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K-from-Ling-tosite-sigure-will-ill_LE.jpg|width=100%]]}}} || || '''곡명''' || will-ill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D1F6B, #2A1846)" '''아티스트'''}}} || [[TK from 凛として時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작곡'''}}} ||<|3> [[TK(린토시테시구레)|TK]] || || '''작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편곡'''}}}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1D1F6B)" '''발매일'''}}} || [[2021년]] [[10월 3일]]^^디지털 선행 발매^^[br][[2021년]] [[10월 13일]] || [목차] [clearfix] == 소개 == 2021년 10월 13일 발매되는 [[TK from 凛として時雨]]의 싱글이자 베스트 앨범 egomaniac feedback에 수록되는 곡으로,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15주년 재방송 편집본에 새로운 엔딩 테마로 타이업되었다. 극장판 편집본도 아닌 재방송에 새로운 오프닝과 엔딩곡을 기용하는 건 이례적인 일이지만, [[타니구치 고로]] 감독은 이에 대해 보통 각각 남자 아티스트와 여자 아티스트에게 맡기거나, 하나는 기존 아티스트에게 하나는 시리즈에 참여한 적이 없던 아티스트에게 맡기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었는데 이번 경우에는 코드 기어스의 이름만 듣고 본 적은 없는 시청자들도 고려해 좀 더 아랫세대에게 친숙한 아티스트에게 맡기고자 후자를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 오프닝은 FLOW가 그대로 맡은 반면 엔딩은 가수가 바뀌어 이에 대해 일본 내에서는 호불호가 다소 갈리지만[* 재방송 1회 방영 당시 오리지널 엔딩을 맡았던 [[ALI PROJECT]]가 실시간 트렌드에 오를 정도였다.] 감독은 전체적인 스토리를 TK의 개성도 살리면서 잘 담아냈기에 만족한다고.[[https://natalie.mu/music/pp/tk03|인터뷰 링크]] ==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W06Li1nyew)]}}} || || {{{#1D1F6B '''논크레딧 오프닝 영상 + 공식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TNf8kYhnhc)]}}} || || {{{#1D1F6B '''공식 MV'''}}} || 감독은 2021 yesworld tour 나카노 선플라자 라이브 영상을 감독한 아사다 요스케(朝田洋介).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reQwEXJFek)]}}} || || {{{#1D1F6B '''egomaniac feedback 투어 라이브 영상'''}}} || == 가사 == ||
七つの光 碌でもない独りよがり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나나츠노 히카리 로쿠데모 나이 히토리요가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일곱 빛깔 변변치 못한 독전}}} || || 命のオーダー [[C.C.(코드 기아스)|失意]]は共犯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이노치노 오더 시츠이와 쿄우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생명의 [ruby(질서,ruby=order)] [[C.C.(코드 기아스)|실의]][* 실의의 일본어 발음 시츠이와 C.C.의 일본식 발음인 시츠를 활용한 말장난.]는 공범}}} || || [[기아스(코드 기아스)#s-2.1|見つめてあげるから 服従してごらん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미츠메테아게루카라 후쿠쥬우시테고란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기아스(코드 기아스)#s-2.1|찾아내줄테니 복종해보렴]]}}} || || 意識はいつからか もう[[제로(코드 기어스)|零]]だろう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이시키와 이츠카라카 모우 제로다로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의식은 언제부턴가 벌써 [[제로(코드 기어스)|[ruby(0,ruby=제로)]]]야}}} || || Transparency すべて失くしても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Transparency 스베테 나쿠시테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ruby(투명함,ruby=Transparency)] 모든 걸 잃는다해도}}} || || Transparency 君のことを離さないか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키미노 코토오 하나사나이카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너는 놓치지 않을테니까}}} || || 朽ちるまで奪わせて 突き刺すまで愛させ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쿠치루마데 우바와세테 츠키사스마데 아이사세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썩어빠질 때까지 빼앗아서 꿰뚫을 때까지 사랑해서}}} || || すべての憎しみを逆さまにし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스베테노 니쿠시미오 사카사마니 시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모든 증오를 뒤돌려서}}} || || 願いを放っ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네가이오 하낫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소원을 놓아 버렸어}}} || || Bloody Transparenc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2A1846)" [ruby(피투성이 투명함,ruby=Bloody Transparency)]}}} || || 剥がせない罪たちを ひとつに繋いで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하가세나이 츠미타치오 히토츠니 츠나이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씻을 수 없는 죄들을 하나로 엮어}}} || || [[를르슈 람페르지|己]]よくたば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오노레요 쿠다바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를르슈 람페르지|나 자신]]이여 죽어버려}}} || || 汚れた僕が君には何色に見え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요보레타 보쿠가 키미니와 나니이로니 미에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더럽혀진 내가 너에겐 어떤 색으로 보일까?