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planetarian)] [include(틀:Key 애니메이션)] [목차] == [anchor(작은 별의 꿈)]ONA: 작은 별의 꿈 == ||<-2>
{{{#ffffff,#ffffff '''{{{+1 플라네타리안: 작은 별의 꿈}}}''' (2016)[br]planetarian ~ちいさなほしのゆめ~}}}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lanetarian key visual.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SF]], [[드라마]], [[포스트 아포칼립스]] || || '''{{{#ffffff,#ffffff 원작}}}''' ||「[[planetarian ~작은 별의 꿈~]]」,,([[Key(브랜드)|Key]]),, || || '''{{{#ffffff,#ffffff 감독}}}''' ||[[츠다 나오카츠]] || || '''{{{#ffffff,#ffffff 시리즈 디렉터}}}''' ||[[나카야마 카츠이치]][br]마치타니 슌스케(町谷俊輔) || || '''{{{#ffffff,#ffffff 각본}}}''' ||야스카와 쇼고(ヤスカワショウゴ)[br][[츠다 나오카츠]] || || '''{{{#ffffff,#ffffff 원작 협력}}}''' ||[[Key(브랜드)|Key]] / [[비주얼 아츠]]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코마츠 에지]]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타케치 히토미(竹知仁美) || || '''{{{#ffffff,#ffffff 메카닉 디자인}}}''' ||[[에비카와 카네타케]] || || '''{{{#ffffff,#ffffff 소품 디자인}}}''' ||우치다 신야(内田シンヤ)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이즈미 칸(泉寛)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사토 히로코(佐藤裕子)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타케다 유스케]][br]스기야마 유코(杉山祐子) || || '''{{{#ffffff,#ffffff 3D 디렉터}}}''' ||나가사와 요지(長澤洋二)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와타나베 아리마사(渡辺有正) || || '''{{{#ffffff,#ffffff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야마구치 타카유키(山口貴之)[br][[츠다 나오카츠]] || || '''{{{#ffffff,#ffffff 음향 효과}}}'''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 || '''{{{#ffffff,#ffffff 음악}}}''' ||[[오리토 신지]],,([[비주얼 아츠]]),,[br][[돈마루]],,([[비주얼 아츠]]),,[br][[타케시타 토모히로]],,([[비주얼 아츠]]),,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david production]] || || '''{{{#ffffff,#ffffff 제작}}}''' ||planetarian project[* [[아스믹 에이스]], [[KADOKAWA]], [[JR 동일본|JR 히가시니혼 기획]], [[david production]], [[비주얼 아츠]]] || || '''{{{#ffffff,#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6년 7월|2016. 07. 07.]] ~ 2016. 08. 04. || || '''{{{#ffffff,#ffffff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애니맥스 코리아]] || || '''{{{#ffffff,#ffffff 편당 러닝타임}}}''' ||13분~24분 || || '''{{{#ffffff,#ffffff 화수}}}''' ||전5화 ([[ONA]])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planetarian-project.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유메미의 목소리로 음성 안내 및 BGM을 들을 수 있다.]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lanetarian_pj, 크기=25)] || }}}}}}}}} || [[Kanon]] 이후 발매된 Key 작품 중 가장 오랫동안[* [[Kanon]] 2년 6개월(1999년 6월 발매, 2002년 1월 애니화), [[AIR(게임)|AIR]] 4년 3개월(2000년 9월 발매, 2005년 1월 애니화), [[CLANNAD]] 3년 6개월(2004년 4월 발매, 2007년 10월 애니화), [[리틀 버스터즈!]] 5년 3개월(2007년 7월 발매, 2012년 10월 애니화), [[|Rewrite]] 5년 1개월(2011년 6월 발매, 2016년 7월 애니화), [[Angel Beats!]]는 애니메이션이 먼저 나온 케이스므로 논외.] 애니메이션화가 되지 않았던 작품이나, 2015년 10월 애니화가 발표된 [[Rewrite]]에 이어서 [[2016년]] [[4월 1일]]에 원작이 발매된 지 약 '''12년''' 만에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http://key.visualarts.gr.jp/product/planetarian/animation/index.html|#]]) 하필 발표일이 [[만우절]]이라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었지만, Key에서는 만우절에 '''진짜''' 신작 관련 발표를 하는 전통에 따라 사실이 되었다. 