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T)] [include(틀:kt스포츠)] ||<-2><:> '''{{{+2 주식회사 케이티스포츠}}}'''[br]kt sports Co., Ltd. || ||<-2> [[파일:kt스포츠 로고.svg|width=60%]] || || '''설립일''' ||[[2013년]] [[4월 1일]] || || '''업종명''' ||스포츠 클럽 운영업 || || '''대표자''' ||이창호 || || '''모회사''' ||[[KT]] || || '''주요 주주''' ||'''[[KT]]: 66.0%'''[br][[KT스카이라이프]]: 18.0% || || '''기업 분류''' ||[[대기업]] || ||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97명^^(2020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220억원^^(2020년 기준)^^ || || '''매출액''' ||465억 3,945만 1,571원^^(2020년 기준)^^ || || '''영업이익''' ||-25억 1,763만 3,291원^^(2020년 기준)^^ || || '''순이익''' ||-25억 1,648만 701원^^(2020년 기준)^^ || || '''자산총액''' ||265억 7,188만 6,405원^^(2020년 기준)^^ || || '''부채총액''' ||149억 4,039만 5,884원^^(2020년 기준)^^ || || '''미션''' ||'''스포츠를 통해 팬들에게 사랑받고, 임직원의 자긍심을 고취해 KT그룹의 가치를 높인다.''' || || '''비전''' ||'''소통의 플랫폼 안에서 팬들과 하나되는 KT그룹''' || ||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893 ([[조원동(수원)|조원동]],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 || '''홈페이지''' ||[[http://kt-sports.co.kr]] || [목차] [clearfix] == 개요 == [[KT]] 산하의 스포츠팀들을 관리하는 법인. 사무국은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내에 위치해 있다. == 지배구조 == 2020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KT]] || 66.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KT스카이라이프]] || 18.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kt is]] || 6.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kt cs]] || 6.0%||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비씨카드]] || 4.0%|| == 역대 대표이사 == * 권사일 (2013~2014) * 김영수 (2014~2016) * 김준교 (2016) * 유태열 (2016~2020) * 남상봉 (2020~2022) * 신현옥 (2022~ ) == 운영팀 == * [[kt wiz]] (야구) * [[수원 kt 소닉붐]] (농구) * [[kt 롤스터]] (e스포츠) * kt 사격선수단 * [[kt 하키단]] * 비씨카드 골프단[* kt 골프단에서 변경] == 시설 == * [[kt빅토리움]] * KT스포츠센터 * [[수원 kt 위즈 파크]] == 스폰서십 == * [[대한축구협회]] * 올레배 바둑 오픈 챔피언십 == 우승 기록 == ||<-2>
{{{#FFFFFF '''구단'''}}} || {{{#FFFFFF '''우승 횟수'''}}} || {{{#FFFFFF '''우승 경력'''}}} || ||<-2> [[수원 kt 소닉붐]] || 1회 || 2010-2011 [[한국프로농구]] 정규시즌 우승 || ||<|11> [[kt Rolster]][br](총 11회) ||<|4>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4>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4회]] || 2009-10시즌 스타크래프트 위너스리그 우승 || || 2009-10시즌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우승 || || 2010-11시즌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우승 || || 2014년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우승 || || [[스페셜 포스]] || [[kt 롤스터/스페셜 포스|1회]] ||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2nd 우승 || ||<|4> [[리그 오브 레전드]] ||<|4>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4회]] || IEM Season VIII World Championship 우승 || || HOT6 Champions Summer 2014 우승 || || 2017 LoL KeSPA Cup 우승 || ||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 ||<|2>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2> [[Rolster Y|2회]] || 2021 Wild Rift Champions Korea 우승 || ||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 ||<-2> [[kt wiz]] || 1회 || [[KBO 리그/2021년|2021 KBO 리그 페넌트레이스]] 및 [[202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 ||<-4> {{{#FFFFFF 합계: '''13회'''}}} || == 비판 == 프런트에 운영에 대한 비판이 늘어나고 있다. 농구와 야구는 인기종목인데도 불구하고 [[가성비]] 문화가 짙게 깔려있어 선수단 몸값이 오르면 재계약보다 보내기에 바쁜데다 중고 영입에 혈안되어있다. 심지어 게임단은 가성비를 넘어 아예 돈을 안쓴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 특히 [[kt wiz|야구단]]은 창단 이후 만년 꼴찌에 2018 시즌만 따지면 [[NC 다이노스|NC]]의 엄청난 부진으로 간신히 꼴찌를 면했음에도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더니 그 결과 매년 삽질하기 바쁜 야구단이였고, [[수원 kt 소닉붐|농구단]]의 경우 FA 시장에 S급이나 A급 대신 벤치멤버에 들어간 선수의 B급 영입에 혈안됨을 넘어 빅네임 영입은 거의 하지 않는다. 그 결과는 누가 보아도... 그나마 게임단은 스타판의 레알 마드리드라는 소리를 들었을정도로 돈을 많이 쓰던 시절이 있었으나 2000년대 중후반부터 이름값에 비해 투자가 줄어들었고 이는 롤팀으로도 이어져 오랜 숙원인 [[롤챔스]] 우승을 했음에도 이적 시장에서 의아한 판단을 반복데다, 가장 큰 문제인 [[오창종|감]][[정제승|코]][[손승익|진]]을 내버려뒀다가 5대 리그 최초로 디펜딩 챔피언이 승강전으로 끌려가는 굴욕을 당하게 된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롤스터]] 등 최근 들어서 프런트의 투자 부족으로 구단을 망치는 상황이 너무 많아졌다. 특히 [[kt 롤스터]] 같은 경우는 유스 시스템이 없는 것은 물론이고 사무국의 직원이 '''실질적으로 단 1명'''이었을 정도로 손을 놓는 운영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도 LCK에 프랜차이즈를 시행함에 따라 유스팀을 만들기 시작한데다 강동훈 감독이 들어온 이후로 조금씩 복구를 하기 시작했고, 새롭게 창단한 와일드 리프트 팀은 국내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했다. [[kt wiz]]는 2019년 6위에 이어 2020년에는 2위까지 올라갔고 마침내 가을 야구에 진출했다. 그 다음해에는 1위를 달성해 [[202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 직행했고 '''우승했다'''.[* 이는 kt스포츠에 있어서 의미가 있는데, 왜냐하면 kt스포츠의 마지막 우승은 [[kt 롤스터]]의 2018년 서머우승이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의 4년만에 트로피를 들었다.] [[kt 소닉붐]]은 연습장인 올레빅토리움을 수원에 건립하면서 정작 연고지인 부산에는 경기만 하러 오는 모양새가 돼 버렸다. 2020-2021 시즌 종료후 kt 소닉붐은 [[부산광역시]]와 연습구장 설치에 대해 논의했지만 별 소득이 없자 결국 수원으로 [[연고지 이전|이전해버렸다]].[* 부산시의 비협조도 컸다. 게다가 현재 연고구단인 롯데 자이언츠와 부산 아이파크에대한 지원도 상당히 인색한 편이다.] 이로 인해 부산 농구 팬들의 강한 불만이 터저나왔고 부산 연고에서도 불매운동까지 파문이 거세였다. 그리고, 형제 야구가 있는 수원을 kt화라는 정책을 하게 된다. == 여담 == 희한하게도 여름만 되면 종목과 무관하게 kt스포츠 산하 모든 팀들이 경기력이 좋아진다. 원조 '''여름의 kt'''인 [[kt 롤스터]]는 물론, [[kt wiz]] 역시 봄에는 하위권을 전전하다 날이 풀리면 상위권으로 치고 올라오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kt sports, version=3)] [[분류:kt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