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그전사 300

덤프버전 :

개그콘서트역대 엔딩 코너
2001년 1월 6일2006년 12월 31일2007년 4월 8일2007년 6월 17일
2006년 12월 24일2007년 4월 1일2007년 6월 10일2007년 12월 30일
봉숭아 학당뒤풀이 개그 등(유동적)[1]개그전사 300까다로운 변선생[2]

파일:개콘 개그전사 300.jpg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07년 4월 8일부터 2007년 7월 1일까지 방영된 개그콘서트의 전 코너.

출연진은 정명훈(16기), 김대희(14기), 김준호(14기), 이수근(18기), 김병만(17기), 윤성호(16기) 외 22기 신인개그맨들이다.


2. 상세[편집]


윤성호를 뺀 다른 개그맨들이 영화 300에 나온 스파르타 전사들의 복장을 하고 나와서 자신들의 개그 실력을 가지고 승부하는 내용. 윤성호는 나는 관대하다로 분장해서 신인 개그맨들을 이끌고 선배 개그맨들을 공격했다. 이 코너에서 시험되어 흥미유발이 잘 된 것은 후에 따로 코너로 분리되어 나와서 신인들의 이름 알리기로 꽤 선전을 해 주었다.

출연진의 주축은 2010년대개그콘서트를 주도했던 최효종, 정범균, 송준근[3], 박지선, 양상국, 조윤호, 김준현, 김지호, 허경환, 박성광, 박영진, 양선일, 곽현화, 성현주, 장도연, 허미영, 장효인, 이광섭, 김원효, 안윤상, 이원구로 구성된 22기 개그맨들로, 2007년 당시 이들은 갓 선발된 신인들이었다. 두근두근, 후궁뎐; 꽃들의 전쟁 등으로 뒤늦게나마 뜬 장효인도 22기이며, 선술했듯이 깐죽거리 잔혹사에서 중2병 돋는 대사로 인기를 끈 조윤호도 22기다.[4]

따로 나온 대표적인 코너가 3인3색이며, 특히 박지선이 이름 석자를 단번에 알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여기서 이 코너의 웃음 포인트는 크세르크세스 분장을 하고 신인 개그맨들의 호위 속에 등장하는 윤성호, 통칭 빡세스. 명대사는 "나는 관대하다." 하지만, 신인들의 개그에 반응이 시원치 않으면 "나는 관두고 싶다." 또는 "나는 관둘랜다."라고도 한다.[5]

스파르타 전사나 페르시왕 할 것 없이 선배들 모두가 상의를 탈의하고 빨간 반바지를 입은 민망한 패션이었다. 나중에는 근육이 그려진 쫄쫄이 타이즈로 대체. 물론 윤성호만 여전히 상의를 탈의했다.

또한 한 회차에서는 300 측의 선배들을 단체로 디스하기도 했는데[6][7]...

(전략)

(후배 대표가 말하자 다른 후배들이 외친다. 참고로 각 선배를 디스할 때마다 관련 사진을 넘기며 던진다)

김준호! 그의 유행어는! 하류인생! (가져와 이 짜샤!) 고교천왕! (안일권이~!) 같기도! (고오오!) 이장! (야 이노무 자식들아!)

후배들 일동: 다 똑같다!

김대희! 한 때 훈남 개그맨으로 이름을 알렸으나[8]

김인석, 유상무 등의 경쟁자 후배들이 등장하자 그가 선택한 최후의 캐릭터는!

후배들 일동: 바보!

김병만! 그의 특기는! (무술!) 취미는! (무술!) 잘하는 것! (무술!) 좋아하는 것! (무술!)

후배들 일동: 할 게 없다!

이수근! 유재석, 유진 등과 함께 버라이어티까지 출세하였으나 평균 방송 시간은!

후배들 일동 : 3분!

정명훈! 그는! (그냥 사진을 던진다)

후배들 일동: !


결국 6월에는 스파르타 전사 5인방을 진짜로 완전히 물리쳤다. 그리고 마지막 몇 주 동안은 3인3색만 주구장창 밀어붙였지.

개콘의 새로운 마지막 황금 세대인 22기를 시청자들에게 각인시켜 성공적인 세대교체의 초석으로 작동했던 코너다. 보통 신인들이 채용되면 선배들의 코너에 단체로 출연시켜 보조 역할을 맡게 하지만 이 코너는 오히려 후배들이 주연이고 선배들이 보조 역할이었다. 그만큼 KBS가 22기에 거는 기대가 컸다는 것. 이 코너가 종영되고 개콘은 7년 후인 2014년, 당해 선발된 29기 공채 개그맨들을 앞세워 달라스를 런칭했으나, 개그전사 300이 거둔 성과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 채 3주만에 종영되었다.

개그맨들 이름 자막에 오타가 나온 회차들이 많았다.[9]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4:43:35에 나무위키 개그전사 3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시기 직전 엔딩 코너가 2001년 1월 6일부터 2006년 12월 24일까지 엔딩이었던 봉숭아 학당이다.[2] 2007년 9월 16일에는 내 인생에 내기 걸었네가 엔딩이었다. 2007년 12월 23일에는 뮤지컬이 엔딩이었다.[3] 다만 송준근은 이미 OTL 코너로 먼저 데뷔한 상태였다.[4] KBS가 22기에게 얼마나 기대를 하고 있었는지 알게 해 주는 코너다. KBS 22기는 합격 직후 폭소클럽2에서도 김홍식(일명 김쌤)의 코너에 등장해서 저마다 자신의 합격 개그를 선보였다. 그리고 22기는 멤버 한명 한명이 웃음폭탄이라는 KBS의 기대에 부응했다. 그리고 현재는 대부분 KBS를 떠남.[5] 주로 성현주, 곽현화, 장도연이 민망한 춤을 출 때마다 이들을 혼내면서 저런 식으로 자학했다. 가끔 하지마!를 외치며 빡구가 빙의하기도 했다.[6] 디스한 사람은 김준현이광섭이다.[7] 처음에는 스파르타 전사 측 선배들만 디스했지만 나중에는 정종철, 박성호 등 다른 코너의 선배들을 디스했다. 그 와중에도 정명훈 까는 결말로 마무리.[8] 99년 당시 개콘 극초창기에는 김대희, 김준호가 잘생긴 역할 담당이었다.[9] 388회에서는 장도연이 장도현으로, 이광섭이 이광석으로 나왔고, 389, 390회에서는 곽현화가 곽현아로 나왔으며, 396회에선 김지호가 김지오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