성우진은 플레이스테이션 2의 [[오노 다이스케]]와 [[스즈키 케이코]]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 시리즈로 유명한 [[david production]]이다. 게임 본편인 작은 별의 꿈 파트가 5편짜리 쇼트 웹 애니메이션으로 [[2016년]] [[칠석|7월 7일]]부터 방영하였고, 드라마 CD ~별의 사람~의 내용을 애니메이션화한 극장판이 2016년 9월 개봉하였다. 또한 작중의 중요 요소라고도 할 수 있는 로봇들의 메카닉 디자인은 [[풀 메탈 패닉!]],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로 유명한 [[에비카와 카네타케]]가 담당하게 되었다. 발표회에서 또한 테마곡 및 이미지 송에 대한 정보도 밝혀졌다. 이 외에 PV 2개에서 사용된 OST들은 원작에서 사용되었던 いつくし深き와 Gentle Jena를 리믹스한 것이다. 다만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맡은 곳이 과거 [[도시락 전쟁/애니메이션|도시락 전쟁]]에서 사죄드립 등 극우/혐한 요소를 삽입한 전적이 있는 만큼 전쟁 등이 주제가 되는 해당 작품을 애니화하면서 원작에도 없었던 극우 요소를 삽입하지는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으나 결국 자의적인 해석 없이 본편을 무사히 끝마쳤다.[* 그나마 [[도시락 전쟁/애니메이션|도시락 전쟁]]의 경우 원작에서 한국과 관련된 개그 요소가 등장하니만큼 제작사가 이걸 혐한 요소로 발전시켰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나마 같은 회사에서 애니화한 [[이누×보쿠 SS/애니메이션|이누×보쿠 SS]], [[초차원게임 넵튠 THE ANIMATION]]의 경우 별다른 극우 요소가 등장하지 않았다.] 한국에서 거의 편성이 되지 않는 1쿨 미만의 변칙 편성 애니메이션임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자막으로만 동시방영이 결정되었다. [[Angel Beats!]] 이후의 Key 작품을 전부 애니플러스에서 가져가서 그렇지 과거 애니맥스에서는 Key 원작 애니메이션인 [[Kanon(2006년 애니메이션)|카논 리메이크]]와 [[AIR(TVA)|AIR]]를 더빙으로 방영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판권이 만료된 탓에 볼 수 없다. 플라네타리안과 함께 동 분기의 [[Rewrite/애니메이션|Rewrite]]가 [[애니플러스]]에서 방영되고, 오랫동안 방영되지 않던 [[CLANNAD: AFTER STORY]]도 2018년에 [[애니박스]]에서 방영됨에 따라 Key 원작의 모든 애니메이션이 한국에서 방영되게 되었다. BD/DVD는 1~5화가 한 권에 모두 수록되어 있는 구조이며, 판매량은 초동 4805장으로 비교적 저예산으로 제작된 웹애니로서는 훌륭한 편. 원작의 감동과 주제 의식을 제대로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북미에서는 [[퍼니메이션]]에서, 한국과는 달리 영어더빙되어 방영되었다. === P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_uy1yrP7gI)]}}}||{{{#!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uJ7QSMJwv0)]}}}|| || '''{{{#ffffff 1차 pv}}}''' || '''{{{#ffffff 전송 & 극장판 planetarian 예고편}}}''' || === 주제가 === * 웹 통신판 엔딩 테마: Twinkle Starlight / [[사사키 사야카]] * 이미지 송: Worlds Pain / [[Ceui]] * 5화 엔딩 테마: 星めぐりの歌(별을 도는 노래) / MELL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2 제1장}}} || {{{-2 ロボットの花束[br]로봇의 꽃다발}}} ||<|3> {{{-2 야스카와 쇼고[br](ヤスカワショウゴ)}}} || {{{-2 [[츠다 나오카츠]]}}} || {{{-2 마치타니 슌스케[br](町谷俊輔)}}} || {{{-2 요코야마 켄지[br](横山謙次)[br]야마모토 아키히로[br](山本晃宏)}}} ||<|3> {{{-2 타케치 히토미[br](竹知仁美)[br]키요마루 사토루[br](清丸 悟)[br]소부 유코[br](蘇武裕子)}}} || {{{-2 日: 2016.07.07.[br]韓: 2016.07.10.}}} || || {{{-2 제2장}}} || {{{-2 投影機修理[br]투영기 수리}}} ||<-2> {{{-2 [[나카야마 카츠이치]]}}} || {{{-2 타니가와 마사키[br](谷川政輝)[br]와타나베 하루[br](渡邊葉瑠)}}} || {{{-2 日: 2016.07.14.[br]韓: 2016.07.17.}}} || || {{{-2 제3장}}} || {{{-2 ゆめみの投影 [br]유메미의 투영}}} ||<|2><-2> {{{-2 마치타니 슌스케}}} || {{{-2 요코야마 켄지[br]나마타메 야스히로[br](生田目康裕)}}} || {{{-2 日: 2016.07.21.[br]韓: 2016.07.24.}}} || || {{{-2 제4장}}} || {{{-2 酒に酔う[br]술에 취하다}}} ||<|2> {{{-2 츠다 나오카츠}}} || {{{-2 츠즈쿠 류지[br](都竹隆治)[br]키노시타 유이[br](木下由衣)[br]오츠카 케이하나[br](大塚渓花)[br]사이키 야스히로[*A 액션][br](才木康寛)}}} || {{{-2 타케치 히토미[br]키요마루 사토루[br]코바야시 료[br](小林 亮)}}} || {{{-2 日: 2016.07.28.[br]韓: 2016.07.31.}}} || || {{{-2 제5장}}} || {{{-2 ゆめみの願い[br]유메미의 소원}}} ||<-2> {{{-2 나카야마 카츠이치}}} || {{{-2 코바야시 료[br]요코야마 켄지[br]야마모토 아키히로[br]사이키 야스히로[*A][br]에비하라 마사오[*A][br](海老原雅夫)}}} || {{{-2 타케치 히토미[br]키요마루 사토루}}} || {{{-2 日: 2016.08.04.[br]韓: 2016.08.07.}}} || == 극장판: 별의 사람 == ||<-2>
