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세포생물학]][[분류:분자생물학]][[분류:단백질]] [목차] == 개요 == '''TP53'''은 DNA 복구(DNA repair), [[세포주기조절계|세포주기의 조절]], 세포 노화(cellular senescence), [[세포자멸사]](apoptosis) 등 여러 과정에 작용하는 중요한 유전자이다. TP53에 의해 발현되는 p53은 [[전사인자]]로, '''Mdm2'''에 의해 억제되며, p21을 활성화한다. 약 50%의 암에서 TP53의 돌연변이가 나타난다. 유전적으로 두 TP53 대립유전자 중 하나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을 리-프라우메니 증후군(Li fraumeni syndrome)이라고 한다. 이는 [[골육종]] 등의 [[육종]](sarcoma), [[유방암]], [[백혈병]] 등과 관련이 있다. == 기능과 기전 == [[파일:P53.jpg|width=400]] 위 그림은 P53의 활성을 유도하는 자극(DNA 손상, 비정상적인 세포주기, 저산소증)과 P53의 활성에 의한 결과(DNA 복구, 세포 자멸사)를 나타내고 있다. === 활성화 === 세포에 스트레스 자극이 없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p53은 Mdm2에 의해 억제된다. 일반적인 상태에는 Mdm2가 p53의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p53의 반감기가 길지 않다. p53은 DNA 손상, 비정상적인 세포주기, [[저산소증]](hypoxia),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삼투압 충격(osmotic shock) 등은 p53을 활성화한다. 이러한 스트레스의 인지, p53의 활성화는 인산화(phosphorylation)에 의해 일어난다. === 세포주기의 조절 === === [[세포자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