르게 〈새솔〉
총학생회장박성근 (화생공17 · 남)부총학생회장김소정 (기계공20 · 여)

2023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단위명칭회장부회장비고
총학생회장단새솔박성근 (화공생명공학17 · 남)김소정 (기계공학20 · 여)
간호대학드림서아현 (간호21 · 여)원혜린 (간호20 · 여)
경영대학FILM이정원 (경영22 · 남)김응제 (경영22 · 남)[183]
공과대학Re:act이은서 (화생공19 · 남)김보안 (화생공20 · 여)
국제대학CookIeS박희원 (국제21 · 여)장효정 (국제22 · 여)[184]
동아리연합회이랑최윤성 (사회21 · 남)임지수 (영어영문21 · 여)
디자인조형학부[進]김현아 (디자인조형21 · 여)권세영 (디자인조형21 · 여)
문과대학문의송유진 (한국사21 · 여)박관웅 (한문22 · 남)
미디어학부러닝타임심정혁 (미디어21 · 남)김민진 (미디어21 · 여)
보건과학대학BREATH김소연 (보건정책관리21 · 여)표수민 (보건정책관리22 · 남)[185]
사범대학SPARKLE이지민 (국어교육21 · 남)[186]
생명과학대학Bloom:부름김준환 (환경생태공학21 · 남)이지윤 (생명공학21 · 여)[187]
스마트모빌리티학부con:nect노우진 (스마트모빌리티23 · 남)윤강혁 (스마트모빌리티23 · 남)[188]
심리학부싸이드킥(PSY-dekick)윤강호 (심리22 · 남)백다빈 (심리22 · 여)[189]
애기능동아리연합회우듬지윤지수 (환경생태공학21 · 여)김서영 (경제21 · 여)
의과대학울림주현진 (의학20 · 남)조용성 (의예22 · 남)
이과대학이어김민욱 (화학19 · 남)신효원 (지구환경과학22 · 남)
자유전공학부자람배득용 (자유전공21 · 남)김다윤 (자유전공21 · 여)[190]
정경대학온정장형공 (행정21 · 남)손용호 (통계21 · 남)
정보대학시울진준민 (데이터22 · 남)노규주 (컴퓨터22 · 여)
정보보호학부MEMORY손**유**
2023 고려대학교 중앙운영위원회 산하 특별위원회
명칭위원장비고
등록금문제특별위원회김서영 (국어교육21 · 여)
회칙개정특별위원회백성열 (경영21 · 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0:43:21에 나무위키 고려대학교/총학생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총학생회실 현판에 보면 이 문구가 그대로 적혀있다.[2] 휴업령 등으로 인해 11월달로 선거 연기[3] 이때부터 6월에 선거 진행[4] 1975년 긴급조치 7호에 따른 휴교령으로 총학생회가 폐지된 후 1980년 부활[5] 고대신문 863호[6] 1980년 비상계엄령으로 인해 총학생회 폐지 후 전국에서 최초로 총학생회가 부활하였다. 9월 20일 선거로 선출.[7] 고대신문 자료에 의하면 이때부터 선본명이 확인된다.[8] 투표율 50% 미달(47.9%)로 인한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권한대행[9] 2017년 9월의 총학생회칙 전부개정으로 개표 이의제기 시간(48시간) 직후에서 다음 대 선거 개표 이의제기 시간까지인 총학생회장단의 임기가 당선된 해의 2학기 종강일 다음날부터 이듬해 2학기 종강일까지로 변경되었다.[10] 2022년 5월 2일 총학생회장 피선거권 상실.[11] 2022년 5월 2일~5월 26일 중앙운영위원회 임시의장 체제.[12] 휴학생 포함. 단, 휴학생은 정회원이 아닌 준회원.[13] 2학기 종강일 다음날부터 임기를 시작하는 학부 총학생회와는 달리 8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때문에 선거도 원칙적으로는 5, 6월경에 시행.[14] 2017년 정보통신대 학생회가 정보대 학생회로 통합됨, 2018년 법과대 학생회 소멸.[15] 문과대학 산하 심리학과/싸이코반 학생회였으나 2021년 심리학부로 독립함에 따라 심리학부 학생회로 개편.[16] 2021학년도부터 학부 명칭이 스마트보안학부로 변경되었으나 학생회 명칭은 정보보호학부 학생회를 유지하고 있다.[17] 경영대학 학생회 아래에 경영A반, 경영B반, 경영C반, 경영D반, 경영E반 학생회는 2016년부터 해당 반 학생회장직이 직선으로 선출되지 않는 이유로 인하여 전학대회 대의원직에서는 제외되었다가 2017년 9월부터 다시 대의원직이 부활되었다.[18] 문과대학은 학부제 시절 인문학부(국문·사학·사회·심리·철학·한국사·한문)·국제어문학부(노문·독문·불문·서문·언어·영문·일문·중문)로 나누어 모집하였기 때문에 반별 학생회가 존재했다. 그러나 학과제 도입으로 과별모집이 시행되면서 과와 반이 공존하는 학생회로 체계가 변경되었다.[19] 문과대학 산하에 심리학과/싸이코반 학생회가 있었으나 2021년 심리학부로 독립함에 따라 심리학부 학생회로 개편.[20] 기존 학부제 시절에는 동양사반 학생회와 서양사반 학생회가 별개로 존재하였으나 학과제가 시행되면서 통합되었다.[21] 2016년 하반기 동아리연합회 대표자회의(동대회)에서 분과명이 사회과학분과에서 인문·과학분과로 변경되었다[22]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은 정보전달력이 떨어지는 편. 페이스북이 가장 전달력이 좋다.[23] 세종캠퍼스에서도 2015년 6월 15~16일에 진행된 학생 총투표 결과 폐지되었다.[24] 직역하면 화강암 탑, 유독 화강암 재질의 외벽을 자랑하는 건물들이 많은 고려대학교의 별명인 '석탑'에서 따온 것으로 영자신문사이다.[25] 교육매체실 소속.[26] 교육매체실 소속.[27] 미디어학부 학생들만 지원할 수 있다.