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w motion}}}''' || || '''첫 방송일''' ||[[2018년]] [[12월 25일]][br][dday(2018-12-24)]일째|| || '''플랫폼 현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유튜브''' 구독자: 28만명[*기준 2023년 2월 20일] 조회수: 23,845,141회[*기준] }}}|| ||<-2> '''관련 링크''' || || '''플랫폼''' ||[[https://www.youtube.com/channel/UCYHGIquRfEPOzD4uoiHn2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SNS''' ||[[https://www.instagram.com/wmotion.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클레이 애니메이션|클레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을 업로드하는 한국의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특징 == 초기에는 딱히 정해진 장르 같은 게 없는 [[클레이 애니메이션]]이었지만, 이후 거의 ~~v로그~~ 요리와 [[먹방]] 관련 [[http://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45698|영상]]으로 고정되었다. 스톱모션 세계관 자체가 명확히 정해지기 전인 초기에는 인간 캐릭터가 주로 등장했으며, 클레이 외에도 그냥 인형이 등장하거나 제작자의 손도 등장하는 등의 장면도 나왔다. 또 캐릭터들만의 일상에서 쉽게 접할 법한 소소한 헤프닝을 그린 평범한 일상물 정도였으나[* 다만 색연필 편에서는 초록 쫄쫄이를 입은 인간 캐릭터가 색연필과 종이를 [[먹방]](!)하는 영상이 있었다. 심지어 색연필을 믹서기에 갈아 마셔버리기까지 한다(...)] 워낙 요리 관련 영상이 인기가 많았는지 나중에는 거의 요리 영상이 사실상 주류가 되었다. 참고로 요리 영상에 나오는 소리들은 제작자가 실제로 요리한 소리를 녹음한 것이라고 한다. 이 영상의 묘미는 진짜 사진으로 일일이 찍었나 싶은 수준의 디테일이다.[* 가루가 주걱이나 숟가락 등에 묻어 있는 묘사라던가 얼음이 있던 자리에 물이 생기는 묘사 등.] 묘사가 워낙 세세하다보니 시청자들이 반농담으로 '제작자 분이 직접 캐릭터 옷 입고 요리 영상을 찍은 것 아니냐'고 할 정도다. 실제로 2020년 9월 19일자 영상에서 메이킹필름이 올라왔는데, 영상 한 편에 드는 노력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소품의 디테일을 살리기 위해 클레이로 원 재료와 완성된 요리를 일일이 만들며, 캐릭터들도 중간중간 다듬거나 신체 일부를 교체하는 것은 물론이고 필요하면 새로 만든다. 거기다가 부품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물품이나 캐릭터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신경쓴다. 2020년 6월 12일, [[농심 너구리|너구리 라면]]을 컨셉으로 한 광고 영상을 만들었다.[* 이후엔 같은 스톱모션 주제를 가진 [[Clicker]]도 협찬을 받았다.] 너구리 캐릭터가 나오는데, 설명란에 협찬 받았다는 영어 번역이 있긴 하지만 외국에서는 새로운 캐릭터가 멤버로 들어왔다는 댓글이 많다. [youtube(NokJTJ8bFrA)] [[파일:w motion ELO Cupcake.png]] [[https://www.youtube.com/watch?v=V8NOIv9CQwU|댓글]] [[ELO]]의 곡 중 컵케이크(Feat. [[펀치넬로]])의 뮤직비디오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아드만 스튜디오]]의 [[Morph]]를 연상케 하는 작업 스타일이 특징.또한 전반적으로 자극적이고 마이너한 취향들이 많이 가미된 외국의 클레이 애니메이션들[* 당연히 다 그런건 아니지만 은근히 애니메이션 회사 제작이 아닌 아닌 1인제작이나 인디 애니메이션쪽으로 가면 유독 이런 성향이 눈에 띈다. 당장[[Hamster hell]] 이나 [[체인소 메이드]]같은걸 보면 알수있다.]