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듬 게임 작곡가]][[분류:동인 음악 작곡가]] ||<-2> '''{{{+1 meganek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ganeko ChannelProfile.jpg|width=100%]]}}} || || '''유튜브 가입일''' ||2013년 12월 14일[br][dday(2013-12-14)]일째|| || '''플랫폼 현황''' ||'''[[https://www.youtube.com/c/meganek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유튜브''' 구독: 4.31만 명[*기준 2023년 1월 10일] 조회수: 1387.09만 회[*기준] || || '''관련 링크''' ||[[https://meganeko.bandcamp.com/|[[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meganek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soundcloud.com/meganeko|[[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eganekomusic, 크기=20)] [[https://www.facebook.com/meganekomusi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rtist/5tXUIbGjW1uqXoy8cPW8MB|[[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https://meganeko.newgrounds.com/|[[파일:Newgrounds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meganeko는 현재 유튜브 구독자 약 4만명을 가지고 있는 작곡가이다. 초기에 칩튠이 가미된 하드코어 곡을 만들다가 현재는 실험적인 장르 위주로 활동하고 있다. 데뷔 초반, Robot Language 등 일부 곡이 Geometry Dash의 커스텀 레벨을 통해 인기를 끌었으며, 몇몇 곡들은 현재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당시 곡들은 밝은 멜로디와 대비되는 어두운 가사를 가진 것이 특징. (Stasis, Milkshake 등) 2010년대 중반 이후 베이스 뮤직으로 전향하며 기존 스타일과 다소 멀어지는가 싶더니 ULTRAKILL에 제공한 The Cyber Grind를 통해 폼을 되찾았다는 평가를 받는 중. == 앨범 == === 정규 앨범 === ==== Nascens ==== ||<-2> '''{{{+1 Nascen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ganeko_Nascens.jpg|width=100%]]}}} || || '''발매일''' ||2018년 9월 1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1 || Boot Sequence || || 02 || Space Magic || || 03 || IO || || 04 || Cloudscape Architect || || 05 || Velocity || }}}}}}}}} || || '''앨범 가격''' ||38 [[스웨덴 크로나]][*B Bandcamp 기준.] || || '''관련 링크''' ||[[https://meganeko.bandcamp.com/album/nascens|[[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FeX6D0XI3WPu6voBMkXnm86C6IZ52g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재생목록]] [[https://soundcloud.com/meganeko/sets/nascens|[[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76287k7E70rZ8hjgOVj8WJ|[[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 ==== Eclipse ==== ||<-2> '''{{{+1 Eclip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ganeko Eclipse Thumbnail.jpg|width=100%]]}}} || || '''발매일''' ||2020년 2월 1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1 || Monolith || || 02 || Feral || || 03 || Ninox || || 04 || Kosmonaut || || 05 || Pyroclastic Horizon || || 06 || Sirius B || || 07 || Sirius A || || 08 || Earth || || 09 || Megalith || }}}}}}}}} || || '''앨범 가격''' ||60 [[스웨덴 크로나]][*B][* 사실 meganeko의 Newgrounds 페이지에서 모든 수록곡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 || '''관련 링크''' ||[[https://meganeko.bandcamp.com/album/eclipse|[[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FeX6D0XI3Ue5TqQ2wZB3CIoqIrSrV4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재생목록]] [[https://soundcloud.com/meganeko/sets/eclipse|[[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6j3YaexmmMgg7rueDrFsqp|[[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https://www.newgrounds.com/playlists/view/be0b97dec34eb836a819f2c4801abd67|[[파일:Newgrounds 아이콘.svg|width=20]]]] || ==== Sequence Break ==== ||<-2> '''{{{+1 Sequence Brea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ganeko_Sequence Break.jpg |width=100%]]}}} || || '''발매일''' ||2020년 9월 25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1 || is this ok?