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Phone 라인업)] ||<-3> [br]{{{+3 '''{{{#333,#ddd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iPhone SE}}}}}}'''}}}[br]{{{-1 ^^'''{{{#333,#ddd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3rd generation)}}}}}}'''^^}}}[br]'''{{{-2 A2783}}}[br]{{{-3 거침없는 파워. 실속 있는 선택.[br]Love the power. Love the price.}}}[br][br]''' || ||<-3><#fff> [[파일:iPhone_SE.png|width=100%]] || ||<#181F26> {{{#fff '''미드나이트'''}}} ||<#FBF7F4> {{{#000 '''스타라이트'''}}} ||<#C82333> {{{#!wiki style="margin: 0px -10px" [[(PRODUCT)RED|[[파일:(PRODUCT)RED 로고 화이트.svg|width=70]]]]}}} || ||<-3><#333> [[https://www.apple.com/kr/iphone-se|{{{#fff Apple 대한민국 iPhone SE(3세대) 공식 사이트}}}]] || [목차] == 개요 == [[Apple 이벤트/2020년대#s-3.1|Apple 이벤트]]에서 [[2022년]] [[3월 8일]](한국 시각 [[2022년]] [[3월 9일]] 새벽 3시)에 공개된 [[iPhone SE(2세대)|iPhone SE2]]의 후속작인 [[iOS]]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SoC|프로세서]] ||[[Apple A15 Bionic]] APL1W07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Apple Avalanche]] MP2 3.23 GHz [[CPU]][br][[Apple/마이크로아키텍처#Blizzard|Apple Blizzard]] MP4 2.0 GHz [[CPU]] || || [[GPU]] ||[[Apple/마이크로아키텍처|Apple 5th Design GPU Architecture]] MP4 -.- GHz [[GPU]] || || NPU & DSP ||[[Apple/마이크로아키텍처|Apple 5th Design Neural Engine]] MP16 NPU || || Sensor Hub ||NPU 대체 || || 통신 모뎀 ||미탑재 ||}}}}}} + [[퀄컴 스냅드래곤/통신 모뎀 솔루션|Qualcomm Snapdragon X57 5G Modem]][* [[https://www.gizmochina.com/2022/03/23/apples-iphone-se-3-teardown-reveals-snapdragon-x57-modem-2018mah-battery-capacity/|참고자료]] 제품 분해과정에서 밝혀졌다. SE 3세대 전용 커스텀 모뎀으로 추정된다.] || || [[메모리]] ||4 GB LPDDR4X SDRAM, 64 / 128 / 256 GB [[NVMe]]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 ||4.7형 16:9 비율 [[해상도/목록|1334 × 750]] [[Retina 디스플레이|Retina HD 디스플레이]] (326 ppi) {{{#!wiki style="margin:0 5px;display: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샤프(기업)|샤프]], [[재팬 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RGB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IPS TFT-LCD || ||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 최대 밝기 625nit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0 5px;display:inline-block" {{{#!folding [ 5G Network ] [[NR]] Sub-6 TDD[br]SA & NSA 방식}}}}}}{{{#!wiki style="margin:0 5px;display: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cdcdcd,#000> '''기본지원''' ||[[LTE]] Cat.19·13 FDD & [[TD-LTE|TDD]][br][[VoLTE]] 지원 || ||<#000> '''{{{#ff0 선택지원}}}''' ||없음 ||}}}}}}{{{#!wiki style="margin:0 5px;display: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cdcdcd,#000> '''기본지원''' ||[[4G|HSPA+]] 42 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000> '''{{{#ff0 선택지원}}}''' ||[[TD-SCDMA]] 