[28] 체육위원회 소속.[29] 교지대 자체는 고대문화와 석순에게만 가지만 고대문화와 석순 측에서 자언협에 분담금을 내는 형식이다.[30] 16년 2학기 기준 탈퇴[31] 정경대의 별칭인 '호안정대'에서 따왔다.[32] 오로지 손글씨와 손그림으로 만들어내는 잡지로 고려대학교 내의 소소한 사건들을 중심적으로 다루며, 줄여서 '몰되'라고 한다.[33] 고려대학교 중앙성소수자동아리 사람과사람에서 발행하는 잡지.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 개선, 차별 반대 등을 다루고 있다.[34] 영화비평 잡지이다.[35] 고려대학교 초대 총학생회장[36] 당시에는 총학생회장을 대의원총회에서 선출하였으며, 그로 인해 각 단과대학 회장이 겸임하는 구조였다.[37] 상과대학 학생회장 겸임[38] 정경대학 학생회장, 경제학과 학생회장 겸임[39] 경제학과 학생회장 겸임[40] 휴업령 등으로 인해 11월달로 선거 연기[41] 상과대학 학생회장 겸임[42] 이때부터 6월에 선거 진행[43] 1975년 긴급조치 7호에 따른 휴교령으로 총학생회가 폐지된 후 1980년 부활[44] 고대신문 863호[45] 1980년 비상계엄령으로 인해 총학생회 폐지 후 전국에서 최초로 총학생회가 부활하였다. 9월 20일 선거로 선출.[46] 고대신문 977호[47] 1984년 회칙개정으로 부총학생회장직 신설[48] 고대신문 992호[49] 고대신문 1010호[50] 고대신문 1043호[51] 고대신문 1070호[52] 고대신문 1091호 후보자 인터뷰 中[53] NL계열[54] NL계열[55] 고대신문 자료에 의하면 이때부터 선본명이 확인된다.[56] 좌파계열 (대장정학생연합)[57] 좌파계열 (대장정학생연합)[58] NL계열[59] 좌파계열 (전학협)[60] NL계열[61] 고려대학교 최초의 여성 총학생회장[62] 위키백과의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항목에는 'KU Together'라고 나와 있다.[63] 위키백과의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항목에는 'KU Together'라고 나와 있다.[64] 위키백과의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항목에는 'KU Together'라고 나와 있다.[65] 투표율 50% 미달(47.9%)로 인한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권한대행[66] 학생들의 투표에 의해 선출된 대표단체가 아니라는 이유로 위원장을 공석으로 두었다.[67] 당시 애기능동아리연합회장[68] 2014년 고대공감대 부정선거 사태로 인해 기존 제47대 총학생회장단 선거의 선거무효 처리.[69] 2013년 11월 선거 무산, 2014년 3월 재선거 선출.[70] 2014년 12월 선거 무산, 2015년 3월 재선거 선출.[71] 2015년 11월 4일 선거 무산, 2016년 3월 2일 재선거 무산.[72] 2015년 11월 선거 무산, 2016년 3월 재선거 투표 무효, 4월 재투표 선출.[73] 2016년 8월 학생회장 직무정지, 9월 학생회장 사퇴로 부학생회장의 학생회장직 승계.[74] 2015년 11월 선거 무산, 2016년 3월 재선거 선출.[75] 2015년 회칙개정으로 부학생회장직 신설[76] 2016년 하반기부터 학생회장 졸업으로 인해 학생회장 궐위[77] 이후 정보통신대학 학생회는 정보대학 학생회로 통합된다.[78] 2017년 9월의 총학생회칙 전부개정으로 개표 이의제기 시간(48시간) 직후에서 다음 대 선거 개표 이의제기 시간까지인 총학생회장단의 임기가 당선된 해의 2학기 종강일 다음날부터 이듬해 2학기 종강일까지로 변경되었다.[79] 2016년 11월 선거 무산. 2017년 3월 재선거 무산.[80] 2017년 5월 부학생회장 사퇴 및 학생회장 탄핵. 6월 보궐선거 선출.[81] 2016년 11월 선거 단독후보 낙선, 2017년 4월 재선거 선출.[82] 2016년 11월 선거 당선자가 당선확정 이전에 사퇴, 2016년 12월 재선거 선출.[83] 2016년 11월 선거 무산, 2016년 12월 재선거 선출.[84] 2017년 2월 회장 사퇴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85] 2016년 11월 선거 무산, 2017년 3월 재선거 선출.[86] 2016년 11월 선거 후보자 자격 문제로 무산. 2017 3월 재선거 선출.[87]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88] 전년도까지는 석탑대동제 준비를 중운위 산하 특위인 '축제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나 당해부터 중앙집행위원회 차원에서 산하에 '석탑대동제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준비하고 있다.[89] 2017년 11월 선거 무산, 2018년 3월 재선거 무산.[90] 3년 연속 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체제[91] 2018년 5월 11일 회장 사퇴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92] 2012년 이후 처음으로 11월 선거로 당선.[93] 2018년 10월 총학 후보 출마로 인한 회장 사퇴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94] 2017년 11월 선거 무산, 2018년 3월 재선거 선출.