}}} || || 誰にも似合う幸せなんかいらない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다레니모 니아우 시아와세난카 이라나이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누구에게나 어울리는 행복따윈 필요없어}}} || || 誰にも見えない願いも 世界も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다레니모 미에나이 네가이모 세카이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는 소망도 세상도}}} || || 君にだけ映した 見え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키미니타케 우츠시타 미에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너에게만은 비쳤어 보이니?}}} || || 放つの光 苦しい夢物語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하나츠노 히카리 쿠루시이 유메모노가타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풀어낸 빛 괴로운 꿈 이야기}}} || || 天才は猛毒 [[에어리어 11|11]]って冒涜か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텐사이와 모우도쿠 이레분테 보우토쿠카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천재는 맹독, [[에어리어 11|[ruby(11,ruby=Eleven)]]]이란 모독인 건가?}}} || || 位置についてごらんよ 意味の不明な暴徒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이치니 츠이테쿠레요 이미노 후메에이나 보우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제자리에 있어보렴 뜻모를 폭도}}} || || 意識はいつからか もう無限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이시키와 이츠카라카 모우 무겐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의식은 언제부터인가 이젠 무한이야}}} || || 憎しみよ こちら向い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니쿠시미요 코치라 무이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증오여 이곳에 모여라}}} || || 悲しみよ こちら向い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카나시미요 코치라 무이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슬픔이여 이곳에 모여라}}} || || すべての醜さは僕だけのもの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스베테노 미니쿠사와 보쿠다케노 모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모든 추악함은 나만의 것이다}}} || || すべての痛みは僕だけの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스베테노 이타미와 보쿠다케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모든 고통은 나만의 것}}} || || 鮮やかな革命が血だらけに見えるんだろう?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아자야카나 카쿠메이가 치다라케니 미에룬다로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선명한 혁명이 피투성이로 보이는 거지?}}} || || 逆さまのTransparenc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사카사마노 Transparenc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뒤집혀진 [ruby(투명함,ruby=Transparency)]}}} || || 逆さまにして 逆さまにして 逆さまにし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사카사마니시테 사카사마니시테 사카사마니시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뒤집고 뒤집고 뒤집어서[* 가사에는 적혀있지 않다.]}}} || || 願いを放った 鮮やかなTransparenc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네가이오 하낫타 아자야카나 Transparenc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소망을 놓아버렸다 선명한 [ruby(투명함,ruby=Transparency)]}}} || || 欺いて 抱き締め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아자무이테 다키시메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속이고 안아서}}} || || 君だけを繋いで すべてを捧げ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키미다케오 츠나이데 스베테오 사사게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너에게만 이어져 모든 것을 바쳤어}}} || || [[제로 레퀴엠|この心臓突き刺し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코노 신조우 츠키사시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제로 레퀴엠|이 심장을 꿰뚫어]]}}} || || その隙間から会いに行け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소노 스키마카라 아이니 