음성 통신 지원 ||}}}}}}{{{#!wiki style="margin:0 5px;display: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cdcdcd,#000> '''기본지원'''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000> '''{{{#ff0 선택지원}}}'''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근접통신 ||[[Wi-Fi]] [[802.11b|1]]/[[802.11a|2]]/[[802.11g|3]]/[[802.11n|4]]/[[802.11ac|5]]/[[802.11ax|6]], [[블루투스]] 5.0+LE, [[NFC]] Type [[ISO/IEC 14443|A/B]]/[[FeliCa|F]]|| || 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Galileo]], [[QZSS]]|| || [[카메라]] ||전면 7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2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쿼드 [[LED]] True Tone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 ||내장형 Li-Ion 2018 mAh{{{#!wiki style="margin:0 5px;display: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USB PD|USB Power Delivery]] 2.0 (18 W) || ||<|2> 무선충전 || 고속 ||(규격 불명) (7.5 W) || || 일반 ||Qi(WPC 1.2.4) (5 W) ||}}}}}} || || [[운영체제]] ||[[iOS]] [[iOS 15|15.4]] → [[iOS 16|16]] → [[iOS 17|17]]|| || 규격 ||67.3 × 138.4 × 7.3 mm, 144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미드나이트''', '''스타라이트''', '''(PRODUCT)^^RED^^'''|| || 단자정보 ||[[USB 2.0]] [[Apple Lightning 8-pin|Lightning 커넥터]] × 1|| || 생체인식 ||[[Touch ID]]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기타 ||IP67 등급 방수 방진 지원||}}} * 국내 출시 모델명: A2783 * 모델 식별자: iPhone14,6 == 특징 == [[iPhone SE(2세대)|iPhone SE 2세대]]의 후속 기기이다. AP는 [[A15 Bionic]]을 탑재하였다. [[iPhone 13]], [[iPhone 13 mini]]에 사용되었던 4코어 GPU 구성이며, 2년 전에 출시한 [[iPhone SE(2세대)|iPhone SE 2세대]]보다 두 세대 위의 AP이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전작보다 1GB 늘어난 4GB 용량을 탑재했다. 내장 메모리는 [[NVMe]]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용량은 64GB, 128GB, 256GB. [[5G]] NR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디스플레이는 4.7인치와 16:9 비율, 1334 × 750 해상도로 전작과 동일하다. 하드웨어 규격도 67.3 × 138.4 × 7.3mm로 동일하다. 무게는 144g으로 148g의 전작에 비해 4g 줄었다. 전면 700만 화소, 후면 1,200만 화소의 카메라도 마찬가지. USB 2.0 Lightning 커넥터가 탑재된 점, IP67 등급의 방수방진 지원까지 동일하다. AP와 5G 지원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언급한 하드웨어 향상점은 전·후면 강화유리가 [[iPhone 13]] 시리즈에 쓰이던 것과 동일한 유리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다만 [[Ceramic Shield]]라는 언급은 없다. iPhone 13의 후면 유리랑 동일 소재라고 했으니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를 전면에도 탑재한 것이다.] 배터리 용량은 2,018mAh로 전작에 비해 197mAh 증가했다. 디자인은 전작과 거의 동일하다. 후면이 어떤 색상이건 전면의 베젤 색상이 검정색으로 통일된 점도 같다. 다만 레드를 제외하면 후면 색상은 조금 달라졌는데, 2세대의 블랙과 화이트를 iPhone SE 3세대에선 미드나이트와 스타라이트라는 색상이 대체하였다. 미드나이트는 기존의 블랙보다 푸른 빛깔[* 이는 약 10년 전인 2012년 당시 [[iPhone 5]]와 [[iPad mini]], [[iPod nano#s-2.7|iPod nano 7세대]] 때 잠시 선보였다 사라진 슬레이트 & 블랙과 흡사한 특성이다. 당시 이 색상은 평가는 좋았지만 도색이 쉽게 까지는 문제점 때문에 다음 세대부터 스페이스 그레이로 대체되었다.] 