[95]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96] 2017년 11월 선거 무산, 2018년 3월 재선거 무산.[97] 2017년 11월 선거 무산, 2018년 3월 재선거 선출.[98] 'BLANK'라고 읽는다[99] 2017년 11월 선거 무산, 2018년 3월 재선거 선출.[100] 2018년 10월 총학 후보 출마로 인한 회장 사퇴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101] 2017년 11월 선거 무산, 2017년 12월 재선거 선출.[102] 선거 도중 상대 선본 사퇴에 따라 단독후보 선출.[103] 2018년 10월 선거 당선자 당선 직후 사퇴, 2018년 11월 재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선출.[104]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105] 2015년 이후 첫 학생회.[106]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선출.[107]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무산.[108]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무산.[109]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8년 12월 재선거 선출.[110] '이퀄'이라고 읽는다[111]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선출.[112]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113]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선출.[114]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115] 2018년 11월 선거 당선자 없음, 2019년 4월 재선거 무산.[116] 2018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3월 재선거 선출.[117] 투표 기간 3일 동안 22.18%의 투표율을 기록하였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2일의 범위에서 투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으나 연장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의결되었다.[118] 투표 기간 3일 동안 28.24%의 투표율을 기록하였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투표 기간을 2일 연장하였다.[119]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당선인 없음.[120] 중앙비상대책위원장으로 의과대학 학생회장 - 문과대학 학생회장 - 미디어학부 학생회장 순으로 선출.[121] 2019년 11월 선거 무산.[122]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선출.[123]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선출.[124]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선출.[125]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선출.[126]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19년 12월 재선거 선출.[127]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선출.[128] 2020년 11월 총학생회장단 선거 출마로 인한 회장 사퇴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129] 2019년 11월 선거 무산.[130] 2019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4월 재선거 무산.[131] 투표 기간 3일 동안 25.21%의 투표율을 기록하였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2일의 범위에서 투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으나 연장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의결되었다.[132] 2020년 11월 선거 무산[133] 중앙비상대책위원장으로 간호대학 학생회장 - 정경대학 학생회장 - 애기능동아리연합회장 순으로 선출.[134]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35]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36]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선출.[137]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4월 재선거 무산.