{{{#ffffff,#ffffff '''{{{+1 플라네타리안: 별의 사람}}}''' (2016)[br]'''planetarian ~星の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플라네타리안_별의사람.jpg|width=100%]]}}} || ||<-2><^|1>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planetarian_movie.jpg|width=100%]]}}}}}}}}}}}} || || '''{{{#ffffff,#ffffff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니메이션]], [[SF]], [[드라마]], [[포스트 아포칼립스]]}}} || || '''{{{#ffffff,#ffffff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츠다 나오카츠]]}}} || || '''{{{#ffffff,#ffffff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야스카와 쇼고(ヤスカワショウゴ)[br][[츠다 나오카츠]]}}} || || '''{{{#ffffff,#ffffff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planetarian ~작은 별의 꿈~]]」 ([[Key(브랜드)|Key]])}}} || || '''{{{#ffffff,#ffffff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스즈키 케이코]][br][[오노 다이스케]] 등}}}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와타나베 아리마사(渡辺有正)}}}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마츠 에지]]}}}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타케치 히토미(竹知仁美)}}} || || '''{{{#ffffff,#ffffff 메카닉 디자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에비카와 카네타케]]}}} || || '''{{{#ffffff,#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리토 신지]][br][[돈마루]][br][[타케시타 토모히로]]}}} || || '''{{{#ffffff,#ffffff 주제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Lia]] / 星の舟(별의 배)}}}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david production]]}}} || || '''{{{#ffffff,#ffffff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planetarian project}}} || || '''{{{#ffffff,#ffffff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맥스 코리아]][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퍼니메이션]]}}} || || '''{{{#ffffff,#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아스믹 에이스]]}}} || || '''{{{#ffffff,#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9월 3일}}} || || '''{{{#ffffff,#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17분}}} || || '''{{{#ffffff,#ffffff 일본 흥행 수익}}}''' ||{{{#!wiki style="margin: 0px 10px" '''6,200만 엔'''}}}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40]] {{{#000000,#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ffffff,#ffffff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planetarian-project.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극장판은 9월 3일 개봉하였으며, 야후 평점 순위에서는 그 [[너의 이름은.]]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하는 등[* 단, 너의 이름은.에 비해 표본이 적다는 걸 감안해야 한다. 그리고 극장판의 반 정도는 그 전에 나온 [[ONA]]와 동일하다.] 극찬을 받고 6200만엔의 흥행 성적을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블루레이는 2017년 2월 발매. 한국에서도 2017년 4월 30일 [[애니맥스 코리아]]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애니맥스 플러스를 통해 VOD 서비스도 제공되었다. 현재는 애니맥스 쪽 판권이 만료되었는데, [[네이버 시리즈]]에서는 구매할 수 있었지만 이 또한 판매가 중지되어서 현재는 한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루트가 없다. === P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2u_ZOS00uI)]}}}|| || '''{{{#ffffff 극장판 planetarian 별의 사람 예고편}}}''' || === 주제가 === * 극장판 주제가: 星の舟(별의 배) / [[Lia]] * 극장판 이미지 송 : Gentle Jena / [[키타자와 아야카]] == OVA: 스노 글로브 == ||<-2>