이 살짝 돌고, 스타라이트는 기존의 순백 화이트보다 펄 빛깔이 추가되며 색감이 좀 더 따뜻해졌다. 이 두 색상은 작년 [[iPhone 13]]에서 선보였던 색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PRODUCT)^^RED^^는 작년과 달라진 점이 아주 약간 진해진 것뿐이다.[* 이것 역시 아이폰 11의 레드를 따라가던 SE 2세대와 비슷하게 아이폰 13의 레드를 따라가는 것이다.] 전작에서 단점으로 꼽혔던 배터리 지속 시간에 대해서, Apple에 따르면 전작에 비해 동영상 시청 시간이 최대 2시간 향상되었다고 한다. 이는 공식 홈페이지의 자료 기준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동영상, 오디오 재생시간이 [[iPhone 12 mini]]와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칩셋 자체의 전력 효율성도 개선되었으며, 배터리 용량도 2,018 mAh으로 전작의 1,821 mAh보다 10% 증가했다. === 기능 === *[[Apple Pay]] [[Apple]]의 [[NFC]] 기반 결제 서비스이다. 또한 [[FeliCa]]를 국가 및 지역에 관계 없이 지원하여 해당 기능을 이용한 [[Suica]] 등 각종 서비스[* おサイフケータイ(오사이후케타이)라 하며 오프라인에서 결제, 금융 서비스 등 [[FeliCa]]를 기반으로 한 모든 서비스를 총칭하는 말이자 기술 상표이다. 여기서 サイフ는 さいふ(사이후), 즉, 일본어로 "[[지갑]]"을 뜻한다. ]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익스프레스 카드 기능을 지원해 기기의 예비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서 별도로 익스프레스 카드로 등록한 교통카드가 있다면 최대 다섯 시간 이내에는 기기 전원이 꺼져있어도 사용이 가능하다. *[[Siri]] [[Apple]]의 인공지능 비서 기술이다. *[[듀얼 SIM]] *[[Wi-Fi 6]] [[Wi-Fi]] [[802.11ac]]의 후속 규격[* 예전 규격 명칭은 Wi-Fi 802.11ax이다. Wi-Fi 6으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Wi-Fi]] [[802.11ac]] 역시 Wi-Fi 5로 명칭이 변경되었다.]으로, 최대 10 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보장하고 다중접속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한다. *True Tone 주변 환경의 색 온도를 감지하여 거기에 맞춰 디스플레이의 색 온도를 바꿔주는 기능이다. TFT-LCD 디스플레이는 발광하는 LED 백라이트 때문에 어느 환경에서 화면을 보더라도 색 온도가 고정되어 있으나, 인쇄물은 종이가 주변 조명을 그대로 반사하기 때문에 조명의 색 온도에 따라 인쇄물의 색상이 달라보이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의 색 온도를 변경해 시각적으로 실제 종이에 출력되는 결과물과 더욱 비슷해지게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Touch ID]](2세대) 홈 버튼에 탑재된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한 [[Apple]]의 생체인식 소프트웨어 기능이다. *카메라 강화 * 사진 스타일 사진을 찍을 때 실시간으로 스타일 효과를 적용하는 기술이다. 단, 기존 필터와는 다르게 피부 톤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주변 색감은 살릴 수 있도록 A15 Bionic의 Neural Engine을 활용하여 영역을 자동으로 지정해 적용한다. 효과의 종류나 강도 조절도 물론 가능하며, 한 번만 설정해두면 이후 찍는 모든 사진에 해당 스타일이 자동으로 적용된다. * 스마트 HDR 4 촬영 시 빛이 많은 곳과 적은 곳 모두 더욱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 인물 사진 모드 인공지능을 이용해 피사체와 배경을 구분한 후 배경을 블러 처리해서 날려주는 기능이다. 원래는 듀얼 렌즈 구성의 후면 [[카메라]]를 탑재한 경우에만 기본 카메라와 망원 카메라 간의 시차를 이용해 거리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피사체와 배경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지원했었으나, [[Apple A15 Bionic]] APL1W07에 내장된 5세대 Apple Neural Engine을 이용해서 싱글 렌즈 구성의 후면 [[카메라]]임에도 지원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다만, 비슷한 방식인 [[구글]]의 [[Google Pixel 2#s-2.1|Pixel 2]]와는 다르게 [[https://www.reddit.com/r/apple/comments/9pij9p/the_iphone_x_cannot_do_portrait_mode_effects_on|오로지 인물을 촬영할 때만 작동]]한다. *Haptic Touch [[3D Touch]]를 지원하지 않는 대신 보완책으로 탑재되었다. [[3D Touch]]의 주요 기능들을 제스처 인터페이스와 분할해 지원한다. ===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 * [[AirPods]] * [[AirPods(2세대)]] * [[AirPods(3세대)]] * [[AirPods Pro]] * [[AirPods Max]] * [[AirTag]][* 단 한국에서는 애플 지도가 지원되지 않는 것과 기기의 U1칩 미탑재로 인해 '''소리 재생 이외의 기능을 쓸 수 없다'''.] * [[HomePod mini]] == 출시 == ||<-5> '''iPhone SE(3세대) 지역별 모델명''' || || '''미국, 캐나다 등'''[* 미국, 캐나다,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괌, 맥시코, 사우디아라비아] || '''일본''' || '''글로벌''' || '''러시아 등'''[* 아르메니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 '''중국''' || || A2595 || A2782 || A2783 || A2784 || A2785 || 시작 가격이 429달러로, 가격이 인하될 것이라던 루머와는 달리 전작보다 30달러 올랐다. 한국 시작 가격은 59만원으로 [[iPhone SE(2세대)|전작]]보다 4만원 올랐다. === [[대한민국]] === || '''64GB''' || '''128GB''' || '''256GB''' || || 590,000원 || 660,000원 || 800,000원 || 전작 대비 전 모델이 4만원씩 가격이 인상되었다. [[iPhone 12]]와 동일하게 1차 출시국보다 정확히 1주일 늦게 출시한다. 따라서 1차 출시국이 3월 18일에 출시할 때, 국내에서는 사전 주문을 시작하고 3월 25일에 정식 출시했다. 2022년 9월 8일 키노트 이후, 환율의 영향으로 가격이 인상되었다. || '''64GB''' || '''128GB''' || '''256GB''' || || 650,000원 || 730,000원 || 880,000원 || 2023년 9월 12일, [[iPhone 15]] 시리즈가 공개되면서 iPhone 13, iPhone 14 시리즈의 가격은 인하되었으나 iPhone SE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대한민국]] 외 지역 === 미국 시장 기준, 기기 공개와 동시에 출고가가 공개되었고 다음과 같다. || '''64GB''' || '''128GB''' || '''256GB''' || || $429 || $479 || $579 || 전작 대비 전 모델이 30달러씩 가격이 인상되었다. *1차 출시국 - [[3월 18일]] *2차 출시국 - [[3월 25일]] == 평가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iPhone SE(3세대)/주요 IT전문매체별 평가)] [include(틀:평가/DxOMark/삼성용2, 모델명=Apple iPhone SE (2022), 카메라_점수=118, 셀피_점수=TBA, 오디오_점수=70, 디스플레이_점수=86, 배터리_점수=51, 카메라_링크=https://www.dxomark.com/apple-iphone-se-2022-camera-test/, 셀피_링크=, 오디오_링크=https://www.dxomark.com/apple-iphone-se-2022-audio-test/, 디스플레이_링크=https://www.dxomark.com/apple-iphone-se-2022-display-test/, 배터리_링크=https://www.dxomark.com/apple-iphone-se-2022-battery-test/)] [include(틀:주요 IT전문매체 평가 추이, 모델=iPhone SE(3세대), 매체평균점수=78.51, 매체수=48, 경쟁모델1=Asus Zenfone 8, 경쟁모델2=삼성 갤럭시 A53 5G, 경쟁모델3=iPhone 13 mini, 경쟁모델4=iPhone 12 mini, 경쟁모델5=구글 Pixel 6a, 경쟁모델6=OnePlus Nord 2, 과년도1=iPhone SE(2세대), 과년도점수1=85.46, )] == 논란 및 문제점 == [include(틀:iPhone 논란 및 문제점)] * 2017년에 출시한 [[iPhone 8]]의 폼팩터를 무려 '''6년째''' 우려먹고 있다. [[iPhone 6]] 때부터 가졌던 폼팩터 대부분을 유지하고 있는 iPhone 8의 특성을 생각하자면, 해당 기기가 단종되기 전에 만들어질 2022년 ~ 2025년 제조분을 포함하면 무려 iPhone 6의 디자인을 '''12년째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2017년에 출시된 [[iPhone 8]] 기반이기 때문에, 2022년에 출시된 스마트폰 치고는 베젤이 다른 제품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넓은 편이고 해상도도 비슷한 가격대의 기기가 FHD인 것과 달리 HD급 해상도를 사용해서 매우 낮다. 