이케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그 틈새로부터 만나러 갈 수 있어}}} || || 君のために奪うなら 君のために失うか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키미노 타메니 우바우나라 키미노 타메니 우시나우카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너를 위해 빼앗는다면 너를 위해 잃어버릴테니}}} || || 命を引き裂いて 光に透かして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이노치오 히키사이테 히카리니 스가시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생명을 찢어서 빛을 통과시켜}}} || || プリズムを超え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프리즈무오 코에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프리즘을 넘어}}} || || 剥がせない罪たちを ひとつに繋いで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하가세나이 츠미타치오 히토츠니 츠나이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씻을 수 없는 죄를 하나로 엮어}}} || || [[를르슈 람페르지|己]]よくたば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오노레요 쿠다바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를르슈 람페르지|나 자신]]이여 죽어버려}}} || || Transparency [[나나리 람페르지|君]]が目覚めれ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Transparency 키미가 메사메레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ruby(투명함,ruby=Transparency)] [[나나리 람페르지|네]]가 눈을 떴을 땐}}} || || 何色だって 美しいから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A1846, #BA273B)" 나니 이로닷테 우츠쿠시이카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A273B, #2A1846)" 그 어떤 색이든 아름다울테니}}} || === 해석 === [include(틀:스포일러)] >見つめてあげるから 服従してごらんよ >찾아내줄테니 복종해보렴) [[기아스(코드 기아스)#s-2.1|'''를르슈 람페르지의 기아스(절대준수의 힘)''']]를 나타낸다. >[ruby(失意, ruby=しつい)]は共犯 >[ruby(실의, ruby=시츠이)]는 공범 의미적으론 브리타니아에 대한 실의를 나타내고, [[C.C.(코드 기아스)|'''C.C.''']]의 일본식 발음이 "시츠(シーツー)"라는 점을 활용한 말장난도 함유하고 있다. >'''7''' 七つの光 (''나나''츠노 히카리) >'''6''' 禄でもない (''로쿠''데모나이) >'''5''' 命のオーダー (''이''노치노 오다) >'''4''' 失意は共犯 (''시''츠이와 쿄우한) >'''3''' 見つめてあげるから (''미''츠메테아게루카라) >'''2''' 服従してごらんよう (''후''쿠쥬우시테고란요) >'''1''' 意識はいつからか (''이''시키와 이츠카라카) >'''0''' 零だろう(''제로''다로우) [[고로아와세]]를 활용해 7부터 시작하여 0까지 카운트다운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제로는 당연하게도 그 [[제로(코드 기어스)|'''제로''']]다. >11って冒涜かい? >11이란 모독인가 작중에서 일본은 '''[[에어리어 11]]'''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8''' 放つの光 (''하''나츠노 히카리) >'''9''' 苦しい夢物語 (''쿠''루시이 유메모노가타리) >'''10''' 天才は猛毒 (''텐''사이와 모우도쿠, ten) >'''11'''って冒涜かい?(''일레븐''테 보우도쿠카이, eleven) >'''12''' 位置 (''이치니'', 1과 2) >'''13''' 意味 (''이미'', 1과 3) >'''14''' 意識 (''이시''키, 1과 4) >'''15''' 無限 (무한) 1절과 마찬가지로 고로아와세(10과 11의 경우 영어식)를 활용해 8부터 15까지 카운트를 하고 있다. 여기서 15를 무한으로 상정했다고.[[https://natalie.mu/music/pp/tk03|인터뷰 링크]] >憎しみよ こちら向いて 悲しみよ こちら向いて >증오여 여기에 모여라 슬픔이여 여기에 모여라 >すべての醜さは 僕だけのものだ すべての痛みは 僕だけの >모든 추함은 나만의 것이다 모든 고통은 나만의 것 > ---- >この心臓突き刺して その隙間から会いに行ける >이 심장을 찔러서 그 틈새로부터 만나러 갈 수 있어 > ---- >剥がせない罪達を一つに繋いで 己よ くたばれ >씻을 수 없는 죄를 하나로 엮어 나 자신이여 죽어버려 극 중 최고 명장면으로 뽑히는 를르슈의 최종계획인 '''[[제로 레퀴엠]]'''은 [[쿠루루기 스자쿠]]가 제로의 자리를 이어받고 를르슈는 고의적으로 세계를 정복하고 모든 원망과 증오를 자신에게 돌린 후 제로에게 죽임을 당하여 그 증오의 연쇄를 끊어버리는 것인데 가사에 전반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반대로 스자쿠 시점으로 연출된 엔딩 영상을 보면 스자쿠의 입장에서 스자쿠란 정체성을 포기한 채 제로로 살아가야 하는 심정을 그려냈다고도 볼 수 있다. >君が目覚めれば 何色だって美しいから >네가 눈을 뜬다면 어떤 색이든 아름답겠지 를르슈가 지금까지 해온 행적의 이유인 [[나나리 람페르지]]는 극중 최후반부에 가서 눈을 뜨게 된다. 그리고 눈을 뜬지 얼마 되지 않아 를르슈의 희생으로 합중국 브리타니아의 대표가 되고 후일담에서 를르슈가 준비해 두었던 불꽃놀이를 보게 된다. 반대로 "어떤 색이든 아름답겠지"의 대상은 를르슈가 될 수도 있는데, 여동생인 나나리 람페르지가 눈을 뜰 수만 있다면 어떤 경치라도 아름다워 보일 거란 해석도 가능하다. >逆さまのTransparency >뒤집혀진 Transparency 곡의 제목인 will-ill을 뒤집으면 ill will, 즉 "잘못된 의지"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어순을 뒤집었다는 점에서 를르슈 최후의 명대사인 '''"나는 세계를 부수고, 세계를 창조한다."'''가 연상된다는 평이 있다. [[https://utaten.com/specialArticle/index/6790|일부 해석 출처]] [[분류:TK(린토시테시구레)]][[분류:코드기아스/음악]][[분류:2021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