{{{#ffffff,#ffffff '''{{{+1 플라네타리안: 스노 글로브}}}''' (2021)[br]planetarian ~[ruby(雪圏球, ruby=スノーグローブ)]~}}}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lanetarian snow globe.jpg|width=100%]]}}} || ||<-2>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ffffff,#ffffff 장르}}}''' ||[[SF]], [[드라마]] || || '''{{{#ffffff,#ffffff 원작}}}''' ||「[[planetarian ~스노 글로브~]]」,,([[Key(브랜드)|Key]]),, || || '''{{{#ffffff,#ffffff 감독}}}''' ||타마무라 진(玉村仁) || || '''{{{#ffffff,#ffffff 시리즈 구성}}}''' ||<|2>야스카와 쇼고(ヤスカワショウゴ) || || '''{{{#ffffff,#ffffff 각본}}}''' || || '''{{{#ffffff,#ffffff 캐릭터 원안}}}''' ||[[코마츠 에지]] || || '''{{{#ffffff,#ffffff 캐릭터 디자인}}}''' ||<|2>타케치 히토미(竹知仁美) || || '''{{{#ffffff,#ffffff 총작화 감독}}}''' || || '''{{{#ffffff,#ffffff 소품 디자인}}}''' ||에마 카즈타카(江間一隆) || || '''{{{#ffffff,#ffffff 미술 감독}}}''' ||와타나베 유키히로(渡辺幸浩) || || '''{{{#ffffff,#ffffff 미술 설정}}}''' ||무라타 타카히로(村田貴弘) || || '''{{{#ffffff,#ffffff 색채 설계}}}''' ||사토 히로코(佐藤裕子) || || '''{{{#ffffff,#ffffff 촬영 감독}}}''' ||와타나베 아리마사(渡辺有正) || || '''{{{#ffffff,#ffffff 3D 감독}}}''' ||나가사와 요지(長澤洋二) || || '''{{{#ffffff,#ffffff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 || '''{{{#ffffff,#ffffff 음향 감독}}}''' ||야마구치 타카유키(山口貴之) || || '''{{{#ffffff,#ffffff 음향 효과}}}'''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 || '''{{{#ffffff,#ffffff 음악 제작}}}''' ||[[Key(브랜드)|Key]] / [[비주얼 아츠]] || || '''{{{#ffffff,#ffffff 수퍼바이저}}}''' ||[[츠다 나오카츠]] || || '''{{{#ffffff,#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오쿠루토 노보루]] || || '''{{{#ffffff,#ffffff 제작}}}''' ||15th planetarian project || || '''{{{#ffffff,#ffffff 발매}}}''' ||[[애니메이션/2021년 1월|2021. 01. 20.]] || || '''{{{#ffffff,#ffffff 화수}}}''' ||1화 || || '''{{{#ffffff,#ffffff 시청 등급}}}''' ||미정 || || '''{{{#ffffff,#ffffff 관련 사이트}}}''' ||[[https://camp-fire.jp/projects/view/202824|[[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lanetarian_pj, 크기=25)] || }}}}}}}}} || 2019년 11월 29일, 원작 15주년을 기념하여 3천만 엔을 목표로 드라마 CD 스노 글로브의 OVA 제작을 위한 크라우드 펀딩이 시작되었다. [[https://camp-fire.jp/projects/view/202824|#]] 2019년 12월 1일, 펀딩 개시 3일만에 목표치를 달성하여 25분 분량의 OVA 제작이 결정되었다. 초과 액수에 따라 분량이 연장될 수 있다. 이후 분량 연장, 수록곡 추가 등의 추가 목표를 차례로 달성하였고, 펀딩 마지막 날인 2020년 1월 24일에는 스노 글로브 [[키네틱 노벨]]화라는 최종 목표까지 달성하며 총 77,986,867엔으로 목표치를 259%로 초과 달성하며 마무리되었다. 본래 2020년 9월 경 리워드 발송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여파로 제작에 차질이 생겨 2021년 1월 말로 연기되었고, 1월 20일 발송이 시작되었다. 통상판은 2021년 8월 25일에 [[KADOKAWA]]를 통해 발매되었다. === PV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NVLODgQ74w)]}}}|| || '''{{{#ffffff 스노 글로브 OVA화 프로젝트 PV}}}'''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lanetarian ~작은 별의 꿈~, version=298, paragraph=6.1)] [[분류:planetarian]][[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6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아시아의 웹 애니메이션]][[분류:2016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david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