해상도가 낮은 만큼 GPU가 렌더링해야 하는 면적이 줄어든다고 해도 작은 화면으로 인해 할 수 있는 것이 제약될 수 있다. 화면 자체도 작은데다[* iPhone mini의 5.4인치보다 작은 4.7인치 화면이다. 단, iPhone mini와 화면 폭이 같은 16:9 기기는 4.6인치 정도라 SE가 가로폭이 넓어서 더 크게 느껴질 수 있다.] 최신 앱들은 최신 스마트폰의 긴 화면비에 최적화되기 때문. 다만 iPhone SE의 존재 의의는 '최첨단 기능과 기술을 적용하면서도 작고 부담없는 iPhone'이라는 [[팀 쿡]]의 [[https://www.youtube.com/live/CUwg_JoNHpo?feature=share&t=504|발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형 폼팩터를 사용하지만 칩셋은 최신의 A15 Bionic을 사용하면서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사용자 경험을 올리는 특이한 모델이기 때문. 말그대로 가격대 성능비 즉 '''가성비만 좋다'''.[* 그마저도 환율변동으로 인해 나중에 '''인상'''되었다.] SE 시리즈의 수요자들은 대체로 휴대폰을 자주 바꾸지 않는 편인데 이전 모델인 2세대 SE와의 출시 간격이 너무 짧고 거의 변하는 것도 없어 애매하다며 차라리 이제는 단종된 XR 이나 mini 등 다른 폼팩터를 기반으로 좀 더 기간을 두고 나중에 출시했더라면 좋았을 거라는 비판도 있다. * 일부 기기에서 이격 및 흠집 등의 코스메틱 이슈가 보고되었다. [[Apple]]의 포장 정책 변경 이후 다른 신제품군에서도 마감 불량 문제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편. * 일부 기기의 전원이 갑자기 꺼지는 패닉풀(Panic-Full) 현상이 보고되었다. iOS 버전이 최신이고 패닉풀이 3회 이상 발생할 경우 Apple 서비스센터에서 리퍼가 가능하다.[* 가로수길 기준, 분석 로그 확인 후 바로 리퍼는 안 되고 엔지니어를 통한 초기화를 진행한 후에도 증상이 계속될 경우에 리퍼가 진행된다.] 이후 5월 17일 발표된 iOS 15.5 업데이트로 해결되었다.[[https://support.apple.com/ko-kr/HT212788|#]] * 사진 촬영에 '''야간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 빛이 있는 야간 사진의 경우는 그럭저럭 볼만하지만 빛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매우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한 사진의 품질은 매우 나쁘다. 따라서 야간에 촬영한 사진의 밝기나 퀄리티가 2015년에 출시된 [[iPhone 6s]] 수준으로 처참한 상황이다.[* 단 A15에 적용된 최신 Ai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는 했다.] 싱글 카메라라고 야간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도 아니므로[* 기술적으로 싱글카메라여서 지원 안되는건 '사람 얼굴만 적용되지 않는 인물모드' 밖에 없다.] iPhone SE와 플래그쉽 아이폰 간의 의도적인 급 나누기로 볼 수 밖에 없는 사항이나, 해당 센서가 6년 전 아이폰 7부터 사용된 1/3인치의 구형 센서이고 애초에 센서 크기도 지나치게 작아 물리적으로 야간 모드를 지원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추측이 있다. 근데 더 웃긴 건 '''야간 타임랩스는 지원한다'''(...). == 기타 == * 2025년에 iPhone SE 4세대가 [[iPhone 14]]의 폼펙터를 기반으로 출시될것이라는 루머가 있다.[* 실제로 출시된다면 [[노치 디자인]]이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아이폰 15]]부터 [[Dynamic Island]]에 의해 완전히 사라진 노치가 다시 부활할수도 있다.] 만일 실제로 그렇게 된다면 iPhone SE 3세대는 [[Apple]]의 마지막으로 홈버튼이 달린 [[아이폰]]이 될것으로 추측된다.[* [[Apple]]에서 다른 새로운 종류의 [[아이폰]]을 출시하지 않는 한] === 홍보 영상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vfADryzdKvU)]}}} || || '''소개 영상'''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UExDLlL-txw)]}}} || || '''홍보 영상'''[* [[Apple 공식 인증 리셀러]]들이 제공받는 영상이다.] || == [[/공개 전 루머|공개 전 루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Phone SE(3세대)/공개 전 루머)] [[분류:iPhone]][[분류:Touch ID]][[분류:Siri]][[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22년]]