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관노가면극

덤프버전 :


대한민국 탈놀이
[ 펼치기 · 접기 ]
+표시는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분류탈춤명지정번호관련단체(보존회)
탈춤 봉산탈춤, 제17호(사)봉산탈춤보존회
탈춤은율탈춤, 제61호은율탈춤보존회
탈춤강령탈춤, 제34호강령탈춤보존회/강령탈춤연구회
산대놀이송파산대놀이, 제49호(사)송파산대놀이 보존회
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제2호(사)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산대놀이+퇴계원산대놀이퇴계원산대놀이보존회
오광대가산오광대, 제73호(사)가산오광대보존회
오광대통영오광대, 제6호통영오광대보존회
오광대고성오광대, 제7호(사)고성오광대보존회
오광대+김해오광대김해오광대보존회
오광대+진주오광대진주오광대보존회
야류동래야류, 제18호(사)동래야류보존회
야류수영야류, 제43호(사)수영야류보존회
사자놀음북청사자놀음, 제15호(사)북청사자놀음보존회
사자놀음+속초사자놀이속초사자놀이보존회
기타강릉관노가면극, 13호강릉단오제보존회/강릉관노가면극보존회
기타하회별신굿탈놀이,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기타+예천청단놀음예천청단놀음보존회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fff 강릉관노가면극
{{{-1 (江陵官奴假面劇)
gangreng gwanno gamyungeg}}}}}}
파일:강릉관노가면극.jpg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분류무형문화재 / 전통문화 / 탈춤
지정연도0000년 00월 00일
관리단체(사)국가무형문화재 강릉단오제보존회

1. 개요
2. 강릉관노가면극의 각 과장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의 탈춤
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
Le talchum, danse théâtrale masquée en République de Corée
[ 세부 정보 ]

국가・위치ta-hash-start=w-0a00ebb64e023d07e13f3668c89f197c[[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등재 연도2022년
목록구분대표목록
지정번호1742






1. 개요[편집]


강릉관노가면극은 강릉관노놀이, 강릉관노탈놀이등 여러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만 (사)무형문화재 강릉단오제보존회가 지정한 공식이름은 강릉관노가면극(江陵官奴假面劇)이기에 해당 문서는 강릉관노가면극으로 서술한다.

강릉관노가면극은 강릉관청의 관노(노비)들이 진행하던 탈 놀이로써 1900년대 이후 맥이 끊기면서 현대에 복원하여 진행하는 탈놀이이다. 복원 작업 당시 과거의 신분이 밝혀지는 것을 두려워한 관노들의 거부로 복원의 큰 차질이 생겼었다. 주로 단오날에 행해졌으며 현재도 강릉단오제를 행하며 함께 연희되고 있다. 국내의 존재하는 탈놀이중 유일하게 무언극으로 연희되며, 태평소와 사물을 사용하여 반주를 한다.


2. 강릉관노가면극의 각 과장[편집]


제1과장. 장자마리 개시
파일:강릉관노가면극/장자마리과장.jpg
장자마리 두마리(?)가 서로 힘을 겨루다 화해하는 과장이다. 대한민국 탈춤중에는 비주얼 원톱인 장자마리가 등장한다..

제2과장. 양반광대와 각시의 사랑
파일:강릉관노가면극/양반소매각시마당.jpg
옴중의 물건을 둘째상좌가 뺏으며 놀리다가 둘째상좌는 쫓겨나는 과장이다.

제3과장. 시시딱딱이의 훼방
파일:강릉관노가면극/시시딱딱이과장.jpg
옴중의 물건을 둘째상좌가 뺏으며 놀리다가 둘째상좌는 쫓겨나는 과장이다.

제4과장. 소매각시 자살소동
파일:강릉관노가면극/소매각시자살.jpg
옴중의 물건을 둘째상좌가 뺏으며 놀리다가 둘째상좌는 쫓겨나는 과장이다.

제5과장. 화해의 마당
파일:강릉관노가면극/소매각시화해.jpg
옴중의 물건을 둘째상좌가 뺏으며 놀리다가 둘째상좌는 쫓겨나는 과장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1:42:13에 나무위키 강릉관노가면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