[* FantomenK와 합작] || || 02 || Lights Camera Action || || 03 || Breathe[* RoccoW와 합작] || || 04 || 2k9 battle jam (Kastor Remix) || || 05 || Sharkatzor || || 06 || Sunset || }}}}}}}}} || || '''앨범 가격''' ||50 [[스웨덴 크로나]][*B] || || '''관련 링크''' ||[[https://meganeko.bandcamp.com/album/sequence-break|[[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l5Qy7PnfjMsy8Pmm_AoLcy0jePXgesXd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재생목록]] [[https://soundcloud.com/meganeko/sets/sequence-break|[[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3YFjJYe95yeiaZCHOun6Nu|[[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 === EP === ==== Robot Language ==== ||<-2> '''{{{+1 Robot Languag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ganeko_Robot Language.jpg|width=100%]]}}} || || '''발매일''' ||2013년 12월 13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01 || she speaks || || 02 || Robot Language || || 03 || nano love || || 04 || Super Gamer Girl 3D || || 05 || Gravitation || || 06 || Stasis || }}}}}}}}} || || '''앨범 가격''' ||38 [[스웨덴 크로나]][*B] || || '''관련 링크''' ||[[https://meganeko.bandcamp.com/album/robot-language|[[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FeX6D0XI3WlDN5eo-g6i23o31JKD0F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재생목록]] [[https://soundcloud.com/meganeko/sets/robot-language|[[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05K6rbKctpncI117SUwVoH|[[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 meganeko의 초창기를 대표하는 인기곡을 배출한 두 EP 중 하나. 비교적 멜로딕한 면이 강해 boy irl girl url과 함께 명반으로 평가받고 있다. ==== boy irl girl url ==== ==== Technokinesis ==== ==== PSY2K ==== ||<-2> '''{{{+1 PSY2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eganeko_PSY2K.jpg |width=100%]]}}} || || '''발매일''' ||2021년 7월 16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트랙 || 곡명 || 명의 || || 01 || Mind/ /Pulse || || || 02 || Echolocation || meganeko || || 03 || Play With Fire || || || 04 || e a r t h {{{[ILLUSION:SIMULATION]}}} || Shirobon || }}}}}}}}} || || '''앨범 가격''' ||38 [[스웨덴 크로나]][*B] || || '''관련 링크''' ||[[https://meganeko.bandcamp.com/album/psy2k|[[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FeX6D0XI3Ulr4uVNhx_m38C4zoHDDw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재생목록]] [[https://soundcloud.com/meganeko/sets/psy2k|[[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lbum/1e8SJhrwp1Qj1Yegme7ZxY|[[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ShirobonTV|Shirobon]][* [[Just Shapes & Beats]]에 [[On The Run]], [[FOX(Just Shapes & Beats)|FOX]], [[Spider Dance]] 리믹스 등을 제공했다.]과의 스플릿 앨범. 모티브는 PS1 시절의 비디오 게임으로, 앨범 커버도 이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커버에 있는 오브젝트의 이름은 mant capsule이라고 한다. ==== Chaos Magic ==== == 게임에 제공한 곡 == === [[Project Arrhythmia]] === * Distance[*A PA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이다.] * Milkshake * Node[*A] * Slime Boy Color * Stasis * Super Gamer Girl 3D * Symbiot[*A] === [[A Dance of Fire and Ice]] === *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PA번째|Distance]][* [[Project Arrhythmia]]와 ADOFAI의 콜라보로 ADOFAI에도 수록되었다.] *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2022년#Sirius A|Sirius A]][*C 공식 레벨로 수록된 것은 아니고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추천 레벨]]로 수록되었다. 그러나 모바일로도 수록될 예정인데다가 제작자가 직접 선정한거라 사실상 리듬게임 자체에 수록된 것이나 다름없다.] *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2022년#Sirius A|Sirius B]][*C] * [[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2022년#Feral|Feral]][*C] === [[ULTRAKILL]] === * The Cyber Grind === [[osu!]] === * Feral^^(osu! edit)^^ * Monolith^^(osu! edit)^^ * Ninox^^(osu! edit)^^ * Sirius A^^(osu! edit)^^ === [[Just Shapes & Beats]] === * [[Crystal Tokyo]][* FantomenK와의 합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