과의 차이점은 딱히 자극적이지도 않고 내용보 보기 편하다는게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공포쪽으로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처음 접했다면 이건 너무 건전해서 당황할수도 있다(…). == 캐릭터 == 후술할 캐릭터들 외에도 인간 캐릭터들이나, 특히 초기에 주로 등장했던 주황색 파란색 외계인들도 있다. === 초록이 === {{{+1 Chorokee}}} 첫 출연은 소라껍데기 편. 그 당시에는 이름도 없었고 지금하고 외형이나 성격이 미묘하게 달랐다. 초록색 [[외계인]] 캐릭터로 이름이 나오기 전에는 구 영어 교과서의 등장인물인 [[지토]]라는 별명이 있었다. 초기에는 초록색 쫄쫄이를 입은 남자가 나오는 통에 동일인물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으나 도서관 편에서 그냥 별개의 존재임이 밝혀졌다. 사실상 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격 캐릭터. 이름은 하도 시청자들이 초록이라고 해서 그냥 그렇게 지어진 듯 하다. [[펠릭스 더 캣|항상 호쾌하게 웃는 게 매력 포인트]]이며, 특기는 요리. 키는 대략 10cm 조금 넘는 수준이다. 2020년 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그 사태]]의 영향인지 뻥튀기 편부터 살이 찐 모습으로 등장한다. 초창기와 현재를 비교하면 얼굴이 꽤 둥글둥글해지고, 최근에는 배에도 살이 붙은 것이 눈에 확연히 보인다. 하지만 현재 2021년 8월 들어서는 약간 빠진 것 같다. 여담이지만 치킨 편에서는 나름 [[외계인]]이라서 그런지 [[염동력]]도 구사할 줄 아는 걸로 묘사된다! 영상 중간중간마다 운전을 하는 모습이라던가 삼겹살 편에서 쌈 싸먹을 때 마늘과 고추도 과감히 넣어서 싸먹는 둥 이름이 밝혀진 캐릭터들 중 유일한 성인으로 묘사되나[* 심지어 최근 영상본인 크림 파스타 편에선 초록이가 아예 다이나택 8000X(!)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댓글에선 초록이가 도대체 몇 살이냐는 반응이 많다~~ 다만 계란볶음밥 편부터는 ~~엄청나게 두꺼운~~ 스마트폰을 쓰는 모습이 꽤 자주 나오면서 벽돌폰에 대한 논쟁이 자연스럽게 뭍혔다.] 이 스톱모션 특정상 술을 마신다는 묘사가 없는 걸 보면 비음주자 내지 다른 어린이 캐릭터들이 따라할까봐서 인 듯. 탕수육은 찍먹. === [[연두]] === {{{+1 Yeondoo}}} 첫 출연은 머랭쿠키 편. 곰을 닮은 듯한 [[연두]]색 캐릭터이다. 이름은 초록이와 마찬가지로 구독자들에 의해 지어진 이름인 듯 하다. 2020년 중반부터 캐릭터의 모습이 초록이와 비슷하게 바뀌었다가 최근에는 다시 원상복귀되었다. 탕수육은 토시와 같이 부먹. === [[토시]] === {{{+1 Tosee}}} 첫 출연은 움직이는 토끼모자 편. 의외로 초록이보다 먼저 출연했다! [[토끼]]를 닮은 듯한 갈색 캐릭터이다. 2020년 중반부터 귀에 무지개색 고리 같은 걸 여러개 끼고 다닌다. 탕수육은 연두와 같이 부먹. === [[노리]] === {{{+1 Nori}}} 첫 출연은 치킨 편. 이름이 밝혀진 캐릭터들 중 가장 늦게 출연했다. [[고양이]]를 닮은 듯한 노란색 캐릭터로 눈이 일자 형태이며 다른 캐릭터들보다 어린 듯 하다. 초록이 다음으로 인기가 많아서인지 이름이 밝혀진 캐릭터들 중 초록이 다음으로 출연이 많은 편이다. 대부분은 초록이가 단독으로 요리를 하지만 --[[다시다]] PPL-- 떡만둣국 편에서 노리가 같이 거들기도 했고, 딸기 샌드위치 편은 워낙 간단한 레시피라 그런지 자고 있던 초록이 몰래 혼자 모든 걸 준비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간중간 만들다 말고 재료인 딸기를 크림에 묻혀서 우걱우걱 먹는 모습이 은근히 귀엽다.] --서당 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 탕수육은 초록이처럼 찍먹...인듯 하나 막판에선 그냥 소스없이 먹는 걸 보면 그냥 안먹일 듯... == 미디어 믹스 == === 카카오톡 이모티콘 === 2022년 11월 30일 [[카카오톡]]의 [[이모티콘]]으로 나왔다. [[https://e.kakao.com/t/green-clay-buddy-chorog|링크]] [[분류:대한민국의 유튜버]][[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터]][[분류:애니메이션 제작 유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