[138]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39] 2020년 12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40]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41]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42]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선출.[143]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무산.[144]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1년 3월 재선거 선출.[145] 회장 연임.[146] 부학생회장 사퇴.[147] 2020년 11월 선거 무산, 2020년 12월 재선거 선출.[148] 2022년 5월 2일 총학생회장 피선거권 상실.[149] 2021년 12월 26일 부총학생회장 사퇴.[150] 예비후보 등록한 타 선본의 등록 포기에 따라 단독후보 선출.[151] 2021년 12월 26일 부총학생회장 사퇴.[152]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53] 2021년 11월 선거 후보 사퇴로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54]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55]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국제학부에서 국제대학으로 승격했으나 선거 미시행.[156] 2021년 11월 선거 후보자 자격 박탈로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57]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58]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59]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60]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61]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62]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63]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164] 2022년 5월 2일~5월 26일 중앙운영위원회 임시의장 체제.[165] 2022년 4월 29일 총학생회장의 무기정학 처분 예정이 알려짐에 따라 5월 2일 회원 자격 정지, 중앙운영위원회 임시의장(동아리연합회장) 체제로 운영 중 치러진 2022년 5월 보궐선거 당선인 없음.[166] 중앙비상대책위원장으로 동아리연합회장 - 의과대학 학생회장 - 문과대학 학생회장(2022년 11월 당선자) 순으로 선출.[167]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68] 2021년 11월 선거 후보 사퇴로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69] 2022년 10월 학생회장 탄핵으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170]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71] 2022년 11월 제53대 총학생회장 재선거 출마로 인한 회장단 사퇴 및 비상대책위원회 권한대행 구성[172]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국제학부에서 국제대학으로 승격했으나 선거 미시행.[173] 2022년 11월 7일 제53대 총학생회장단 재선거 출마로 인한 회장 사퇴로 부회장의 회장직 승계.[174] 2021년 11월 선거 후보자 자격 박탈로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75]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76]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77]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78]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79]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선출.[180] 2021년 11월 선거 무산, 2022년 3월 재선거 무산.[181]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182] 2022년 9월 26일 부학생회장 사퇴.[183] 2022년 11월 선거 무산. 2023년 3월 재선거 선출.[184] 2022년 11월 선거 무산. 2023년 3월 재선거 선출.[進] [185] 2022년 11월 선거 무산. 2023년 3월 재선거 선출.[186] 학생회장 단독후보로 출마하여 부학생회장직 궐위 [187] 2022년 11월 선거 무산. 2023년 3월 재선거 선출.[188] 2023학년도에 신설됨에 따라 2023년 3월 선거에서 선출.[189] 2022년 11월 선거 무산. 2023년 3월 재선거 선출.[190] 2022년 11월 선거 무산. 2023년 3월 재선거 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